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지계(朴知誡)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9C0ACC4B1573X0
자(字)인지(仁之)
호(號)잠야(潛冶)
시호(諡號)문목(文穆)
생년1573(선조 6)
졸년1635(인조 13)
시대조선중기
본관함양(咸陽)
활동분야학자 > 유생
박응립(朴應立)
조부박세무(朴世茂)
저서『사서근사록의의(四書近思錄疑義)』
저서『주역건곤괘설(周易乾坤卦說)』
저서『잠야집(潛冶集)』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지계(朴知誡)
1573년(선조 6)∼1635년(인조 13).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인지(仁之), 호는 잠야(潛冶).

『동몽선습(童蒙先習)』을 지은 박세무(朴世茂)의 손자이며, 군수 박응립(朴應立)의 아들이다.

10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밑에서 성장하면서 『논어』를 탐독하여 장차 대유(大儒)가 될 이상을 갖추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어머니를 모시고 충청도 제천으로 피난하였다가 정유재란 때는 괴산에 우거하면서 어머니의 병환을 극진히 간호하였다.

1606년(선조 39) 이조판서 허성(許筬)이 그를 왕자사부(王子師傅)로 천거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1609년(광해군 1) 옥당(玉堂)최현(崔晛)좌세마 겸 서연관(左洗馬兼書筵官)으로 천거하였으나 사양하였다.

그뒤 정신(廷臣) 가운데 광해군의 생모에게 비호(妃號)를 올리자는 주장이 있자 호서(湖西)로 거처를 옮기고 오직 학문에만 전념하면서 권흥(權興)조익(趙翼) 등과 도학을 강론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후 왕의 부름으로 사헌부지평을 제수받았다. 그는 당시의 과거제도의 폐단을 논하여, 주자(朱子)의 덕행과(德行科), 조광조(趙光祖)의 현량과(賢良科), 이이(李珥)의 선사법(選士法) 등이 그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훌륭한 제도라고 진언하였다.

한때 조정의 중신들과 예론에 관한 의견이 대립되어 남양(南陽)에 우거하다가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로 내려가 왕을 호종하였다. 수복 후 김장생(金長生)과 같이 서울로 돌아와서 양민치병(養民治兵)의 계책을 상소하였다.

또한 이이성혼(成渾)의 문묘종사(文廟從祀)를 수창(首唱)하기도 하였다. 이방숙(李芳淑)조광선(趙光善)김극형(金克亨)권시(權諰)원두추(元斗樞) 등이 그의 제자들이다.

저서로는 『사서근사록의의(四書近思錄疑義)』『주역건곤괘설(周易乾坤卦說)』『잠야집(潛冶集)』 등이 있다. 시호는 문목(文穆)이며, 충청남도 아산인산서원(仁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집필자]

윤혁동(尹焃東)

명 : "지계(知誡)"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皇字稱子而不加孝字其祭式依德興故事以上弟綾原君俌主其祀時金長生朴知誡皆以儒臣被徵入京而兩人所見又不同知誡以爲旣補父母而以弟主祀於禮有違喪必三年祭必自主朝廷指爲迎合譁然攻之知誡遂棄官還鄕金長生上疏以爲雖兄繼
國朝人物志v3茂孫生纔五歲母夫人手指適傷於刀刃見之驚痛號呼潛引刀自割其指以驗其痛及寓居槐山母經年沈疾知誡夙夜扶護坐而假寐只以木枕支額兩眉盡脫宣祖丙午爲王子師傅拜持平司業承旨皆不就
國朝人物志v3字方叔號亮谷咸平人咸豐君效元孫官止參奉從潛冶朴知誡受學精思審問務極其致知誡喜曰吾道有人矣癸亥靖社日叔父咸陵君澥問其義義吉曰此春秋致討之旨也其無疑亦明矣澥請與同事
國朝人物志v3曰井眉長過眼九歲始學不百遍不成誦入紫峯山中讀書數十年丙寅元宗追崇朴知誡倡其議穆以齋任罰知誡曰逢君亂禮上命停擧丁丑避淸兵入關東轉居泗川漆原等地孝宗元年薦除參奉後拜
國朝人物志v3寅文科以試官睦大欽姪女壻罷榜庚午再擢明經及第入翰苑時潛冶朴知誡力主追崇議許穆罰知誡延平李貴以聞上怒命四館罰許穆珩不奉行上怒下吏配扶餘踰年放還乙未以通信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