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응남(金應南)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751B0A8B1546X0
자(字)중숙(重叔)
호(號)두암(斗巖)
시호(諡號)충정(忠靖)
생년1546(명종 1)
졸년1598(선조 31)
시대조선중기
본관원주(原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형(金珩)
증조부김말손(金末孫)
공신호호성공신(扈聖功臣)

[상세내용]

김응남(金應南)
1546년(명종 1)∼1598년(선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중숙(重叔), 호는 두암(斗巖).

충청도병마절도사 김말손(金末孫)의 증손자이며, 김형(金珩)의 아들이다.

1567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68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문관홍문관정자(正字)를 역임하고,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으며 동부승지에 이르렀다.

1583년 병조판서 이이(李珥)를 탄핵한 삼사의 송응개(宋應漑)허봉(許篈)박근원(朴謹元) 등이 선조의 노여움으로 도리어 유배당할 때 그들과 일당이라는 혐의를 받고 제주목사로 좌천되었으나, 평소 이이를 존경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삼사의 논의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임지에 도착하자 성심껏 기민을 구휼하고 교육을 진흥시키며 민속을 바로잡아서 뒤에 인조김상헌(金尙憲)이 쓴 『남정록(南程錄)』이나 효종이원진(李元鎭)이 쓴 『탐라지(耽羅誌)』에는 그때의 치적을 칭송하는 글이 실려 있다.

2년 뒤 1585년 우승지로 기용되고 이어 대사헌대사간부제학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591년 성절사로서 명나라에 갔는데, 마침 명나라에서는 일본의 국서를 받고 조선일본과 내통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가진 자가 많아 이를 힘써 해명함으로써 의구심을 풀어주었다.

귀국 후 한성판윤이 되었는데, 다음해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서 왕이 피난길에 오르게 되자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판서(兵曹判書)부체찰사(副體察使)가 되었다.

이듬해 1593년 이조판서로서 왕을 따라 환도, 1594년 우의정, 1595년 좌의정이 되어 영의정 유성룡과 함께 임진왜란 후의 혼란한 정국을 안정시켰다. 항상 나라를 복구하는 급선무는 군사를 훈련하고 성을 쌓는 것이 아니라 인심을 바로잡는 것이라고 역설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안무사로서 영남지방에 내려갔다가, 풍기(豊基)에서 병이 위독해져서 귀경 후 사직하고 이듬해 죽었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으로 원성부원군(原城府院君)에 추봉되었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歸鹿集

[집필자]

이정일(李貞日)

명 : "응남(應南)"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1老啓曰新除授濟州牧使金應南久侍經幄君臣之契不淺罪名不章投界魑魅之鄕豈料聖明之世讒間之行至於此極請還收應南出守之命昨者備忘三竄責辭極重此人等固有罪矣不過躁妄過越而已若繩之以重律則刑罰不中人心不安矣當初李珥當
國朝編年v12崗之賦題其中有識者疑以不製蓋逆獄方治之時也憲府以爲此四字初非可出之題當推鞫之日隱然有不平之意請命罷職應南已婚於李洁又卜妾於其門久秉朝廷助成逆賊之勢請遞差依啓起莘險詖詭譎周流兩南交結逆賊以爲詿誤一世之計偃然
國朝編年v13汝岉差從事官成龍問策於砬砬曰李鎰以孤軍南下而無後繼體察使雖下去非戰將宜使武將星馳先往爲鎰後繼成龍乃與應南請對啓如砬言先遣申砬上召問砬砬亦不辭遂以巡邊使行將發上引見砬賜寶釼曰李鎰以下不用命者皆用此釼時上以金
國朝捷錄v01字子長號休谷原州人己巳拜右翻庚申獄甲戌竄應南從曾祖號巴江斗南曾孫監司役仁文子
國朝人物志v2字重叔號斗巖原州人兵使末孫曾孫父珩娶郡守李之蕃女生應南十歲通詩書丁卯生員戊長文科選入湖堂癸未補濟州牧上曰宋應漑等嘗稱金應南文學才望爲當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