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민환(李民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BFCD658B1573X0
자(字)이장(而壯)
호(號)자암(紫巖)
시호(諡號)충간(忠簡)
생년1573(선조 6)
졸년1649(인조 27)
시대조선중기
본관영천(永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광준(李光俊)
평산신씨(平山申氏)
외조부신권(申權)
저서『건주견문록(建州見聞錄)』
저서『자암집』

[상세내용]

이민환(李民寏)
1573년(선조 6)∼1649년(인조 2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이장(而壯), 호는 자암(紫巖).

부친은 관찰사 이광준(李光俊)이며, 모친은 평산신씨(平山申氏)선무랑 신권(申權)의 딸이다.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160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뒤 검열정언병조좌랑을 거쳐, 1603년 암행어사평안도에 가서 수령의 비행과 민정을 살폈으며, 1608년 영천군수로 나갔다.

1618년(광해군 10) 명나라에서 군원을 요청하자, 원수 강홍립(姜弘立)의 막하로 출전하여 부차(富車)싸움에서 패하여 청군의 포로가 되었다.

17개월 동안 청나라의 항복 권유를 물리치고, 1620년에 석방되어 의주에 이르렀을 때 사원을 가진 박엽(朴燁)의 무고를 받아 4년간 평안도에서 은거생활을 하다가 1623년(인조 1)인조반정으로 서울로 올라왔다.

이괄(李适)의 난 때와 정묘호란 때 왕을 호종하였고,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영남호소사(嶺南號召使)장현광의 종사관이 되어 출전하였다. 난이 끝난 뒤 군자감정으로 통정계(通政階)에 올랐고, 이어 동래부사가 되어 번거로운 폐단을 근절하였다.

그뒤 판결사호조참의형조참판에 임명되었다가, 1645년에 경주부윤으로 나갔다.

저서로는 『건주견문록(建州見聞錄)』『자암집』이 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