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종록(洪宗祿)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C885B85DB1546X0
자(字)연길(延吉)
호(號)유촌(柳村)
생년1546(명종 1)
졸년1593(선조 26)
시대조선중기
본관남양(南陽[土])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담(洪曇)
조부홍언광(洪彦光)
외조부조익수(曺益修)

[상세내용]

홍종록(洪宗祿)
1546년(명종 1)∼1593년(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土]). 자는 연길(延吉), 호는 유촌(柳村).

홍언광(洪彦光)의 손자로, 좌참찬 홍담(洪曇)의 아들이며, 모친은 조익수(曺益修)의 딸이다.

1572년(선조 5) 생원으로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이어 삼사(三司)의 여러 관직을 거쳐, 1583년 병조정랑이 되었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 때 여립의 조카 정집(鄭緝)의 문초에서 그의 이름도 거론되어 국문을 받고 구성으로 귀양갔다.

뒤에 풀려나와 제용감정(濟用監正)이 되었으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조정랑 신경진(辛慶晉)과 함께 도체찰사 유성룡(柳成龍)종사관으로 각 진영의 연락과 군수품공급의 일을 맡았다. 같은해 곽산에서 구성으로 들어가 그곳 관민의 협조를 얻어 많은 양곡을 정주가산 등지로 수운하여 군량공급에 크게 공헌하였다.

뒤에 황해도암행어사조도사(調度使)를 거쳐, 직제학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榜目
東洲集
西厓集
燃藜室記述

[집필자]

김용국(金龍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