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은상(李殷相){1}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40C0C1B1617X0
자(字)열경(說卿)
호(號)동리(東里)
시호(諡號)문량(文良)
생년1617(광해군 9)
졸년1678(숙종 4)
시대조선중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소한(李昭漢)
여주이씨(驪州李氏)
조부이정귀(李廷龜)
외조부이상의(李尙毅)
저서『동리집』
저서『동리소설』

[상세내용]

이은상(李殷相)
1617년(광해군 9)∼1678년(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열경(說卿), 호는 동리(東里).

조선 중기 한학 4대가의 한 사람인 이정귀(李廷龜)의 손자로, 이소한(李昭漢)의 아들이며, 모친은 여주이씨(驪州李氏)좌찬성 이상의(李尙毅)의 딸이다. 할아버지 이정귀와 큰아버지 이명한(李明漢)은 모두 제학 또는 대제학을 역임하였으며, 아버지와 사촌형제들이 모두 문장에 뛰어나 일가가 사림을 이루었다.

1651년(효종 2)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며 설서로 있다가 문과중시에 장원을 하였다.

1656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660년(현종 1) 교리로서 통정대부의 품계에 오르고 1663년 승지가 되었으며, 1666년 대사간, 1668년 도승지가 되었다.

1674년 인성왕후가 죽자 자의대부 복상문제를 논할 때 형조판서로서 대공제(大功制)를 주장하였다. 같은해 현종이 죽자 애책문(哀冊文)을 찬진한 바 있으며, 송시열(宋時烈)이 복상문제로 유배당하자 벼슬에 나가지 않고 관동지방을 유람하였다.

김만중(金萬重)의 장인이며, 저서로는 『동리집』『동리소설』이 남아 있다. 시호는 문량(文良)이다.

[참고문헌]

東里集

[집필자]

곽신환(郭信煥)

명 : "은상(殷相)"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捷錄v01靜觀齋明漢子殷相弟李行遠女字幼能
宗廟儀軌v1入來事往傳于右承旨而左承旨處亦爲一體口傳可也令曰承史權退閤外以待注書同爲入來可也承史以次退待重華門外殷相承令往宣後入來與承史復爲進伏令曰果已往宣乎殷相起伏奏曰臣承令往傳于獻官處則以爲睿念憧憧若是懇至享事虔
鞠廳日記v3其各人等不欲承服之意也上曰此是所告歸虛之後欲爲發明之計耳渠之患違端尤可見矣維城曰其顚錯之狀不能盡達矣殷相曰昨日封書中所告與更捧招辭互有加減之人矣上曰此則數多之人或不無落漏之弊矣太和曰許遂啓請拿問而傳敎至當
鞠廳日記v3之可矣太和曰當因其違端而更推之矣上曰今番則勿令問東答西使之詳答其言可矣太和曰退而當詳問以達仍退出上謂殷相曰到長湍得聞之說問於繼諴可也殷相曰大臣入對時則雖陳其情狀而在外啓辭則不敢歇後唯在自
鞠廳日記v3是矣太和曰無形之徒如是言說誠爲國家之羞辱矣上曰其稱李養壻之說何謂耶太和曰各人所供如彼故此則姑不問之矣殷相曰檢乭處所可問者詳知以出而爲當矣上曰海州太乙亭果有之乎絳曰臣曾見其無舍廣基而謂之濯熱矣重普曰試才饋酒
鞠廳日記v3上曰亦不無初非大段事而誤聞搆成之理也袤曰若非一分無疑則豈可如是言之也殷相曰此皆蠢蠢之類或不無妄發之言也景奭曰事體重大下之所達自上所決必欲詳愼領相亦以爲此事若歇看則或不無後弊
鞠廳日記v3矣上曰罪人等不爲各置而繼諴直往檢乭所在處則已矣若是他人言之則推問以知可也重普曰檢乭來時繼諴則未及來矣殷相曰此漢最後入來必是上來時聞其名而知之矣
鞠廳日記v3上曰然而事不嚴密先問於渠處之可也殷相曰以根之子一人適往繼諴家被捉云亦不無因此得聞之弊也上曰吳繼昌幼學矣太和曰其父一鄕中有孝行故邑倅復給其
東國續修文獻錄v1幼能靜觀刑判殷相弟延安人副學文貞
國朝人物志v2刑曹參判乙酉卒人物考樗軒遺址百餘年忽有蓮數朶挺出此實公家昌運之徵尤菴撰子殷相翊相皆文科
國朝人物志v3及鐫得志稔惡常遇諸道立馬與語歷數其罪而絶之金錫胄發楨柟之罪鐫與許積掩護欺蔽將欲反坐錫胃殷相泣曰國其亡矣諡文良人物考弟弘相字濟卿號東郭癸西進士孝宗壬辰文科正字
朝鮮科宦譜n1-6책應敎東里殷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