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경세(鄭經世)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ACBDC138B1563X0
자(字)경임(景任)
호(號)우복(愚伏)
시호(諡號)문장(文莊)
생년1563(명종 18)
졸년1633(인조 11)
시대조선중기
본관진양(晉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여관(鄭汝寬)
합천이씨(陜川李氏)
외조부이가(李軻)
저서『우복집』
저서『상례참고(喪禮參考)』
저서『주문작해』

[상세내용]

정경세(鄭經世)
1563년(명종 18)∼1633년(인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경임(景任), 호는 우복(愚伏).

부친은 좌찬성 정여관(鄭汝寬)이며, 모친은 합천이씨(陜川李氏)이가(李軻)의 딸이다.
1. 가계와 수학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릴 때부터 남다른 기질이 있어 천자(天資)가 영오(穎悟)하여 7세에 『사략(史略)』을 읽고 8세에 『소학』을 배웠는데, 불과 절반도 배우기 전에 문리가 통하여 그 나머지 글은 스스로 해독하였다 한다.
2. 관직과 치적
1578년(선조 11)경상도 향시(鄕試)에 응시하여 생원과 진사의 초시에 합격하였고, 1580년 유성룡의 제자가 되어 학문에 진력하였다.

1582년 회시(會試)에서 진사에 뽑히고 1586년 알성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에 임명되었다.

1588년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이 되었다가 곧 통사랑 대교로 승진되었다.

1596년 이조좌랑시강원문학을 겸하였으며, 한때 잠시 영남어사의 특명을 받아 어왜진영(禦倭鎭營)의 각처를 순시하고 돌아와 홍문관교리경연시독관춘추관기주관을 겸임하였으며, 곧이어 이조정랑시강원문학을 겸하였다.

정랑의 직에 있을 때에 인사행정이 공정하여 현사(賢邪)를 엄선하여 임용 또는 퇴출하였으며, 특정인에게 경중을 둔 일이 없었다.

1598년 2월에 승정원우승지로, 3월에는 좌승지로 승진되었고, 4월에는 경상감사로 나갔다. 경상감사 재임시에는 영남일대가 임진왜란의 여독으로 민력(民力)이 탕갈되고 인심이 각박한 것을 잘 다스려 도민을 너그럽게 무마하면서 양곡을 적기에 잘 공급하여주고, 민풍(民風)의 교화에 힘써 도내가 점차로 안정을 가져오게 되었다.

1600년 영해부사가 되어 이 고을 풍습이 싸움을 잘하고, 남을 모략하는 투서가 심함을 근절시켜 민풍을 일신시켰다. 그해 겨울에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왔다. 그사이에 몇 번의 소명을 받았으나 잠시 상경하였다가 다시 귀향하였다.

당시는 당쟁의 풍랑으로 정계는 자못 시끄러웠다. 정경세는 이때를 기하여 관직을 사양하고 고향에 돌아와 학문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마을에 존애원(存愛院)을 설치하여 사람들의 병을 무료로 진료하였다.

그는 도학(道學)의 전수가 정몽주(鄭夢周)에서 창시하여 이황(李滉)에서 집성하였으며,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같은 여러 현인이 나와 정학(正學)을 강명(講明)하여 이들 모두 수백리 안에서 울흥하였고, 상주는 또한 영남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곳에 서원을 세워야 함을 역설하고 유생을 설득하여 도남서원(道南書院)을 창건하고, 오현(五賢)을 종사(從祀)하여 후학으로 하여금 도학의 정통이 여기에 있음을 알게 하였다.

1607년 대구부사로 나가 치적을 올렸고, 이듬해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교서를 내려 정경세에게 구언(求言)을 하였는데, 그는 이에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사치의 풍습을 경계하고 인물의 전형을 공정하게 하며 학문에 힘쓸 것을 강조하였다.

1609년(광해군 1) 봄에 동지사명나라에 가서 그 다음해에 돌아오면서 병부(兵部)에 글을 올려 화약(火藥)의 매입을 예년의 갑절로 교섭하여 그 수입에 진력하였으므로, 특지(特旨)로 가선대부(嘉善大夫)의 칭호를 내렸다.

그해 4월에 성균관대사성이 되었고, 10월에 외직을 원하여 나주목사에 배명되어 12월 부임하는 날 다시 전라감사에 영전되어 그뒤 도정(道政)에 전념하다가 이듬해 8월에 정인홍(鄭仁弘)일당의 사간원 탄핵으로 해직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정국이 일변되자 3월에 홍문관부제학이 제수되었다.

그뒤 대사헌승정원도승지의정부참찬형조판서예조판서이조판서대제학 등의 관직을 거치면서 공도(公道)를 확장하고 요행을 억제하며, 인재를 널리 취하고 사론(士論)을 조화하여 국정에 심력을 기울였다.
3. 학문
정경세의 학문은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그는 평소에 주자(朱子)를 흠모하고 존신하였으며, 주서(朱書)를 편람, 정독하여 후진교육이나 조의(朝議)에서나 경연에서 진강할 때 주서에 근거를 두지 않음이 없었다.

『양정편(養正篇)』은 주자가 편찬한 『소학』과 표리가 되고 『주문작해(朱文酌海)』이황이 편찬한 『주서절요(朱書節要)』와 표리가 되는 것으로 주자학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그는 또 경전에 밝았는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그의 제자로는 전명룡(全命龍)신석번(申碩蕃)강진룡(姜震龍)황뉴(黃紐)홍호(洪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우복집』『상례참고(喪禮參考)』『주문작해』가 있다.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참고문헌]

愚伏集
國朝榜名錄
朝鮮儒敎淵源

[집필자]

김도기(金道基)

성명 : "정경세(鄭經世)"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在楊州健元陵西第二岡誌文鄭經世撰又有表石○初葬健元陵西岡行狀李廷龜撰誌文李山海撰○仁祖庚午移葬于此○肅宗丙辰定世室
國朝編年v15鄭琢不合相遞之人謂請放山海之故而意出於柳成龍南北之黨尤深李元翼代鄭琢爲相南以恭金藎國欲通李慶全淸路而鄭經世爲銓郞執不許戊戌丁應泰構誣我國上欲遣柳成龍于天朝伸辨而成龍有老母而不堪行之語上意甚不平李爾瞻爲持平欲
國朝編年v16衍蓋以昌衍王妃之表叔也元翼不得已以金信元韓孝純及昌衍薦之昌衍遂爲吏曹判書物議譁然外戚權始盛無敢言者時鄭經世爲大丘府使應求言旨上疏極言初改之失至曰其人不預則命使加望其人又不預則又命加望必得其人之姓名然後始肯落
國朝編年v17陽之說眩惑其君謂松京基業已衰西京有王氣宜移都遂作新宮于西京林原驛終有柳旵等之亂前事如此豈非可戒云同知鄭經世獻議曰盘庚之毫邑以有圯河之患成王之洛都取其道里之均衛文之楚丘在於爲狄所滅之後此皆不得已之大計國之祈天
國朝編年v19思益慮偏重所生而後日或有加隆之議有此防微之意論也月沙集○上將親祭于私廟廷臣議祝辭禮曹判書李廷龜副提學鄭經世與大臣皆以爲上以親孫繼宣廟之統與傍支爲人後者不同旣不考宣廟則於私親無二考之嫌尙稱考自稱子先生上疏曰帝
國朝編年v20傳曰諸生之至於空館予甚愧焉善爲開諭俾無過激之擧○五月大旱京城昭德門外蓋井連日鳴動如磨穀聲一日二三巡○鄭經世疏略曰忽聞登對大臣詢以追崇之事大臣皆以爲不可而聖斷赫照自用不回卽下遣使奏請之命臣之迃滯竊以爲聖躬闕失
紀年便攷v15鄭經世
紀年便攷v15鄭經世晉州人汝寬子明宗癸亥生字景任號愚㐲堂又荷渠又一默柳成龍門人居尙州八嵗讀小學未半文理自通 宣祖壬午二十
紀年便攷v18州宣祖壬午生貟辛卿登别試厯舍人官止副學文學俱長仁祖朝上疏獻毖後箴又撰進中興龜鑑上賜手敎褒之退居嶺南與鄭經世講道乙亥卒年七十六贈吏判謚文簡兄㙉字叔載號月澗柳成龍門人明於禮學以遺逸拜典簿不就後為知縣院享
紀年便攷v19䓁覈治慓父純一即爾瞻切族受爾瞻嗾馳徃鳯山脅以禍福使自誣服乃以金直㢤與其子百緘及前参判尹安性父子前縣監鄭經世丁好恕好悌好善崔有海前府使金台佐正字田闢䓁謀逆發告兵使柳公亮馳啓監司尹暄獨奏其胡亂不實状主怒以暄為護
紀年便攷v19蘇鳴國知之乃上䟽誣称景禧與其黨掌令尹趌正言楊時晉欲推戴綾昌并下獄鍜鍊杖死佺圍籬于喬桐燒炕逼殺之辭連人鄭經世李溟放釋鳴國粗觧文字後以怨望亦被律
紀年便攷v19正後拜承㫖善諸與書畵樂律雜技無不精通乙丑卒年六十五兄弟文科弟希仁字汝長仁祖丁卯以進士登明經科官止郡守鄭經世門人
紀年便攷v20七入對首陳廢主全恩脅從罔治之請上將行親政以申欽為吏曺判書李廷龜為禮曺判書徐渻為刑曺判書吳允謙為大司憲鄭經世為副提學金長生為掌令張維李植為吏曺佐郞鄭蘊為獻納金德諴為司諌鄭弘翼為大司成識者以為天下精英之氣盡萃朝
紀年便攷v20營使先是貴守松京募兵称為御營軍未幾貴遞職備邊司請以貴為使新留守趙存性為副依貴約杏以備緩急從之○副提學鄭經世上劄條陳時弊從之○正月平安兵使李适與龜城府使韓明璉舉兵叛以李元翼為都軆察使李時發為副徃征之初适以反正
紀年便攷v20在健元陵第二岡先是原州牧 使沈命世上䟽言穆陵地不言且有水氣上命禮官議遷卜至是移奉于此移葬誌文鄭經世
紀年便攷v20先是追尊大院 君時李廷龜鄭經世張維趙翼謂當称考别廟綾原君主祀吳允謙金長生謂當称泊叔父别廟綾原君主祀而李貴兪伯曾朴知誡等皆以称考享宗
紀年便攷v21學完伯畿伯光海廢母時持正不撓仁祖反正後與弟敏求頗爲西論仁城君當殺云者諸功臣西人之意不當殺云者南人主之鄭經世一隊草野公論深懲於光海戕殺同氣之事以活仁城爲淸論黃棨以西人亦附經世之論李烓有詩曰鵾鵬南去滄溟闊宛馬西
紀年便攷v21鄭經世見宣祖朝湖堂
紀年便攷v21撰選湖堂歷舍人副學丁卯爲體相李元翼從事以應敎力爭章陵追崇文藝卓越名譽早著尤長於詩與筆爲人凝重明經學問鄭經世論當世人物推世濂爲第一歷提學官止戶判丙戌卒年五十四諡文康
紀年便攷v21門人居尙州宣祖己丑司馬壬辰倡義募士殺賊數十餘以大臣薦除連原察訪癸卯以直長登明經科光海政亂棄官歸鄕里與鄭經世李埈相羊山水間時稱商社三老嘗論斥鄭仁弘仁祖反正拜禮郞歷三司甲子以僕正扈從公州乙丑以刑曹參議水路朝天時
紀年便攷v22日好善至繫獄而其弟好恕以定州牧使斬适使起兵勤王以此好善獨蒙赦官止通政東伯癸酉卒年六十三贈領相與盧守愼鄭經世幷享于尙州院七世孫若鏞見下
紀年便攷v22李元俊大福子宣祖壬申生字伯英號慕菴辛丑進士以文章學行入仕光海時屢徵不起仁祖反正擧遺逸與金長生張顯光鄭經世鄭蘊同時入朝拜安□(義?)縣監不久辭歸以子敏厚參勳驟拜左參贊顯宗辛丑卒年九十
紀年便攷v22安璹廣州人餘慶子字待而號藥圃宣祖乙巳進士光海己酉登增廣勢焰薰天如仁弘輩視之若浼力學能文鄭經世以全其名節薦之官止郡守
紀年便攷v22弟沈字深源號松灣師事鄭經世癸丑司馬性至孝生前旌閭以孝友志節兄弟竝享鄕祠
紀年便攷v22鞠涵經禮八世孫僉樞守成子宣祖癸酉生字養源號喚醒受業於鄭經世光海癸丑司馬與弟沈同榜時値昏朝杜門斂迹沈潛經籍悠然自適沈大孚贈詩曰天外高標雲外情人間巢許有吾兄孝宗癸
紀年便攷v23洪鎬貴達玄孫蔭司正德祿子高從厚婿字京叔號無住居咸昌鄭經世門人宣祖丙午登明經科官止大司諫在槐院枳李大燁在諫院請伸朴承宗補外後復伸前論子汝河見下
紀年便攷v23許稷潛孫文通政儆子字汝遇光海丁巳以司果魁謁聖官止府尹仁祖癸亥獄辭連栲死鄭經世疏辨其冤
紀年便攷v23申碩蕃槩五世孫謹子宣祖丙申生字仲衍號百源居安東性忠厚寛恕學于李楘從鄭經世李埈遊時以溫良稱仁祖癸酉上舍丁丑後無意當世連除金吾郞大君師傅童蒙敎官皆不就孝宗急於求賢銓曹薦十人碩蕃
紀年便攷v23耶适賊怒甚使降倭擧長刃左右䂨之骨肉片片永緖正色不變死節年四十六返柩時鄭經世發通護喪諸輓稱之以常山杲卿上命旌閭贈兵參英祖朝加贈兵判諡忠壯享星州忠烈祠
紀年便攷v25宋浚吉爾昌子鄭經世壻與姜碩期爲姨從宣祖丙午生字明甫號同春金長生門人卒業於金集與宋時烈兪棨從遊鄭經世嘗重之至則灑掃室堂如
東國歷代總目v02李爾瞻韓纉男鄭造尹訒朴燁鄭遵等以李元翼爲領相召還鄭蘊鄭弘翼金德諴於謫所宣祖朝舊臣尹昉申欽吳允謙李廷龜鄭經世等及其他以言獲罪者皆收用策靖社功臣錄金瑬等五十人○甲子李适以平安兵使叛兵逼京城上幸公州○都元帥張晩別
羹墻錄v1領敦寧金堉大提學蔡裕後等續成之國朝寶鑑十年壬申追尊定遠大院君爲王廟號曰元宗改興慶園爲章陵時李廷龜鄭經世張維趙翼謂當稱考別廟吳允謙金長生謂當稱伯叔父別廟李貴兪伯曾朴知誡以稱考享宗廟爲正及連珠府夫人薨
記聞v1韓浚謙鄭經世宣祖己丑大提學柳成龍
記聞v1仁祖朝啓運宮之喪自上欲服斬合司爭執都憲鄭經世引避曰成服前夕禮判金尙容謂臣曰明日成服雖退合司終不停論耶自上催入儀註故欲知之答曰本欲連夜爭執自上有窒
歷代帝王紀年v01鄭經世景任愚伏吏判尙州人李瀣溫溪大司憲尹根壽子固月汀府院君
國朝捷錄v01字得輿號觀松友善子克墩后反正後幷四子誅仁祖朝申欽見相錄金瑬見相錄儐姜翰林日廣王給事㒱尹張維見相錄再典鄭經世字景任號愚伏吏判晉州人文肅公汝寬子丁巳立異宣祖朝科崔鳴吉號遲川見相錄洪瑞鳳聖民侄見相錄金尙憲見相錄李
國朝捷錄v01世賢子參贊右李珥選癸未李好閔見文文僖公七嵗道經史字孝彦國柱子右李山海選乙酉韓浚謙益之柳川文翼公孝胤子鄭經世汝寬子愚伏見伩儒右柳成龍選己丑李慶全石樓山海子韓山人李幼澄字澄源誠中子見勳監司命雄父李尙弘而重呂州人
晋陽鄭氏家牒藝文館檢閱兼春秋館記事官府君墓誌 晉陽後人刑曹判書鄭經世有男二人其長曰 杺字文中幼而英粹甫學語披輿地圖指示
文獻攷略v1仁祖癸亥鄭經世啓辭曰歷代創業與國統中絶而再造之君稱祖我宣廟雖遭外寇而收復不宜稱祖光海初年欲稱以祖其時尹根壽以無
孝懿王后國恤草日記而服緦將事 云云此蓋歸重於父葬緬服而言也又按文莊公鄭經世曰以齊衰 改葬前喪似不妨恐不當以最輕服易之文正公宋
靑邱風雲v1相擊及戊戌倭始撤歸山海亦已宥還屬鄭澈沒而東人復進持澈益急追奪其職山海子慶全將薦入吏曹錄東人鄭經世執不可山海怨經世嗾其黨移攻其師柳成龍於是右成龍者有李元翼李德馨李晬光李光庭韓浚謙等是謂南人
韓史綮v1書于諸道○義兵將金德齡留屯晉州與賊戰頗有克捷賊畏之號爲飛將軍乃賜號曰忠勇將軍令諸道義兵皆屬之○以鄭經世爲弘文校理經世在經筵辨論甚詳李恒福每自經筵退輒語人曰鄭經世眞侍講才也○左議政兪泓卒泓爲試官得
東國續修文獻錄v1仁祖朝申欽見相張維見相湖堂金瑬見相鄭經世見湖堂崔鳴吉見相洪瑞鳳見相湖堂李植見湖堂四典文金尙憲見相湖堂李明漢見湖堂廷龜子李景奭見相湖堂趙絅見
東國續修文獻錄v1韓浚謙益之柳川判官孝胤子淸州人戶判文翼府院鄭經世景任愚伏參奉汝寬子晉陽人吏判文衡文莊
國朝人物志v2完山人壬辰倭寇充斥逢與趙重峯憲謀擧義旅於是憲之沃川收聚鄕兵公往嶺南則前翰林鄭經世進士金湜及趙靖宋匡國等十餘人糾合義旅見公大喜推以爲將於是乃作文誓衆賊退大駕還京罷
國朝人物志v2鄭經世作墓表
國朝人物志v2擧家入金浦三綱滅矣之歎自不能止家督惇五亦解官從父命也初居三淸洞白蓮峯下亭亭物表筵臣鄭經世請贈吏曹參判旌其閭曰孝子三世人物考
國朝人物志v2號也錄奮忠贊謨立紀明倫靖社功臣一等勳第二人與二子時白時昉同日策勳啓運宮喪力主三年之說與鄭經世朴知誡崔鳴吉起追崇議封延平府院君官至贊成諡忠定配食仁祖廟廷同上貴女適
國朝人物志v3白川人大司諫廷虎子仁祖丙寅別試文科罷榜戊辰生員更登壯元及第歷三司爲司書愚伏鄭經世見其所記書筵事歎曰眞奇才也戊寅出守晉州晉人立三碑頌之以應敎上箚言事上以箚中有當諱不
國朝人物志v3李蒼石埈倘羊山水間世以爲商社三老仁祖反正召入玉堂任疏菴叔英常稱經筵官通古今鄭經世達事理全湜甲子适亂以司僕正扈駕至天安拜執義論延平李貴視師坐律元帥張晚
國朝人物志v3在日夜號泣相遇於孝谷山中同避亂人數千據鞍嶺賊掩之士夫家死者甚衆六月遭大酷謀倡義衆推埈及鄭經世分主召募激以忠義設義旅于姑姆潭以倡義功陞典籍撰中興龜鑑進于上上手敎褒之寧海郡
國朝人物志v3捷乙科第一爲高山察訪父韓興君德演年高旣遠離因感夢卽馳行至則果有疾一家皆驚曰孝子之感鄭經世稱曰出群之標平正之論今世吾見李性源一人官止持平人物考
國朝人物志v3甲子文科拜正言論王子莊田免稅不可曰蒙養以正猶懼不能況可養以不正所急非土田也上批有不平語鄭經世言其論事得體上意解官至校理以子挺緯貴贈都承旨人物考兄翊字弼甫號月岡
國朝人物志v3倭亂覲王陞嘉善尙馨從沙溪金長生受業精於數學壬子進士乙丑文科以假注書入侍經筵鄭經世張維盛稱其學上卽命參講隨問響答剖析無難官至校理人物考
國朝人物志v3字叔京號無住缶溪人文匡公貴達玄孫結髮受業于愚伏鄭經世宣祖丙午文科時年二十一入槐院爲博士時李爾瞻子大燁新登第世以爲承文首錄必歸是人鎬笑曰
國朝人物志v3字善承號月峯開城人正郞興雲子宣祖乙巳進士丙午文科正郞階至通政愚伏鄭經世詩曰世上豈無千里馬人間難得九方皐年八十四卒人物考
國朝人物志v3斛以寬民入爲大司憲官至戶曹判書長子翊相死以故疾劇卒金瑬每稱曰眞學士也愚伏鄭經世論人物以世濂爲當代第一文章典雅有東溟集諡文康人物考
國朝人物志v3放還辛卯爲修撰丁酉爲蔚山府使與眉叟許穆連疏論禮出配平海庚子放還年七十九卒嘗從鄭經世學經世曰金君重如山岳上同
國朝人物志v3司憲仍上章告歸進建極之說甲戌拜工曹判書遷左參贊姜弘立誘淸兵來也問今在朝者何人或對曰鄭經世爲吏判張顯光爲參贊弘立曰二人在朝必不以非禮導君遂退兵丁丑聞南漢事歎曰無天無日有
國朝人物志v3丁卯丁外憂一如儀文少有疑晦必稟於師門沙溪善曰將作禮家宗匠仁祖甲子生員進士娶于愚伏鄭經世女經世期以遠到庚午除洗馬不就沙溪歿仍師愼獨齋金集庚子論禮被尹善道劾遂待
國朝人物志v3相筵請建儲忤旨竄配壬辰西狩召還而李山海以誤國竄柳成龍以主和罷癸巳回鑾柳成龍復入爲相鄭經世金宇顒等論劾鄭澈追奪官爵丁酉鄭仁弘使其徒朴惺上書力詆成渾李珥爲奸魁追奪成渾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