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시방(李時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2DCBC29B1594X0
자(字)계명(季明)
호(號)서봉(西峰)
시호(諡號)충정(忠靖)
생년1594(선조 27)
졸년1660(현종 1)
시대조선중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귀(李貴)
저서『서봉일기』
공신호정사공신(靖社功臣)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시방(李時昉)
1594년(선조 27)∼1660년(현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명(季明), 호는 서봉(西峰).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아들이며, 영의정 이시백(李時白)의 아우이다.

1623년 인조반정 때 유생으로 아버지와 함께 가담, 정사공신(靖社功臣)2등으로 연성군(延城君)에 봉하여졌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군사를 모아 반란군을 토벌하고, 1625년(인조 3) 서산군수가 되었다.

그뒤 공조참판이 되었으며, 1627년 정묘호란 때 인조강화에 피란하기에 앞서 순검사가 되어 먼저 강화에 가서 군비를 정비하고 경계를 엄히 하였으며, 왕이 도착한 뒤에는 8도의 군량미조달의 중책을 맡았다.

이듬해 광주목사로서 남한산성방어사를 겸하였으며, 1632년 한성부우윤이 되었고, 이어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죽자 국장도감(國葬都監)산릉도감(山陵都監)제조가 되었다.

1636년 나주목사로 나갔다가 전라도관찰사로 승진되었다.

이때 조정에서는 남도의 군사를 동원하여 평안도를 방어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그는 양서(兩西)의 백성을 모아 대처하도록 하고 남도민은 군량미조달에 활용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호란이 일어날 조짐이 뚜렷해지자 입암산성(笠巖山城)을 수축하여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였다.

그러나 그해 12월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즉시 군사를 동원하여 남한산성의 위급을 구원하지 않았다는 죄로 정산(定山)에 유배되었다.

1640년 사면되어 제주목사로 나아갔고, 다음해 그곳에 안치되어 있던 광해군이 죽자 손수 염습하였다.

1642년 병으로 직을 그만두었으나 겨울에 광주수어사(廣州守禦使)가 되었고, 이어 병조참판에 제수되었으나, 본의아닌 일로 파직되었다.

1644년 다시 광주수어사가 되었으나 마침 심기원(沈器遠)의 역변(逆變)이 일어나, 그의 형 이시백과 함께 관계되었다는 흉서사건으로 피해를 당하였다.

1645년 호조참판이 되어 충청도전라도에 대동법을 실시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1647년에는 병조참판이 되고, 가선대부에 승계(陞階)되었으며, 다음해에는 공조판서에 올랐다.

1649년 인조가 죽자 산릉제조를 거쳐 형조판서가 되었다.

1649년 사은사부사청나라에 들어가 외교적 수완을 발휘, 조선에 대한 의심을 풀도록 하였으며, 다시 수어사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그뒤 공조판서형조판서를 역임하고, 호조판서가 되어 폐정개혁(弊政改革)에 힘썼으나 김자점(金自點)의 모역사건이 일어나자 그와 가까웠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현종이 즉위하자 공조판서로서 판의금부사를 겸하여 재차 호남 지방에 대동법을 실시할 것을 역설하였고, 남한산성을 개수하다가 다음해에 병으로 죽었다.

저서로는 『서봉일기』가 있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肅宗實錄
承政院日記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명 : "시방(時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0尚憲及李時白時昉昗宏申祤聖東陽尉徐景霌達城尉并命起復尚憲景霌上䟽乞終祥翊聖請以禫服從軍從之
震史記略v4渴明日再戰則危矣遂決歸大軍一時潰散監司李時昉聞之以兵付中軍嚴愰托以收散卒馳還公州俊龍數其畏胡不進之罪時昉與朴遾反毁於上鳴吉極言前後戰挺之功得免○十八日洪瑞鳳崔鳴吉奉國往虜營金尙憲裂書痛哭曰先大夫有名於士大
丙子錄v1僧軍之來欲與慶尙監司沈演同力進戰聞光交山金俊龍之軍自潰托以收拾散兵退歸公州自監司之退軍官以下次第撤歸時昉謫定山一年而放特拜濟州牧使統制使尹璛以李時昉之移關棄其本鎭使虞候黃漢領送舟師自率手下兵數百名來到原州
秘密日記:仁祖二十五年丁亥-孝宗六年乙未三月v1三月初一日臣在松都時與遠接使李時昉京畿畿監司沈之源 相接則時昉 曰今番下去二勅以不給別禮單深有憾意故前於狀啓中略及矣厥後又聞上勅謂㗡石 曰同是勅行而待我則薄爾是本
野乘v14不赴平山徘徊出沒幸國家之有事将欲別處逞心臣䓁不虞虜騎之衝突惟患将領之跋扈乃以謀避邉将啓請為曉星嶺別将時昉知事不成以單騎一日一夜馳到平山具以告之景禛即朝促食發程臨行留其所愛白馬別曰吾蜼徃彼若聞舉事之期當星夜
野乘v14後去可也相約而去及赴平山馳啓催促且送子時昉與洛中諸人共圖機事時申已發向平山遇於長湍與李曙會宿議約而罷時昉到京則領相朴承宗疑其縱迹囬啓曰景禛将才超類自經一家禍患之後疑惧怨望不赴關西又不赴平山徘徊出沒幸國家之
野乘v14平安虞候而遽赴平山人必致疑吾佯示不肯之色而姑勿同徃待令公敦迫而後去可也相約而去及赴平山馳啓催促且送子時昉與洛中諸人共圖機事時申已發向平山遇於長湍與李曙會宿議約而罷時昉到京則領相朴承宗疑其縱迹囬啓曰景禛将才
國朝捷錄v01字敦爵號釣隱延安人貴之子靖社功臣淸白吏庚寅拜領忠翼公判書七代祖監司度默六代祖公之弟西峰時昉玄孫命植文判書白沙門人延安府院君丙子以守禦使西暗門外大捷
仁祖大王山陵儀軌v1陵時 亦用此石云 故臣等 當爲磨鍊矣 及臣時昉出去役所看
仁祖大王山陵儀軌v1陵所 雖不得與時昉聯名待罪 臣等不可晏然察任 伏地待罪
仁祖大王山陵儀軌v1陵所 臣時昉來初九日 將爲
壽宴謄錄v1今二月十二日晝講時特進官李時昉所啓進豊呈旣已退行各邑支定之物若或上來則別置該曹以待後日何如上曰依爲之時昉曰若油淸等物不可久留作木藏置何如上曰知道
國朝人物志v3字季明時白弟仁祖癸亥靖社時父貴錄一等元勳時昉與其兄時白錄二等勳三父子同日封君丁卯之警上將幸江都以時昉爲巡檢使先往整齊軍事
國朝人物志v3諭褒其先見諫院論延城君李時昉扶護自點請竄義伯以司諫謂此家素名忠謹不當過疑寢其啓時昉李相時白之弟也人服義伯秉公之心官至參判人物考子座字元直孝宗辛卯文科官止正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