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경세(鄭經世)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ACBDC138B1563X0
자(字)경임(景任)
호(號)우복(愚伏)
시호(諡號)문장(文莊)
생년1563(명종 18)
졸년1633(인조 11)
시대조선중기
본관진양(晉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여관(鄭汝寬)
합천이씨(陜川李氏)
외조부이가(李軻)
저서『우복집』
저서『상례참고(喪禮參考)』
저서『주문작해』

[상세내용]

정경세(鄭經世)
1563년(명종 18)∼1633년(인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

부친은 좌찬성 정여관(鄭汝寬)이며, 모친은 합천이씨(陜川李氏)이가(李軻)의 딸이다.
1. 가계와 수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릴 때부터 남다른 기질이 있어 천자(天資)가 영오(穎悟)하여 7세에 『사략(史略)』을 읽고 8세에 『소학』을 배웠는데, 불과 절반도 배우기 전에 문리가 통하여 그 나머지 글은 스스로 해독하였다 한다.
2. 관직과 치적
1578년(선조 11)경상도 향시(鄕試)에 응시하여 생원과 진사의 초시에 합격하였고, 1580년 유성룡의 제자가 되어 학문에 진력하였다.

1582년 회시(會試)에서 진사에 뽑히고 1586년 알성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에 임명되었다.

1588년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이 되었다가 곧 통사랑 대교로 승진되었다.

1596년 이조좌랑시강원문학을 겸하였으며, 한때 잠시 영남어사의 특명을 받아 어왜진영(禦倭鎭營)의 각처를 순시하고 돌아와 홍문관교리경연시독관춘추관기주관을 겸임하였으며, 곧이어 이조정랑시강원문학을 겸하였다.

정랑의 직에 있을 때에 인사행정이 공정하여 현사(賢邪)를 엄선하여 임용 또는 퇴출하였으며, 특정인에게 경중을 둔 일이 없었다.

1598년 2월에 승정원우승지로, 3월에는 좌승지로 승진되었고, 4월에는 경상감사로 나갔다. 경상감사 재임시에는 영남일대가 임진왜란의 여독으로 민력(民力)이 탕갈되고 인심이 각박한 것을 잘 다스려 도민을 너그럽게 무마하면서 양곡을 적기에 잘 공급하여주고, 민풍(民風)의 교화에 힘써 도내가 점차로 안정을 가져오게 되었다.

1600년 영해부사가 되어 이 고을 풍습이 싸움을 잘하고, 남을 모략하는 투서가 심함을 근절시켜 민풍을 일신시켰다. 그해 겨울에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왔다. 그사이에 몇 번의 소명을 받았으나 잠시 상경하였다가 다시 귀향하였다.

당시는 당쟁의 풍랑으로 정계는 자못 시끄러웠다. 정경세는 이때를 기하여 관직을 사양하고 고향에 돌아와 학문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마을에 존애원(存愛院)을 설치하여 사람들의 병을 무료로 진료하였다.

그는 도학(道學)의 전수가 정몽주(鄭夢周)에서 창시하여 이황(李滉)에서 집성하였으며,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같은 여러 현인이 나와 정학(正學)을 강명(講明)하여 이들 모두 수백리 안에서 울흥하였고, 상주는 또한 영남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 서원을 세워야 함을 역설하고 유생을 설득하여 도남서원(道南書院)을 창건하고, 오현(五賢)을 종사(從祀)하여 후학으로 하여금 도학의 정통이 여기에 있음을 알게 하였다.

1607년 대구부사로 나가 치적을 올렸고, 이듬해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교서를 내려 정경세에게 구언(求言)을 하였는데, 그는 이에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사치의 풍습을 경계하고 인물의 전형을 공정하게 하며 학문에 힘쓸 것을 강조하였다.

1609년(광해군 1) 봄에 동지사명나라에 가서 그 다음해에 돌아오면서 병부(兵部)에 글을 올려 화약(火藥)의 매입을 예년의 갑절로 교섭하여 그 수입에 진력하였으므로, 특지(特旨)로 가선대부(嘉善大夫)의 칭호를 내렸다.

그해 4월에 성균관대사성이 되었고, 10월에 외직을 원하여 나주목사에 배명되어 12월 부임하는 날 다시 전라감사에 영전되어 그뒤 도정(道政)에 전념하다가 이듬해 8월에 정인홍(鄭仁弘)일당의 사간원 탄핵으로 해직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정국이 일변되자 3월에 홍문관부제학이 제수되었다.

그뒤 대사헌승정원도승지의정부참찬형조판서예조판서이조판서대제학 등의 관직을 거치면서 공도(公道)를 확장하고 요행을 억제하며, 인재를 널리 취하고 사론(士論)을 조화하여 국정에 심력을 기울였다.
3. 학문
정경세의 학문은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그는 평소에 주자(朱子)를 흠모하고 존신하였으며, 주서(朱書)를 편람, 정독하여 후진교육이나 조의(朝議)에서나 경연에서 진강할 때 주서에 근거를 두지 않음이 없었다.

『양정편(養正篇)』은 주자가 편찬한 『소학』과 표리가 되고 『주문작해(朱文酌海)』이황이 편찬한 『주서절요(朱書節要)』와 표리가 되는 것으로 주자학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그는 또 경전에 밝았는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그의 제자로는 전명룡(全命龍)신석번(申碩蕃)강진룡(姜震龍)황뉴(黃紐)홍호(洪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우복집』『상례참고(喪禮參考)』『주문작해』가 있다.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참고문헌]

愚伏集
國朝榜名錄
朝鮮儒敎淵源

[집필자]

김도기(金道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