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해군(臨海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D574AD70B1574X0
이명(異名)이진국(李鎭國)
이명(異名)이진(李珒)
시호(諡號)정민(貞愍)
생년1574(선조 7)
졸년1609(광해군 1)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자
외조부김희철(金希哲)

[상세내용]

임해군(臨海君)
1574년(선조 7)∼1609년(광해군 1). 조선 제14대왕 선조의 서자.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진국(鎭國). 뒤에 진(珒)으로 고쳤다. 모친은 사도시첨정 김희철(金希哲)의 딸이다.

서자이지만 서열이 첫째이므로 당연히 세자가 되어야 하나 성질이 난폭하여 아우인 광해군에게 세자 자리를 빼앗기고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명에 의하여 순화군(順和君)과 함께 김귀영(金貴榮)윤탁연(尹卓然) 등을 대동하고 근왕병을 모집하기 위하여 함경도로 떠났다.

그해 9월 반적 국경인(鞠景仁) 등에 의하여 포로가 되어 왜장 가토(加藤淸正)에게 넘겨져 고원(高原)에 수감되었다가 이듬해 부산으로 이송되었다. 여러 차례 석방협상 끝에 석방되어 서울로 돌아왔다.

본래 성질이 포악한 데다가 포로가 되었던 정신적인 압박으로 인하여 그 포악함은 더욱 심해져서 분을 발산시키기 위하여 길거리를 헤매었고 민가에 들어가 재물을 약탈하고 상민을 구타하는 등 행패를 부렸다.

한편, 왜장 가토는 포로로 있을 때 친분을 기화로 여러 차례 그에게 서신을 보내서 내정을 탐사하려고 하였다.

그뒤 1603년 사옹원도제조가 되었다.

1608년 선조가 죽자 세자봉작에 대한 서열문제가 명나라에서 다시 거론되어 현장실사를 위하여 사신이 파견되기에 이르렀다. 광해군을 지지하는 일부 대신들의 주청에 의하여 진도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강화교동으로 이배되었고, 이듬해 죽음을 당하였다.

1623년(인조 1) 광해군이 쫓겨나고 인조가 등극하자 복작신원되었고, 시호는 정민(貞愍)이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璿源系譜
燃藜室記述
朝野會通
璿源寶鑑

[집필자]

권오호(權五虎)
대표명임해군(臨海君)
진(珒)
봉호임해(臨海), 임해군(臨海君), 임해군진(臨海君珒)

봉호 : "임해군진(臨海君珒)"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臨海君珒恭嬪金氏出光海君己酉被禍○娶陽州許氏參議銘女有繼子光海君琿註見下義安君珹儲慶宮敬惠裕德仁嬪金氏出早卒
國朝編年v15○時賊屯據南邊民不得以時耕獲窮餒日甚皇朝運致山東田米百萬斛以賑之○皇朝斬楊元陳愚衷傳首我國○上下敎曰臨海君珒承召時沈醉誠極駭愕罷職○備邊司啓曰我國三邊濱海無處不産魚鹽民皆賴此以生若使統領區畫得宜則軍食亦將自此
國朝編年v18鄭仁弘上疏以首相柳永慶謀危東宮宣廟竄爾瞻及仁弘等將大治黨援俄而宣廟棄羣臣事乃大變永慶安置尋死上之母兄臨海君珒廢死皆爾瞻希奮協謀而爲之也自此嗾人告密連起逆獄誅鋤宗戚至癸丑銀賊朴應犀爲大將韓希吉所獲將以法誅應犀故
國朝人物志v2苟容之態自古大臣有如此者乎解相家居久之趙憲上疏斥貴榮遂辭歸商山壬辰倭亂分遣諸王子臨海君珒往關北貴榮從之順和君往關東黃廷彧從之倭逼會寧土民作亂執兩王子以降貴榮在
國朝人物志v2弼世子在髫齕祖益原君景霖奇之曰此兒必昌我家賜金帶丙寅文科歷檢閱爲楊州牧使王子臨海君珒家奴橫甚人莫敢近捕繫獄中笞掠幾死金昭容寵冠後宮其家恃勢偸葬人墓山主呈訟據法竟移葬壬辰以副提
國朝人物志v2宣祖有十四男仁穆王后生永昌大君㼁恭嬪金氏生臨海君珒光海君琿仁嬪金氏生義安君珹信城君珝義昌君玧元宗大王順嬪金氏生順和君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