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항복(李恒福)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D56DBCF5B1556X0
자(字)자상(子常)
호(號)필운(弼雲)
호(號)백사(白沙)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556(명종 11)
졸년1618(광해군 10)
시대조선중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몽량(李夢亮)
처부권율(權慄)
저서『사례훈몽(四禮訓蒙)』
저서『주소계의(奏疏啓議)』
저서『노사영언(魯史零言)』
공신호평난공신(平難功臣)
공신호호종1등공신(扈從一等功臣)

[상세내용]

이항복(李恒福)
1556년(명종 11)∼1618년(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자상(子常), 호는 필운(弼雲) 또는 백사(白沙). 본관은 경주(慶州). 거주지는 서울 종로구 필운동이다.

고려의 대제학 검교정승 이세기(李世基)의 후손으로 참찬 이몽량(李夢亮)의 아들이다.
1. 가계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군되었기 때문에 이항복이나 백사보다는 오성대감으로 널리 알려졌고, 특히 죽마고우인 이덕형(李德馨)과의 기지와 작희(作戱)에 얽힌 허다한 이야기로 더욱 잘 알려진 인물이다.

9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는데 소년시절에는 부랑배의 우두머리로서 헛되이 세월을 보냈으나 어머니의 교훈에 영향을 받고 학업에 열중하였다.

1571년(선조 4)에 어머니를 여의고, 삼년상을 마친 뒤 성균관에 들어가 학문에 힘써 명성이 높았다. 영의정 권철(權轍)의 아들인 권율(權慄)의 사위가 되었다.
2. 출사와 관직
1575년에 진사초시에 오르고 1580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이듬해에 예문관검열이 되었을 때 마침 선조『강목(綱目)』 강연(講筵)이 있었는데, 고문을 천거하라는 왕명에 따라 이이(李珥)에 의하여 이덕형 등과 함께 5명이 천거되어 한림에 오르고, 내장고(內藏庫)의 『강목』 한질씩을 하사받고 옥당에 들어갔으며, 1583년에 사가독서의 은전을 입었다.

그뒤 옥당정자저작박사, 예문관봉교성균관 전적사간원정언 겸 지제교수찬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589년에 예조정랑으로 있을 때 역모사건이 발생하였는데 문사낭청(問事郞廳)으로 친국에 참여하여 선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신료 사이에 비난이나 분쟁이 있을 때 삼사에 출입하여 이를 중재하고 시비를 공평히 판단, 무마하였기 때문에 그의 덕을 입은 사람도 많았다.

대사간 이발(李潑)이 파당을 만들려 함을 공박하였다가 비난을 받고 세 차례나 사직하려 하였으나 선조가 허락하지 않고 특명으로 옥당에 머물게 한 적도 있었다.

그뒤 응교검상사인전한직제학우승지를 거쳐 1590년에 호조참의가 되었고,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처리한 공로로 평난공신(平難功臣) 3등에 녹훈되었다. 그 이듬해 정철(鄭澈)의 논죄가 있었는데, 모든 사람들이 자신에게 화가 미칠 것이 두려워 정철을 찾는 사람이 없었으나, 그는 좌승지의 신분으로 날마다 그를 찾아가 담화를 계속하여 정철사건의 처리를 태만히 하였다는 공격을 받고 파직되기도 하였으나 곧 복직되고 도승지에 발탁되었다.

이때 대간의 공격이 심했으나 대사헌 이원익(李元翼)의 적극적인 비호로 진정되었다.
3. 임진왜란중의 활동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비를 개성까지 무사히 호위하고, 또 왕자를 평양으로,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였다. 그동안 그는 이조참판으로 오성군에 봉해졌고, 이어 형조판서오위도총부도총관을 겸하였으며 곧이어 대사헌 겸 홍문관제학지경연사지춘추관사동지성균관사세자좌부빈객병조판서 겸 주사대장(舟師大將)이조판서 겸 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지의금부사 등을 거쳐 의정부우참찬에 승진되었다.

이동안 이덕형과 함께 명나라에 원병을 청할 것을 건의하기도 하였고 남도지방에 사신을 보내 근왕병을 일으켜야 한다고 하여 윤승훈(尹承勳)을 해로로 호남지방에 보내어 근왕병을 일으키게 하였다.

선조가 의주에 머무르면서 명나라에 구원병을 요청하였는데 명나라에서는 조선이 왜병을 끌어들여 명나라를 침공하려 한다며 병부상서 석성(石星)황응양(黃應暘)을 조사차 보냈는데, 그가 일본이 보내온 문서를 내보여 의혹이 풀려 마침내 구원병의 파견을 보았다. 그리하여 만주 주둔군 조승훈(祖承訓)사유(史儒)의 3천병력이 파견되어왔으나 패전하자 그는 중국에 사신을 보내어 대병력으로 구원해줄 것을 청하자고 건의하였다.

그리하여 이여송(李如松)의 대병력이 들어와 평양을 탈환하고, 이어 서울을 탈환, 환도하게 되었다. 다음해에 세자를 남쪽에 보내 분조(分朝)를 설치하고 경상도전라도의 군무를 맡아보게 하였는데 그는 대사마(大司馬)로서 세자를 받들어 보필하였다.

1594년 봄에 전라도에서 송유진(宋儒眞)의 반란이 일어나자 여러 관료들이 세자와 함께 환도를 주장하였으나 그는 반란군 진압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상소하여 이를 중단시키고 반란을 곧 진압시켰다.
4. 중립적 국사처리
그는 병조판서이조판서, 홍문관과 예문관의 대제학을 겸하는 등 여러 요직을 거치며 안으로는 국사에 힘쓰고 밖으로는 명나라 사절의 접대를 전담하였다. 명나라 사신 양방형(楊邦亨)양호(楊鎬) 등도 존경하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찾았던 능란한 외교가이기도 하였다.

1598년에 우의정 겸 영경연사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에 올랐는데, 이때 명나라 사신 정응태(丁應泰)가 같은 사신인 경략(經略) 양호를 무고한 사건이 발생하자 그는 우의정으로 진주변무사(陳奏辨誣使)가 되어 부사(副使) 이정귀(李廷龜)와 함께 명나라에 들어가 소임을 마치고 돌아와 토지와 재물 등 많은 상을 받았다.

그뒤 문홍도(文弘道)가 휴전을 주장했다고 하여 유성룡(柳成龍)을 탄핵하자 그도 함께 휴전에 동조하였다 하여 자진하여 사의를 표명하고 병을 구실로 나오지 않았다.

그러나 조정에서 그를 도원수 겸 체찰사에 임명하자, 남도 각지를 돌며 민심을 선무, 수습하고 안민방해책(安民防海策)16조를 지어 올리기도 하였다.

1600년에 영의정 겸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사, 세자사(世子師)에 임명되고 다음해에 호종1등공신(扈從一等功臣)에 녹훈되었다.

1602년 정인홍(鄭仁弘)문경호(文景虎) 등이 최영경(崔永慶)을 모함, 살해하려 했다는 장본인이 성혼(成渾)이라고 발설하자 삼사에서는 성혼을 공격하였는데, 그는 성혼을 비호하고 나섰다가 정철의 편당으로 몰려 영의정에서 자진사퇴하였다.

1608년에 다시 좌의정 겸 도체찰사에 제수되었으나 이해에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즉위하여 북인이 정권을 잡게 되었다. 그는 광해군의 친형인 임해군(臨海君)의 살해음모를 반대하다가 정인홍 일당의 공격을 받고 사의를 표했으나 수리되지 않았다.

그뒤 정인홍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의 문묘배향을 반대한 바 있어 성균관유생들이 들고 일어나 정인홍의 처벌을 요구했다가 도리어 유생들이 구금되는 사태가 벌어져 권당(捲堂: 동맹휴학)이 일어났는데 그의 주장으로 겨우 광해군을 설득, 무마하여 해결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하여 그는 정인홍 일당의 원한과 공격을 더욱 받게 되었으며, 곧이어 북인세력에 의하여 자행된 선조의 장인 김제남(金悌男)일가의 멸문지환, 선조의 적자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살해 등 북인파당의 흉계가 속출하였고, 그의 항쟁 또한 극렬하여 북인파당의 원망의 표적이 되어왔다.

그리하여 1613년(광해군 5)에 인재천거를 잘못하였다는 구실로 이들의 공격을 받고 물러나와 별장 동강정사(東岡精舍)를 새로 짓고 동강노인(東岡老人)으로 자칭하면서 지냈는데, 이때 광해군정인홍 일파의 격렬한 파직처벌의 요구를 누르고 좌의정에서 중추부로 자리만을 옮기게 하였다.

1617년에 인목대비 김씨(仁穆大妃金氏)가 서궁(西宮)에 유폐되고, 이어 왕비에서 폐위하여 평민으로 만들자는 주장에 맞서 싸우다가 1618년에 관작이 삭탈되고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되어 그곳 적소에서 세상을 떠났다.

죽은 해에 관작이 회복되고 이해 8월에 고향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에 예장되었다.

그뒤 포천북청에 사당을 세워 제향하였을 뿐만 아니라 1659년(효종 10)에는 화산서원(花山書院)이라는 사액(賜額)이 내려졌으며, 1746년(영조 22)에는 승지 이종적(李宗廸)을 보내 영당(影堂)에 제사를 올리고 후손을 관에 등용하게 하는 은전이 있었으며, 1832년(순조 32)에는 임진왜란 발발 네번째 회갑을 맞아 제향이 베풀어졌다.

1838년(헌종 4)에는 우의정 이지연(李止淵)의 요청으로 봉사손(奉祀孫)의 관 등용이 결정되기도 하였다.
5. 평가
이정구는 그를 평하기를 “그가 관작에 있기 40년, 누구 한 사람 당색에 물들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였지만 오직 그만은 초연히 중립을 지켜 공평히 처세하였기 때문에 아무도 그에게서 당색이란 찾아볼 수 없을 것이며, 또한 그의 문장은 이러한 기품에서 이루어졌으니 뛰어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라고 하여 완전에 가까운 그의 기품과 인격을 칭송하기도 하였다.

저술로는 1622년에 간행된 『사례훈몽(四禮訓蒙)』 1권과 『주소계의(奏疏啓議)』 각 2권, 『노사영언(魯史零言)』 15권과 시문 등이 있으며, 이순신(李舜臣)충렬묘비문을 찬하기도 하였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李恒福―외로운 賢臣―(車文燮, 人物韓國史 3, 博友社, 1965)
李恒福―李朝의 機智―(金聲均, 韓國의 人間像 1, 新丘文化社, 1965)
白沙 李恒福의 人間性―壬辰亂 때 殊勳한 逸話―(李道光, 佛敎 2―3, 佛敎社, 1971)

[집필자]

김성균(金聲均)

호 : "백사이항복(白沙李恒福)"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人物志v2乎上同子協字和伯號寒泉乙酉進士壯元戊子文科參判協弟慄進士冤死獄中年二十八白沙李恒福作詩納壙中曰有口豈復言有淚不敢哭撫枕畏人窺呑聲潛飮泣慄子世規號東里蔭吏曹判書
國朝人物志v2敬仁朝廷知有文武才擢拜慶尙監司前後遍歷六道一皆隨事料理指陳規畫千里之外如在目前或問白沙李恒福當今人材誰可任大事李公屈拇指曰徐某其人也光海癸丑公以名在宣祖顧命七臣中故被逮
國朝人物志v2南人參贊東亮子尙宣祖女貞安公主封錦陽君六歲有杯中畫花酒亦香之句少學于白沙李恒福以自飭谿谷張維畸菴鄭弘溟相與推重人物考
國朝人物志v2湖南儒生有反以言事刑訊者麒瑞手疏訟其冤大爲奸黨所嫉會除都事益無從宦意群奸猶螫之不已白沙李恒福在喉司特左右之遂歸靈巖之西湖與林習靜懽相得還往誌銘
國朝人物志v2軍潰西入行在拜平安兵使守平壤平壤陷諸將多爲避亂之計公獨與李元翼退住順安與賊相持白沙李恒福嘗言亂後諸將不失人臣之義者惟公而已代李鎰爲巡邊使與權慄合兵守坡州山城已而賊棄
國朝人物志v2命俊令民修阡陌設儲峙未幾大水田盧盡沒而城不沈民不病以先有備也一境稱神明癸丑獄被竄盈德及白沙李恒福諫廢母得罪上章極言吏不敢受命俊悲傷有懷沙之意家人覽之救乃止人物考
國朝人物志v2事人物考許字惟善號東岡判書筬子庚戌別試文科以讀券官筠姪臺啓削科白沙李恒福主試上箚直其冤不報時人爲之謠曰子壻弟侄侄最輕公絶不赴擧諸子旣長將叫閽列冤狀公聞之驚惋亟爲收回又
國朝人物志v2初名大謙字茂業號松谷潘南人縣令堧玄孫癸卯文科以白沙李恒福薦拜宣川府使鑿山通渠灌茭茅爲良田民名其渠如鄭白相臣沈喜壽薦爲從事桐溪鄭蘊
國朝人物志v2睦宗族有無與同人物考子久澄字澄源號柏村辛卯進士丁酉文科知事入耆社丁巳疏救白沙李恒福著家禮疏義東史編類年八十一卒國朝榜目
國朝人物志v2術士也上言漢陽氣竭山童交河宜建都光海惑入其說芝峯李晬光上書駁之事遂寢白沙李恒福獻議曰國綱解弛斧斤亂入今不責于紀綱而歸咎于山童爲山者豈不冤乎時又有僧性智爲光海所悅起第
國朝人物志v2廟廷諡文忠昭代紀年宣祖末年召諸孫或書或畫仁祖兒時畫馬宣祖以其畫賜白沙李恒福及恒福北竄時持贈金瑬瑬持歸貼于壁上仁祖在邸時適出遇雨入道傍舍避雨俄而一叉鬟出告
國朝人物志v3州人兵使定邦孫幼時文藝日富詞藻溢發稱神童光海庚戌進士壬子文科爲槐院郞時有奏聞事白沙李恒福漢陰李德馨月沙李廷龜諸公列坐草奏連聲口占䎘執筆略無礙滯筆翰如流漢陰顧謂吏判曰如此
國朝人物志v3牛溪成渾渾遺愼誠書曰令胤遠訪淸明有志趣操不凡辛亥削鄭仁弘儒籍又陳疏痛辨光海大怒賴白沙李恒福力救得免甲子以校理論劾李貴潰師請誅如律丙子扈駕入南漢以協守使登城守堞暴風雪不少懈及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