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성일(金誠一)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131C77CB1538X0
자(字)사순(士純)
호(號)학봉(鶴峰)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538(중종 33)
졸년1593(선조 26)
시대조선전기
본관의성(義城)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진(金璡)
출신지안동
저서『상례고증(喪禮考證)』
저서『해사록(海槎錄)』
저서『상례고증』
저서『학봉집』

[상세내용]

김성일(金誠一)
1538년(중종 33)∼1593년(선조 26).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사순(士純), 호는 학봉(鶴峰). 안동 출신.

부친은 김진(金璡)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56년(명종 11) 아우 김복일(金復一)과 함께 도산(陶山)이황을 찾아 『서경』『역학계몽(易學啓蒙)』『심경』『대학의의(大學疑義)』 등을 익혔으며, 1564년 진사가 되어 성균관에서 수학하였다. 그후 다시 도산에 돌아와 이황에게서 수학하고, 그로부터 요순(堯舜)이래 성현이 전한 심법을 적은 병명(屛銘)을 받았다.

156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권지부정자가 되고, 이듬해 정자가 되었다. 이어서 검열대교 등을 거쳐 1572년 봉교가 되어 노산묘(魯山墓)를 노릉(魯陵: 端宗의 陵)으로 봉축하고 사육신(死六臣)의 관작을 회복시켜 그들의 후손을 녹용(錄用)하도록 진언하였으며, 군덕(君德)과 시폐(時弊)를 논하였다.

이듬해 전적형조예조좌랑을 거쳐 정언이 되었고, 이어서 홍문관수찬으로 지제교경연검토관춘추관기사관을 겸하였다.

1574년 부수찬을 거쳐 다시 정언이 되어 변장(邊將)으로부터 초피덧저고리〔貂裘〕를 뇌물로 받은 우의정 노수신(盧守愼)을 탄핵하였다.

이듬해 이조병조좌랑을 역임하고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577년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종계변무(宗系辨誣)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돌아와 이듬해 홍문관교리가 되고, 이어서 장령검상사인 등을 역임하였다.

1580년 함경도순무어사(咸鏡道巡撫御史)함흥삼수길주종성 등을 살피고 돌아와, 변장으로서 직무에 충실한 혜산첨사 김수(金燧)를 당상관에 승품하고, 영건만호(永建萬戶) 우응장(禹應長)정현룡(鄭見龍)김광옥(金光玉) 등을 선전관(宣傳官)에 기용할 것을 건의하였다.

1583년 사간이 되고, 이어서 황해도순무어사로 다녀와 군기관리(軍器管理)를 소홀히 하고 창곡(倉穀)을 부실하게 한 황주목사 윤인함(尹仁涵)의 파직을 건의하였다.

이듬해 나주목사로 부임하여 민원(民寃)의 처리에 노력하고, 오랫동안 끌어온 이 고을 임씨(林氏)‧나씨(羅氏)간의 송사(訟事)를 해결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다.

또한, 이곳 금성산(錦城山)기슭에 대곡서원(大谷書院)을 세우고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 등을 제향하는 한편 선비들을 학문에 전념하게 하였다.

1586년 나주 사직단(社稷壇)의 화재에 책임을 지고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와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이황『자성록(自省錄)』『퇴계집』 등을 편집, 간행하였다.

1588년 종부시첨정이 되고, 이어서 봉상시정경기추쇄경차관(京畿推刷敬差官)예빈시정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590년 통신부사(通信副使)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이듬해 돌아와 일본의 국정을 복명할 때 “왜가 반드시 침입할 것”이라는 정사(正使) 황윤길(黃允吉)과는 달리 민심이 흉흉할 것을 우려하여 왜가 군사를 일으킬 기색은 보이지 않는다고 상반된 견해를 밝혔다. 그해 부호군에 이어 대사성이 되어 승문원부제조를 겸하였고, 홍문관부제학을 역임하였다.

1592년 형조참의를 거쳐 경상우도병마절도사로 재직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일의 복명에 대한 책임으로 파직, 서울로 소환중, 허물을 씻고 공을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을 간청하는 유성룡(柳成龍) 등의 변호로 직산(稷山)에서 경상우도초유사로 임명되어 다시 경상도로 향하였다.

의병장 곽재우(郭再祐)를 도와 의병활동을 고무하는 한편, 함양산음(山陰)단성삼가(三嘉)거창합천 등지를 돌며 의병을 규합하는 동시에 각 고을에 소모관(召募官)을 보내 의병을 모았다.

또한, 관군과 의병 사이를 조화시켜 전투력을 강화하는 데 노력하였다. 그해 8월 경상좌도관찰사에 임명되었다가 곧 우도관찰사로 다시 돌아와 의병규합‧군량미확보에 전념하였다.

또한, 진주목사 김시민(金時敏)으로 하여금 의병장들과 협력, 왜군의 침입으로부터 진주성을 보전하게 하였다.

1593년 경상우도순찰사를 겸하여 도내 각 고을의 항왜전(抗倭戰)을 독려하다가 병으로 죽었다. 정치적으로 동인(東人)에 가담, 1590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사한 최영경(崔永慶)의 신원(伸寃)을 위해 서인(西人)의 영수 정철(鄭澈)을 규탄하였으며, 그후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유성룡김우옹(金宇顒) 등과 입장을 같이하여 남인을 이루었다.

또, 학문적으로는 이황의 고제(高弟)로서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주리론(主理論)을 계승하여 영남학파의 중추 구실을 하였으며, 학통은 장흥효(張興孝)이현일(李玄逸)이재(李栽)이상정(李象靖)으로 이어 전해졌다.

또한, 예학(禮學)에도 밝아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서는 모든 예절을 『가례(家禮)』에 따라 행하였으며, 『두씨통전(杜氏通典)』『구씨의절(丘氏儀節)』『향교예집(鄕校禮輯)』 등을 참고하여 『상례고증(喪禮考證)』을 지었다.

1664년(현종 5)에 신도비가 세워지고, 안동호계서원(虎溪書院)사빈서원(泗濱書院), 영양영산서원(英山書院), 의성빙계서원(氷溪書院), 하동영계서원(永溪書院), 청송송학서원(松鶴書院), 나주경현서원(景賢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해사록(海槎錄)』『상례고증』 등이 있으며, 1649년(인조 27)에 문집으로 『학봉집』이 만들어졌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榜目
鶴峰集
懲毖錄
燃藜室記述
嶺南人物考
東儒師友錄
壬辰戰亂史(李烱錫, 壬辰戰亂史刊行委員會, 1967)
國譯鶴峰全集解題‧附錄(李翼成外譯, 鶴峰事業會, 1976)
金誠一是非(成樂熏‧姜周鎭, 月刊中央, 1975. 12.)
鶴峰先生의 學問思想의 경향(李相殷, 國譯鶴峰全集, 1976)
鶴峰先生과 壬辰義兵活動(許善道, 國譯鶴峰全集, 1976)

[이미지]

[집필자]

이완재(李完栽)

명 : "성일(誠一)"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0豈非可之乎成龍乃不敢言○掌令金誠一在近侍論劾貴近人多畏憚稱爲殿上虎河原君珵以王室至親淫湎縱恣侵害閭里誠一捕繫家奴重刑之宮家怨怒而不敢言上於筵中問近來廉恥道喪何爲而然耶誠一對曰有爲大臣而亦受人賄贈者廉恥之喪
國朝編年v11一特除羅州牧使上傳敎政廳曰金燧愚劣如土塊而金誠一前爲御使敢薦如此之人致令陞授巨鎭敗軍覆城推其源本事由誠一此人不可復爲侍從羅州牧使除授○護軍成渾上疏曰臣盜名罔上坐受高爵旣違素心內切惶懼方將歸死丘壑不敢久留都
國朝編年v12等蓋其意逐年往來以窺覘我國虛實也允吉等還泊釜山鎭先爲馳啓情形以爲必有兵禍卽復命上引見而問之允吉對如前誠一曰臣則不見如許情形允吉張皇論奏搖動人心甚乖事宜上問秀吉何狀允吉言其目光爍爍似是膽智人也誠一曰其目如鼠
國朝編年v13閱月而還所點者弓矢搶刀而已砬素有殘暴之名所過殺人立威○遞慶尙右道兵馬使曺大忡以承旨金誠一特除備邊司啓誠一儒臣也不合此時邊帥之任不允○歲星守我國分野○三月健亢陵上有甚聲是月望祭祭官班定悤陵上若有哽咽嘻噓之聲
國朝編年v14壇致祭陣亡病故官軍奉聖旨壇號愍忠仍與官銀貿辦祭品○慶尙右道巡察使金誠一卒于晉州之公館以安集使金玏代之誠一奉使日本誤奏賊情幾陷罪辟及蒙宥受命憂憤感激誓師討賊平生不解軍旅而至誠諭衆調劑官義諸軍保全一隅踰年皆其
郯述v02庚寅誠一侄 兵議
國朝人物志v2義旅咸安郡守柳崇仁再度棄官爲晉州守門將公報于性諭使金誠一以郡不可無守軍不可無將爲辭誠一題曰以隻手入渙散之鄕得數千之兵非信義素著於人何以及此遂令崇仁還官累立奇功官至牧使年七
國朝人物志v2以宗道爲壻故也壬辰在京師聞倭亂南歸與正言李興約爲同死至咸陽見招諭使金誠一起兵誠一以爲宜寧假守至則郭再祐已起兵卽推與之還見誠一聞兩京不守欲投江而死誠一曰徒死無益
國朝人物志v2字士純號鶴峯義城人生員璡子兒時與群兒共遊層巖上一兒失足墜地他兒驚散誠一卽奔告使及救活聞者異之比之擊甕事弱冠與弟復一讀尙書忽喟然曰學而志於穀恥退溪今之
國朝人物志v2宗簿寺主簿壬辰亂表叔鶴峯金誠一以慶尙右監司守晉州城復立杖劍從之協贊籌策屢獲勝捷誠一病卒時托以守城復立與倡義使金千鎰復讎將高從厚兵使黃進等戮力拒賊賊大至糧盡矢窮城遂
國朝人物志v2又不見賊而先逃賊非在倭矣我當移兵先討之金誠一切責再祐乃止睟聞之懼劾以假托義兵陰謀不軌誠一曰吾當百口保之遂力言于朝朝疑始釋丁酉再搶列郡皆潰獨再祐堅守不動體察使李元翼慮孤城難保
國朝人物志v3字孝仲豐山人義貞曾孫從鶴峯金誠一學誠一遂以女妻之辛丑生員光海壬子文科歷三司昏朝廢門不仕仁祖癸亥敍用召以副提學嘗論繩金
國朝人物志v3疏請斬將帥之逗遛者戊寅爲開城留守修學校表善竹橋李植秉銓謂人曰某自少至老無點瑕誠一代完人拜禮曹參判庚寅知中樞入耆社年八十諡忠貞人物考父詹年五十喪室友人東萊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