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도거원(都擧元)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3C4AC70C6D0B1605X0
자(字)화숙(和叔)
생년1605(선조 38)
졸년1677(숙종 3)
시대조선중기
본관성주(星州)
활동분야문신/효자
도경창(都景昌)

[상세내용]

도거원(都擧元)
1605년(선조 38)~1677년(숙종 3). 조선 중기 문신‧효자. 자는 화숙(和叔)이다. 본관은 성주(星州)이고, 출생지는 전라북도 익산군(益山郡) 용안면(龍安面)이다.

부친은 도경창(都景昌)이고, 모친은 숙인(淑人) 의령이씨(宜寧李氏)이다.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와 잠곡(潛谷) 김육(金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39년(인조 17) 식년시(式年試) 진사 1등(一等)에 2위로 합격하였으며, 1646년(인조 24)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0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흥양군수(興陽郡守)‧도총경력(都總經歷)‧만경현령(萬頃縣令)‧순천군수(順天郡守)‧통례원우통례(通禮院右通禮) 등을 역임하고 승문원판교(承文院判校)에까지 이르렀다.

고을에서 군민들을 다스릴 때 청렴결백하게 선정을 베풀어 흥양과 만경에는 군민들이 세운 선정비(善政碑)가 있으며, 순천에도 군민들이 세운 동비(銅碑)가 있다.

1662년(현종 3) 만경군수 시절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한 내용을 암행어사가 장계로 올려 현종으로부터 표리일습(表裏一襲; 옷의 겉감과 안감 1벌)을 하사 받았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병차(兵車)를 만들 것을 임금께 상소할 정도로 병학(兵學)에도 밝았다.

부모에게는 효도하고, 형제간에는 우애가 깊었다. 이러한 덕행을 기리기 위한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國朝文科榜目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