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함(李時馠)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2DCD568B1611X0 |
자(字) | 국형(國馨) |
호(號) | 무회(無悔) |
생년 | 1611(광해군 3) |
졸년 | 1660(현종 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시함(李時馠)
1611년(광해군 3)∼1660년(현종 1). 조선 중기 문신‧유학자. 자는 국형(國馨)이고, 호는 무회(無悔)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광평대군(廣平大君) 장의공(章懿公) 이여(李璵)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현감(縣監) 이길(李洁)이고, 조부는 교위(校尉) 이정춘(李廷春)이며, 부친은 감찰(監察) 이경(李儆)이다. 부인은 한혜(韓譓)의 딸 청주한씨(淸州韓氏)이다.
성품이 온화하고 관대하였다. 재주 또한 출중하여 어려서부터 총명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일에 성심을 다하였다. 독서를 좋아하여 경전(經典)과 사서(史書)를 두루 섭렵하였으며 학문 연구에 매진하였다.
과거에 여러 번 응시하였으나 매번 낙방하여 주위 사람들이 안타까워하였다.
1650년(효종 1) 증광시 생원 1등 3위로 합격하고, 같은 해에 증광시 병과 13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장릉부묘도감(長陵祔廟都監)‧지평(持平) 등을 역임하였다.
슬하에 2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하(李廈)‧이창(李廠)이다.
광평대군(廣平大君) 장의공(章懿公) 이여(李璵)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현감(縣監) 이길(李洁)이고, 조부는 교위(校尉) 이정춘(李廷春)이며, 부친은 감찰(監察) 이경(李儆)이다. 부인은 한혜(韓譓)의 딸 청주한씨(淸州韓氏)이다.
성품이 온화하고 관대하였다. 재주 또한 출중하여 어려서부터 총명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일에 성심을 다하였다. 독서를 좋아하여 경전(經典)과 사서(史書)를 두루 섭렵하였으며 학문 연구에 매진하였다.
과거에 여러 번 응시하였으나 매번 낙방하여 주위 사람들이 안타까워하였다.
1650년(효종 1) 증광시 생원 1등 3위로 합격하고, 같은 해에 증광시 병과 13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장릉부묘도감(長陵祔廟都監)‧지평(持平) 등을 역임하였다.
슬하에 2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하(李廈)‧이창(李廠)이다.
[참고문헌]
屛溪集
國朝文科榜目
國朝文科榜目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