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광현(金光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AD11D604B1584X0
자(字)회여(晦汝)
호(號)수북(水北)
생년1584(선조 17)
졸년1647(인조 25)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新])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상용(金尙容)
저서『수북유고』
공신호영사공신(寧社功臣)

[상세내용]

김광현(金光炫)
1584년(선조 17)∼1647년(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회여(晦汝), 호는 수북(水北).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아들이다.

1612년(광해군 4) 생원‧진사 양과에 모두 합격하였으나,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비판하며 관직에 나가지 않고 있다가,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숨은 인재로 뽑혀 연원도찰방(連源道察訪)을 제수받았다.

그러나 부임하기 전, 1625년(인조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승문원홍문관부정자, 검열정언을 거쳐 이괄(李适)의 난 및 유효립(柳孝立)의 역모사건 때 영사공신(寧社功臣) 1등에 책봉되었으나 뒤에 개훈(改勳)때 삭제되었고, 1626년 수찬교리암행어사를 거쳐 1627년 정묘호란 때 호조판서 심열(沈悅)종사관으로 기읍(畿邑)에 파견되어 기민구제에 힘썼으며, 사간응교대사헌대사간예조참의를 거쳐 1634년 부제학이 되었다.

이때 대사간 유백증(兪伯曾)인조의 사친추숭(私親追崇)을 옹호함을 임금에게 아부한다 하여 탄핵하다가 삼수(三水)로 유배당하였다. 다음해 재이(災異)가 빈발함을 이유로 방면되어 돌아왔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그의 아버지 김상용강화로 피난하였다가 강화가 함락당하매 그곳에서 자살하자, 그도 홍주오촌동(鰲村洞)에 은거하였다.

조정에서 그 호종(扈從)의 공을 수록하고 대사간을 제수하였으나 나가지 않았다. 다시 청주목사에 제수되었으나, 모든 문서에 청나라 연호 쓰기를 거부하고 단지 간지만 씀으로써 파직당하였다.

그뒤 이조참판을 배수하였으나 사직하였다.

1646년 소현세자빈 강씨의 옥이 일어나 강씨가 사사되자, 강빈의 오빠 강문명(姜文明)이 그의 사위였던 까닭에 순천부사로 좌천되었다가 이듬해 그곳에서 울분 끝에 죽었다.

전서(篆書)와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글씨로는 홍천에 있는 「홍양청난비(洪陽淸難碑)」 및 통진에 있는 「민기신도비(閔箕神道碑)」와 「영상이탁묘비(領相李鐸墓碑)」가 있다.

시문집으로 『수북유고』 4권이 전한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槿域書畵徵

[이미지]

[집필자]

김동수(金東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