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대운(權大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8CB300C6B4B1612X0
자(字)시회(時會)
호(號)석담(石潭)
생년1612(광해군 4)
졸년1699(숙종 25)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권근중(權謹中)
조부권협(權悏)

[상세내용]

권대운(權大運)
1612년(광해군 4)∼1699년(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시회(時會), 호는 석담(石潭).

조부는 예조판서 권협(權悏)이며, 부친은 사어(司禦) 권근중(權謹中)이다.

1642년(인조 20)에 진사가 되고, 1649년에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이 되었다. 이후 지평(持平)헌납(獻納)이조정랑응교사간 등의 청요직을 거쳐 승지가 되었다. 이후 형조병조예조참의좌승지한성부우윤형조참판개성유수 등을 거쳐 1666년(현종 7)에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다.

이어 대사간함경도관찰사를 거쳐 1670년에는 호조판서로 발탁되었으며, 그뒤 형조판서를 거쳐 우참찬이 되고 판의금부사를 겸임하게 되었다.

1674년에 숙종이 즉위하자 예조판서가 되고, 이듬해 병조판서를 거쳐서 우의정으로 승진하였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남인이 실각하고 서인이 득세하게 되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밀려났다가 파직당하고 영일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

그뒤 1689년에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재집권하자 다시 등용되어 영의정에 올랐다.

이때 그는 유배중인 서인의 영수 송시열(宋時烈)을 사사하도록 하였다. 이어 치사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그러나 1694년에 남인이 숙종의 폐비인 민씨(閔氏)의 복위운동을 일으킨 소론을 제거하려다가 오히려 폐비사건을 후회하고 있던 숙종의 미움을 받아 화를 당하게 되는 갑술환국으로 관직을 삭탈당하고 절도(絶島)에 안치되었다. 이듬해 80세가 넘는 고령이라 하여 풀려나 귀향하게 되었다.

과격파 남인으로 당쟁에 휘말렸으나 생활이 검소하고 청렴하여 명망이 높았는데, 죽고 난 뒤 왕의 특명으로 직첩이 환급되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顯宗改修實錄
肅宗實錄
樊巖集(蔡濟恭)
國朝榜目

[집필자]

신해순(申解淳)

성명 : "권대운(権大運)"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7入禁闥醜聲聞外乃使各殿紅袖至為有子之人其傷壞殿下家法為何如㢤㐲乞推恩施法早决量䖏焉翌夜上御宣政殿許積権大運張善徵柳赫然申汝哲金徽尹深䓁入侍極言禎柟䓁之寃王大妃時在帷後乃大聲哭責積䓁曰汝以累朝奮臣受恩如何而不
紀年便攷v27正言李壽慶劾奏領議政許積左議政権大運甚非其人金徽為吏叅不職而復擬吏判望閔黯素乏時望而入於卜相誠為太濫矣上命遞壽慶職於是積大運䓁呈辭求免上
紀年便攷v27說而凶書中旣以此為謀逆宗旨可知凶謀根抵之己深故羣議皆以為劇賊旣己正刑則不可不告廟頒赦玄下詢諸臣而䖏之権大運曰告廟祝辭及頒教文以因時烈軰所倡宗統嫡統之說釀成此變之意措辭製進宜矣上従之
紀年便攷v27夕元老䓁因錫冑告變初更闕門城門吹角聚軍扈衛宮城命設庭鞫斬楨柟許堅台瑞及其子景毅姜萬松䓁賜積鐫䓁死荐棘権大運吳挺昌宗室㮒䓁于絶島竄睦來善李元楨吳始復閔宗道柳命天命賢兪夏盖趙嗣基洪宇遠䓁元楨七次壓滕不服死柟招曰
紀年便攷v27備忘記曰閔氏免為庶人歸之私第告廟領教一遵両朝舊例領議政権大運上剳曰䖏之别宮存其名號仍狊儀物則聖朝䖏變之道於斯為盡矣上下嚴㫖切責是日閔氏乘素屋轎出自耀金門歸安國洞
紀年便攷v27故姑従輕典削奪官爵門外黜送上曰領議政金壽興頃當引對辭色勃然語不擇發全旡敬謹之禮極為悖慢矣罷職○特旨以権大運為領議政睦來善爲左議政金德遠為右議政沈爲為吏曺判書尹深為兵曺判書閔黯為大司憲李鏶為訓錬大将○荐棘宋時
紀年便攷v27臣備堂引見兵曺判書閔黯奏曰時烈窮凶極惡彰著旡餘不待鞫問可知其罪且祖宗朝未嘗有鞫問大臣之事上問諸領議政権大運對曰當初設鞫臣所未曉時烈罪犯凶逆而年過八十不必鞫問自上斟酌䖏分焉左議政睦來善右議政金德遠䓁皆如大運言
紀年便攷v27今日之慶若有隱卒之典則有光聖德矣上曰両臣忠節可比於孔道輔旣許㫌閭卿言如此其贈斗寅議政泰輔正卿○命相臣権大運睦來善極邊安寘大提學閔黯絶島圍籬三司睦昌明李元齡裴正徽鄭善鳴権珪金㴻成瓘沈撥沈季良并極邊遠竄合啓以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