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색(柳穡)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20C0C9FFFFB1561X0
자(字)자유(子有)
호(號)사호(沙湖)
생년1561(명종 16)
졸년1621(광해군 13)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유영립(柳永立)

[상세내용]

유색(柳穡)
1561년(명종 16)∼1621년(광해군 1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유(子有), 호는 사호(沙湖). 관찰사 유영립(柳永立)의 아들이다.

1582년(선조 15) 사마시에 합격, 1595년 음보(蔭補)로 의금부도사가 되고, 이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전설사별좌(典設司別坐)권지승문원부정자 등을 거쳐, 1601년 형조좌랑정언호조좌랑을 거쳐 1603년 영변판관으로서 선정을 베풀어 표리(表裏)를 하사받았고, 1606년 배천군수에 제수되었다.

이때 소북의 영수 유영경(柳永慶)이 권력을 잡고 있었는데, 그와 근친으로 전랑(銓郞) 물망에 올랐으나 군수로 있기를 원한다는 진소를 올렸다.

후에 유영경이 물러나고 대북파가 득세하였을 때 그만이 홀로 화를 입지 않았다.

그뒤 양주목사로 승진되고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선천군수를 거쳐, 1614년(연산군 6) 승문원판교(承文院判校)강계부사가 되었는데, 이때 관직 20여년 만에 처음으로 비단옷〔緋衣〕을 입었다 한다.

이듬해 호조참의우승지가 되고, 장단부사에 제수되었다.

1619년 전라도관찰사가 되었을 때 권신이자 대북파인 한계남(韓繼男)의 동생에 대한 포계(褒啓)를 각하하고 소를 올려 한계남을 탄핵하였다.

오랜 외임(外任)으로 병이 많은 끝에 한계남과의 사이에서 일어난 일로 우울하게 보내다가 전주의 영(營)에서 죽었다. 인조반정 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人物考

[집필자]

김용덕(金龍德)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