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서필원(徐必遠)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1CD544C6D0B1614X0
자(字)재이(載邇)
호(號)육곡(六谷)
시호(諡號)정헌(貞憲)
생년1614(광해군 6)
졸년1671(현종 12)
시대조선중기
본관부여(扶餘)
활동분야문신 > 문신
서운기(徐雲驥)
저서『육곡유고』

[상세내용]

서필원(徐必遠)
1614년(광해군 6)∼1671년(현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자는 재이(載邇), 호는 육곡(六谷).

부친은 서운기(徐雲驥)이다.

9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김집(金集)정홍명(鄭弘溟)에게 수학하였다.

1643년(인조 21)에 관직에 올라 창릉참봉사옹원봉사가 되었으며,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관을 거쳐 검열설서(說書)를 역임하고 1654년(효종 5) 부수찬이 되었으며 그뒤 헌납이조좌랑평안도어사가 되었다.

1656년 수찬을 비롯하여 지평교리이조정랑 등을 거쳐 충청도관찰사가 되어서는 서원의 폐단을 보고하고 그 개혁을 청하였다.

1658년 대사간과 승지를 거쳐 전남도감사가 되었을 때 대동법(大同法)의 시행에 찬동하여 전남도대동사목(全南道大同事目)을 반포하였으며, 기민(飢民)을 구휼하기 위하여 왕대비의 삭선(朔膳)을 감할 것을 청하였다가 추고되었다.

1659년 진휼을 위하여 속미(贖米)를 받고 중죄인을 석방하였다가 파직당하였다. 현종 초년 병조참의승지대사성예조참의이조참의 등을 거쳐, 1663년(현종 4) 대사간‧승지‧병조참의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목면재배를 권장하고 구휼사업에 힘썼으며, 특히 육진혁막제조(六鎭革瘼諸條)를 올려 그 지방의 폐단을 개혁하는 데에 앞장섰다.

1665년에 강화유수가 되었고 그뒤 형조참판, 1669년 형조판서를 거쳐 1671년 병조판서가 되었으나 그해 죽었다.

민생을 구휼하고 지방의 폐단을 개혁하기 위한 실질적인 사업을 많이 하였다. 왕에게 직언을 잘하기로 이름이 나서 그 시대 이상진(李尙眞) 등과 함께 오직(五直)이라 불리었다.

저서로 『육곡유고』가 있다. 시호는 정헌(貞憲)이다.

[참고문헌]

孝宗實錄
顯宗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經山集
六谷遺稿

[집필자]

원유한(元裕漢)
대표명서필원(徐必遠)
필원(必遠)
성명서필원(徐必遠)
시호정의(貞毅)
재이(載邇)
육곡(六谷)

명 : "필원(必遠)"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史記略v4若溘然則恐一朝無助事至中廢也答曰湖西事得人而付之何憂何慮後上追思堉曰安得擔當國事堅礭不撓如金堉者乎後必遠狀啓言扶安縣監柳昊以差員上京若賜召見庶悉海民餓莩之狀政院以失體請推宋時烈疏言必遠之請語意撲直不害爲獻
震史記略v4堅礭不撓如金堉者乎後必遠狀啓言扶安縣監柳昊以差員上京若賜召見庶悉海民餓莩之狀政院以失體請推宋時烈疏言必遠之請語意撲直不害爲獻忠也皇朝故事十三省官員進表者幷吏卒引跪階下皇帝親傳玉音曰知道吏卒之賤咸得仰覩天光
震史記略v4越城當斬命覆啓施行刑判徐必遠將斬之令領相鄭太和曰更爲草記待啓覆施刑必遠如其言宋浚吉白上曰古人死中求生必遠生中求死此人他日必多誤事伏願殿下察焉○大諫張善澂正言朴世堂啓言戚畹秉政之非請遞吏判金佐明○量忠淸黃海
震史記略v4規勿復逃故從承旨南九萬之請也○有人越城當斬命覆啓施行刑判徐必遠將斬之令領相鄭太和曰更爲草記待啓覆施刑必遠如其言宋浚吉白上曰古人死中求生必遠生中求死此人他日必多誤事伏願殿下察焉○大諫張善澂正言朴世堂啓言戚畹
震乘總v10溘然則恐一朝無助事至於中廢也答曰湖南事得人而付之何憂何慮後上追思堉曰安得擔當國事堅礭不撓如金堉者乎後必遠狀啓言扶安縣監柳炅以差員徐必遠請柳炅召見問民情上京若賜召見庶悉海民餓莩狀政院以失禮請推宋時烈上疏曰必
震乘總v10遠狀啓言扶安縣監柳炅以差員徐必遠請柳炅召見問民情上京若賜召見庶悉海民餓莩狀政院以失禮請推宋時烈上疏曰必遠之請語意撲直不當爲獻忠也皇朝故事十三省官員進表來者竝吏卒引跪堦下皇帝親傳玉音曰知道吏卒之賤咸得仰睹天
羹墻錄v4顯宗九年戊申刑曹判書徐必遠論越城人罪請斬之上從其言臨刑領議政鄭太和急遣人止之曰更爲具奏以待啓覆也必遠不得已如其言左參贊宋浚吉白上曰古人死中求生必遠生中求死此人他日必多誤事願殿下察之國朝寶鑑
羹墻錄v4上從其言臨刑領議政鄭太和急遣人止之曰更爲具奏以待啓覆也必遠不得已如其言左參贊宋浚吉白上曰古人死中求生必遠生中求死此人他日必多誤事願殿下察之國朝寶鑑
大事編年v13無據多士聯名疏還給不納前所未有事體甚未安上下嚴旨玉堂請對略陳必遠之引諭失義自上待士之太薄上始批儒疏曰必遠狂疏何用深責持平李奎齡正言趙聖輔將論必遠爲一種俗流狙擊上特命黜補二臣於外邑執義閔維重遂獨啓論必遠之悖
大事編年v13與焉父子祖孫豈無輕重又曰凡有私讐之人沫血飮泣投袂幷起則國亦賴之云云悖妄譏斥無復倫脊矣儒生趙楷等上疏斥必遠上敎以疏語多有不安又又非儒生所與命還給政院啓以趙楷等疏語雖有過激必遠之疏出於做錯三綱等語大失禮經之意
大事編年v13疏曰必遠狂疏何用深責持平李奎齡正言趙聖輔將論必遠爲一種俗流狙擊上特命黜補二臣於外邑執義閔維重遂獨啓論必遠之悖幷論狙擊二臣者又力救二臣上震怒斥閔公伐異樹黨蔑視君父特命遞職
大事編年v13做錯三綱等語大失禮經之意儒生投疏辦明不爲無據多士聯名疏還給不納前所未有事體甚未安上下嚴旨玉堂請對略陳必遠之引諭失義自上待士之太薄上始批儒疏曰必遠狂疏何用深責持平李奎齡正言趙聖輔將論必遠爲一種俗流狙擊上特命
大事編年v13妄譏斥無復倫脊矣儒生趙楷等上疏斥必遠上敎以疏語多有不安又又非儒生所與命還給政院啓以趙楷等疏語雖有過激必遠之疏出於做錯三綱等語大失禮經之意儒生投疏辦明不爲無據多士聯名疏還給不納前所未有事體甚未安上下嚴旨玉堂
大事編年v13上下嚴旨玉堂請對略陳必遠之引諭失義自上待士之太薄上始批儒疏曰必遠狂疏何用深責持平李奎齡正言趙聖輔將論必遠爲一種俗流狙擊上特命黜補二臣於外邑執義閔維重遂獨啓論必遠之悖幷論狙擊二臣者又力救二臣上震怒斥閔公伐異
大事編年v13解職遂下鄕持平金世鼎論効劾徐必遠得罪於淸議矣今因一二變通之擧失利姦民無識士夫煽動浮言謀陷儒賢莫敢先發必遠敢進邪論請奪其官而黜之徐必遠朴直宋時烈亦許之甲辰被斥於時烈見棄於淸議至是上此疏世人或以爲許積欲沮設倉
大事編年v13奪其官而黜之徐必遠朴直宋時烈亦許之甲辰被斥於時烈見棄於淸議至是上此疏世人或以爲許積欲沮設倉裁減之議嗾必遠斥己爲不忠云云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