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존경(金存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874ACBDB1569X0
자(字)수오(守吾)
호(號)죽계(竹溪)
생년1569(선조 2)
졸년1631(인조 9)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산(光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언욱(金彦勗)

[상세내용]

김존경(金存敬)
1569년(선조 2)∼1631년(인조 9). 조선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수오(守吾), 호는 죽계(竹溪).

부친은 김언욱(金彦勗)이다.

1599년(선조 3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문한관(文翰官)을 거쳐 1606년 황해도도사가 되었는데, 도내의 재상(灾傷)을 조사할 때 사리를 채우다 사헌부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1615년(광해군 7) 삼척부사로 제방을 쌓고 선정을 베풀어 가자되었는데, 이때 화약‧군기 등을 많이 마련하여놓아 뒷날 또다시 포상, 가자되었다.

1617년 성절사명나라에 파견되었는데, 왕에게 사사로이 재물을 바쳐 총애를 받았으나 역관들에게는 은을 징수하여 많은 물건을 사와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이듬해에 강원도 감사가 되었으나 시정을 잘 처리하지 못해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고, 이어서 지중추부사를 거쳐 경주부윤이 되었다. 인조반정 이후에는 대북의 몰락과 함께 주요관직으로부터 밀려났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大東野乘

[집필자]

장동익(張東翼)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