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안노생(安魯生)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48B178C0DDU9999X0
자(字)춘곡(春谷)
호(號)이재(伊齋)
호(號)이재(頤齋)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전기
본관죽산(竹山[新])
활동분야문신 > 문신

[상세내용]

안노생(安魯生)
생졸년 미상.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자는 춘곡(春谷), 호는 죽계(竹溪)이며, 이재(伊齋) 또는 이재(頤齋)라고 자호했다. 본관은 죽산(竹山[新]).

안원형(安元衡)의 손자이며, 안면(安勉)의 큰아들이다. 어머니 여흥민씨(驪興閔氏)는 생원 민년(閔年)의 딸이고, 부인 인천이씨(仁川李氏)전의감(典醫監)을 지낸 이자충(李資忠)의 딸이다.

1376년(우왕 2) 문과에 급제하였다. 1391년(공양왕 3) 4월 군자소윤(軍資少尹)으로 서북면찰방별감(西北面察訪別監)이 되어 국경에서 성행하던 원나라와의 밀무역을 철저히 단속하여 법을 위반하는 자가 없도록 하였다.

6월에는 문하사인(門下舍人)이 되었다. 강직하고 결백한 성품이 왕에게도 인정을 받아 이해 9월 세자가 명나라에 갈 때 수행원에 대한 검찰의 임무를 맡기도 하였다. 당시 수행원들은 수행을 기화로 밀무역을 하며 사욕을 채우는 일이 잦았기 때문이다. 이듬해 4월 병조총랑의 지위에 있을 때 정몽주(鄭夢周)이방원(李芳遠)에게 피살되었는데 안노생은 그 일파로 몰려 파직된 후 경상도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로 유배되었다.

조선이 건국되자 1399년(정종 1)에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로 다시 등용되었으며 1400년(정종 2)에는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 겸 지제교(知製敎)로 중용되어 왕을 시종하였다.

1401년(태종 1) 1월에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가 되어 중국의 균름(囷廩) 제도를 모방하여 경상도의 주.부.군.현에 곡식저장 창고를 지었다. 1403년(태종 3) 7월 좌사간(左司諫)이 되었으나 사간원에서 지방행정조직 개편에 대해 건의한 것을 두고 사헌부와 갈등이 재현되어 탄핵을 받아 1404년 1월 진주목사로 좌천되었다.

이듬해 7월 예조 우참의(右參議)로 부름을 받아 조정에 복귀하였으며, 1406년(태종 6) 10월 예조 참의(參議)가 되어 신정을 하례하기 위한 사신으로 명나라에 파견되었다. 1407년 5월에는 형조 우참의가 되어 당시 분쟁이 많았던 노비 재산상속에 관한 의견을 상소하였다.

같은 해 6월에 이조 참의, 8월에는 개성유후사 부유후(開城留後司副留後) 겸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며, 1409년 4월에는 충청도관찰사가 되어 맡은바 소임을 다하였다. 이후 1411년 2월에 판광주부사(判廣州府事), 1413년 3월 인녕부윤(人寧府尹) 등을 역임하였다.

『이재집(伊齋集)』(혹은 『이재집(頤齋集)』)이라는 문집을 저술했으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장곡리 신당산에 있으며, 후손들이 매년 음력 3월 19일에 제향을 올리고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정종실록(定宗實錄)』
『태종실록(太宗實錄)』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삼탄집(三灘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집필자]

박창희(朴菖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