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덕형(李德馨)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355D615B1561X0
자(字)명보(明甫)
호(號)한음(漢陰)
호(號)쌍송(雙松)
호(號)포옹산인(抱雍散人)
시호(諡號)문익(文翼)
생년1561(명종 16)
졸년1613(광해군 5)
시대조선중기
본관광주(廣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민성(李敏聖)
처부이산해(李山海)
저서『한음문고(漢陰文稿)』

[상세내용]

이덕형(李德馨)
1561년(명종 16)∼1613년(광해군 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쌍송(雙松)포옹산인(抱雍散人).

지중추부사 이민성(李敏聖)의 아들이며,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사위이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있고 침착하였으며, 문학에 통달하여 어린 나이로 양사언(楊士彦)과 막역한 사이였다.

1580년(선조 13)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의 관원이 되었으며, 재주 있는 신하로 선발되어 선조로부터 서적을 하사받았다.

1582년 명나라에서 조사(詔使)로 온 왕경민(王敬民)이 그를 만나려 하였으나 사사로이 면대함은 도리에 어긋남을 들어 사양하였다. 이에 왕경민은 만나보지 못함을 아쉬워하며 그의 인격이 출중함을 칭찬하는 글귀를 전하였다. 이어 정자를 거쳐 1583년에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고, 이듬해 서총대(瑞葱臺)의 응제(應製)에서 수석에 선발되었고, 이로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수석을 차지하였다.

그뒤 부수찬정언부교리를 거쳐 이조좌랑이 되었고, 1588년 이조정랑으로서 일본사신 겐소(玄蘇) 등을 접대하여 그들의 존경을 받았다.

1590년 동부승지우부승지부제학대사간대사성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이듬해 예조참판이 되어 대제학을 겸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북상중인 왜장 고니시(小西行長)충주에서 그와 만날 것을 요청하자, 이를 받아들여 단기(單騎)로 적진으로 향하였으나 목적을 이루지 못하였다. 왕이 평양에 당도하였을 때 왜적이 벌써 대동강에 이르러 화의를 요청하자, 그는 단독으로 겐소와 회담하고 대의로써 그들의 침략을 공박하였다.

그뒤 정주까지 왕을 호종하였고, 청원사(請援使)명나라에 파견되어 명군의 파병을 성취시켰다. 돌아와 대사헌이 되어 명군을 맞이하였으며, 이어 한성판윤으로 명장 이여송(李如松)접반관(接伴官)이 되었는데, 전란중 줄곧 그와 행동을 같이하였다.

1593년 병조판서, 이듬해에는 이조판서훈련도감당상을 겸하였다.

1595년 경기황해평안함경 4도체찰부사가 되었으며,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명나라 어사 양호(楊鎬)를 설복시켜 서울의 방어를 강화하는 한편, 스스로 명군과 울산까지 동행, 그들을 위무(慰撫)하였다.

그해에 우의정에 승진되고 이어 좌의정에 올라 훈련도감도제조를 겸하였다. 이어 명나라 제독 유정(劉綎)과 함께 순천에 이르러 통제사 이순신(李舜臣)과 함께 적장 고니시의 군사를 대파하였다.

1601년 행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경상전라충청강원 4도체찰사를 겸하여 전란 뒤의 민심수습과 군대의 정비에 노력하였으며, 대마도정벌을 건의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이듬해 영의정에 올랐다.

1604년 이항복(李恒福)이 그의 공을 들어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할 것을 건의하였으나 본인의 사양과 그를 시기하는 자의 반대로 책록되지 못하였다.

160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가,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자 진주사(陳奏使)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시 영의정이 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삼사에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을 들고 나오자 이항복과 함께 이를 극력 반대하였다. 이에 삼사가 모두 그를 모함하며 처형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광해군은 관직을 삭탈함으로써 이를 수습하였다.

그뒤 용진(龍津)으로 물러가 국사를 걱정하다 병으로 죽었다. 남인출신으로 북인의 영수 이산해의 사위가 되어 남인과 북인의 중간노선을 지키다가 뒤에 남인에 가담하였다.

어렸을 때 이항복과 절친한 사이로 기발한 장난을 잘하여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글씨에 뛰어났고, 포천용연서원(龍淵書院), 상주근암서원(近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한음문고(漢陰文稿)』가 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白沙集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성명 : "이덕형(李徳馨)"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4上謂大提學李珥曰予欲講綱目卿可預選才臣傳專講讀以備顧問珥以奉教李恒福正字李徳馨檢閱吳億齡修撰李廷立奉教李嵘應選 上各賜綱目未幾嵘以痘疫殁以鄭昌衍代之
紀年便攷v14乃島主之子熟諳海路欲導信使之行故遣来而實欲探試窺覘也僧人玄蘓及平調信從之玄蘓謀士調信勇将也以吏曺正郞李徳馨為宣慰使儐接入京義智年少鷙悍他倭畏服不敢仰視久留東平館必要信使與俱朝議依違不决先是損竹島之役捕淂倭口
紀年便攷v14元翼宋言慎李潤雨䓁留守平壤大臣崔興源俞泓鄭澈䓁從柳成龍以接候漢官仍留平壤○是日車駕歷順安夕到肅川○以李徳馨為請援使赴遼告急時李恒福李徳馨夜對請 上進駐寧邉臣䓁親徃乞師遼東因争請自徃副提學沈忠謙以爲恒福方在本
紀年便攷v14時李恒福李徳馨夜對請 上進駐寧邉臣䓁親徃乞師遼東因争請自徃副提學沈忠謙以爲恒福方在本兵不可遣於是遂遣徳馨
紀年便攷v15驚又投密書于全州云主■不悛朋黨不解■煩重生民不安鷹揚牧野雖有愧於夷齊吊民伐罪賞有光於湯武賊以兵曺判書李徳馨勲名盛大寘對之際藉以為言徳馨席藳待命四十日真儒元居鳲山時又有土賊揚州李能水利川玄夢皆逮捕㐲誅也
紀年便攷v15為大將辛慶晉李弘冑為郞屬著飢民為兵能舉一巨石能超一丈墻者入格旬日得數千人教以戚氏三乎砲射砍練技之法以李徳馨兵判為有司堂上寘把摠哨官部分演習數月而成軍客是後宿衛扈從專用此軍○都督劉綎自星州移陣南原所領兵初則萬
紀年便攷v15大兵南下令先鋒擺賽䓁領精兵直迫賊墨撃斬四百六十級西南諸屯賊闻島山受圍發兵赴援鎬督諸軍攻城不利招接伴使李徳馨元帥權慄䓁曰城險難拔救兵勢大不如觧成再圖後舉遂撤兵還京是彼也天兵死傷者三千四百餘人粮資器械蕩然旡遺
紀年便攷v15分給各陣欺罔僨事二十罪及總兵孛如挴貪猾喪師釀亂欺罔䓁罪并逮閣老張位護黨罔上䓁事中軍彭友徳密言於接伴使李徳馨曰應㤗奏劾二十罪中五事亦于於貴國徑理之不幸亦貴國之不幸也時本國方倚鎬爲重 上遣奏請使崔天健具奏島山戰
紀年便攷v15之勸 上西幸洪進李韓淵之自請随駕臣獨知之李徳馨之㓛實關機宜只以因公南下追及平壤無人舉名臣實惜之 上曰李徳馨當倭奴充斥之日扁舟會賊非忘身殉國者不能也且忠謙請對曾所親知而如進䓁願從之言今始淂聞今人涙落特許并■錄
紀年便攷v15李恒福啓曰沈忠謙之勸 上西幸洪進李韓淵之自請随駕臣獨知之李徳馨之㓛實關機宜只以因公南下追及平壤無人舉名臣實惜之 上曰李徳馨當倭奴充斥之日扁舟會賊非忘身殉國者不能也
紀年便攷v15㓛臣壬辰之亂 上西幸義州終致回鑾之慶至是錄扈從諸臣李恒福䓁九十二人為扈從㓛臣後改扈聖六人以濫錄削勲○李徳馨上剳辭勲李恒福啓曰沈忠謙之勸 上西幸洪進李韓淵之自請随駕臣獨知之李徳馨之㓛實關機宜只以因公南下追及平
紀年便攷v15王竹風霜摧招之狀而一惡竹抽自王竹傍屈曲盤結一嫰第自王竹正幹中抽出縹鄊正筍有干天弄月之象一日引見李恒福李徳馨柳永慶李弘老䓁示之皆不曉聖意但頓首称神而永慶俛首無言弘老獨為愁慘之態頻頻灑涕 上引弘老入卧內弘老復哀
紀年便攷v17論以大逆律國人重哀之 仁祖反正首雪冤枉賜祭贈吏判文衡後筠忤爾瞻以逆論死爾瞻纉星世曾大珩駢戮東市子有石李徳馨孫婿光海丙辰年十七英毅夙成奸黨甚忌之以爲去單不除根必有後患鍜錬文致論以大逆竟致連坐律是日大雷電纉男一
紀年便攷v17一年 仁祖反正召拜刑判歴七道伯官止崇祿判中樞入耆社論劾韓孝純黨奸廢 母之罪斥化弘之徒毀成渾鄭澈者伸救李徳馨李恒福辛未卒年七十四謚忠肅以子景霌扈聖㓛贈領相正祖癸卯命不祧子景雨景霌見下玄孫宗悌宗厦見下七世孫有大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