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덕형(李德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355D615B1561X0
자(字)명보(明甫)
호(號)한음(漢陰)
호(號)쌍송(雙松)
호(號)포옹산인(抱雍散人)
시호(諡號)문익(文翼)
생년1561(명종 16)
졸년1613(광해군 5)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주(廣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민성(李敏聖)
처부이산해(李山海)
저서『한음문고(漢陰文稿)』

[상세내용]

이덕형(李德馨)
1561년(명종 16)∼1613년(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쌍송(雙松)포옹산인(抱雍散人).

지중추부사 이민성(李敏聖)의 아들이며,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사위이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있고 침착하였으며, 문학에 통달하여 어린 나이로 양사언(楊士彦)과 막역한 사이였다.

1580년(선조 13)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의 관원이 되었으며, 재주 있는 신하로 선발되어 선조로부터 서적을 하사받았다.

1582년 명나라에서 조사(詔使)로 온 왕경민(王敬民)이 그를 만나려 하였으나 사사로이 면대함은 도리에 어긋남을 들어 사양하였다. 이에 왕경민은 만나보지 못함을 아쉬워하며 그의 인격이 출중함을 칭찬하는 글귀를 전하였다. 이어 정자를 거쳐 1583년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고, 이듬해 서총대(瑞葱臺)의 응제(應製)에서 수석에 선발되었고, 이로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수석을 차지하였다.

그뒤 부수찬정언부교리를 거쳐 이조좌랑이 되었고, 1588년 이조정랑으로서 일본사신 겐소(玄蘇) 등을 접대하여 그들의 존경을 받았다.

1590년 동부승지우부승지부제학대사간대사성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이듬해 예조참판이 되어 대제학을 겸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북상중인 왜장 고니시(小西行長)충주에서 그와 만날 것을 요청하자, 이를 받아들여 단기(單騎)로 적진으로 향하였으나 목적을 이루지 못하였다. 왕이 평양에 당도하였을 때 왜적이 벌써 대동강에 이르러 화의를 요청하자, 그는 단독으로 겐소와 회담하고 대의로써 그들의 침략을 공박하였다.

그뒤 정주까지 왕을 호종하였고, 청원사(請援使)명나라에 파견되어 명군의 파병을 성취시켰다. 돌아와 대사헌이 되어 명군을 맞이하였으며, 이어 한성판윤으로 명장 이여송(李如松)접반관(接伴官)이 되었는데, 전란중 줄곧 그와 행동을 같이하였다.

1593년 병조판서, 이듬해에는 이조판서훈련도감당상을 겸하였다.

1595년 경기황해평안함경 4도체찰부사가 되었으며,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명나라 어사 양호(楊鎬)를 설복시켜 서울의 방어를 강화하는 한편, 스스로 명군과 울산까지 동행, 그들을 위무(慰撫)하였다.

그해에 우의정에 승진되고 이어 좌의정에 올라 훈련도감도제조를 겸하였다. 이어 명나라 제독 유정(劉綎)과 함께 순천에 이르러 통제사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적장 고니시의 군사를 대파하였다.

1601년 행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경상전라충청강원 4도체찰사를 겸하여 전란 뒤의 민심수습과 군대의 정비에 노력하였으며, 대마도정벌을 건의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듬해 영의정에 올랐다.

1604년 이항복(李恒福)이 그의 공을 들어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본인의 사양과 그를 시기하는 자의 반대로 책록되지 못하였다.

160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가,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진주사(陳奏使)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시 영의정이 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삼사에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을 들고 나오자 이항복과 함께 이를 극력 반대하였다. 이에 삼사가 모두 그를 모함하며 처형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광해군은 관직을 삭탈함으로써 이를 수습하였다.

그뒤 용진(龍津)으로 물러가 국사를 걱정하다 병으로 죽었다. 남인출신으로 북인의 영수 이산해의 사위가 되어 남인과 북인의 중간노선을 지키다가 뒤에 남인에 가담하였다.

어렸을 때 이항복과 절친한 사이로 기발한 장난을 잘하여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글씨에 뛰어났고, 포천용연서원(龍淵書院), 상주근암서원(近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한음문고(漢陰文稿)』가 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白沙集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호 : "한음(漢陰)"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人物志v2字明甫號漢陰廣州人知事民聖子領議政克均五代孫生有異質沈毅淳謹不妄遊戲十一歲吐辭驚人楊蓬
國朝人物志v3字存中全州人戊申武科卽拜宣傳官爲備邊郞漢陰李德馨白沙李恒福委以公牒蓋以其練敏而閑於筆翰也癸亥春偶訪杞平君兪伯曾與完城崔鳴吉
國朝人物志v3選入史局歷三司舍人光海癸丑國舅金悌男被禍百齡爲禮曹參判進西宮喪服首相漢陰李德馨涕泣謂曰公所言扶植人紀今若據例上稟先當狙擊後無可繼宜請收議大臣議旣行漢陰以抗言被
國朝人物志v3號孤石泗川人參判詹子宣祖辛卯生員己亥文科歷史局玉堂李爾贍等謀危永昌大君漢陰上箚請全恩凶徒謂公最知漢陰潤色箚語黜補淸風郡官至參判人物考弟大欽字湯
國朝人物志v3字子善號浩菴韓山人文貞公顯英子受業于朴東說旣長漢陰李德馨聞名邀見大奇之以其孫女妻之光海乙卯進士文科仁祖丁丑搆和之後使价旁午嘖言噂沓基
國朝人物志v3定邦孫幼時文藝日富詞藻溢發稱神童光海庚戌進士壬子文科爲槐院郞時有奏聞事白沙李恒福漢陰李德馨月沙李廷龜諸公列坐草奏連聲口占䎘執筆略無礙滯筆翰如流漢陰顧謂吏判曰如此人才何
國朝人物志v3兵曹判書慶州建崇烈祠享之諡貞武俎豆錄宣祖丁酉擊西生堡賊右頰中丸歸刮骨出丸漢陰李德馨擇一馬以給震立曰是賊入而贖官者義不受朝野輯要
國朝人物志v3廟名臣上泣曰勉力國事毋忝爾祖考特賜馬奬之自是感泣遂涅背以盡忠報國四字以自誓出補海南縣監漢陰李德馨曰此人治人治兵無所不可當與一節鎭閑山師潰元均敗死珩聞之痛哭曰失舟師則失兩湖
國朝人物志v3西厓柳成龍鶴峯金誠一東岩李潑坡谷李誠中丹厓李敬中德溪吳健梧里李元翼漢陰李德馨藥圃鄭琢松窩李墍秋淵禹性傳斗岩金應南雪蓑南以恭夢隱崔鐵堅晴峯
朝鮮科宦譜n1-6책領相衡漢陰克均后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