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대중(曺大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B300C911B1549X0
자(字)화우(和宇)
호(號)정곡(鼎谷)
생년1549(명종 4)
졸년1590(선조 23)
시대조선전기
본관창녕(昌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세명(曺世明)

[상세내용]

조대중(曺大中)
1549년(명종 4)∼1590년(선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화우(和宇), 호는 정곡(鼎谷). 본관은 창녕(昌寧).

참봉 조세명(曺世明)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76년(선조 9) 소과에 합격하고, 1582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89년 전라도도사로 지방을 순시하던 중 보성에 이르러 부안에서 데려온 관기(官妓)와 이별하며 눈물을 흘렸는데, 이것이 당시 반란음모로 처형된 정여립(鄭汝立)의 죽음을 슬퍼한 것으로 오해되어, 정여립의 일파로 몰려 국문을 받다가 이듬해 장살(杖殺)되었다.

국문을 받던 중 읊은 시가 ‘난언(亂言)’이라 하여 죽은 뒤 추형(追刑)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宣祖修正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윤용혁(尹龍爀)
대표명조대중(曺大中)
대중(大中)
성명조대중(曺大中)

명 : "대중(大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2亦不能自全也是豈美事卿勿復呈辭速出仕則事多好矣不然人必有悔之者矣○右議政沈守慶辭遆追刑全羅都事曺大中大中以爲賊涕泣臺諫論啓拿鞫因杖斃臨死作詩曰地下若從比干去孤魂含笑不湏悲判義禁崔滉委官沈守慶曰臨死亂言何足
大事編年v7笑不須悲判府事崔滉欲進達委官沈守慶曰臨死亂言何可取信大中竟杖斃後滉以詩達於筵中上以爲語涉怨上震怒追戮大中屍子壻弟姪幷以逆律論鄭澈獻議曰大中奴事李潑等恒言李珥成渾可殺遂有時譽登注書薦遂與汝立交密汝立誅戮之後
大事編年v7比諸伏誅逆賊不無有間論以次律可得中矣上曰渠已自實不諱不待他說當待推鞫各人處之仍命嚴鞫大中妻妾澈又力言大中妻妾壓膝之刑非緣坐定配之法意上從之命女人則勿爲訊之由是大中子壻弟姪皆得免
大事編年v7說當待推鞫各人處之仍命嚴鞫大中妻妾澈又力言大中妻妾壓膝之刑非緣坐定配之法意上從之命女人則勿爲訊之由是大中子壻弟姪皆得免
大事編年v7遂被拿刑訊大中以一詩呈省坐曰地下若從比干去孤魂含笑不須悲判府事崔滉欲進達委官沈守慶曰臨死亂言何可取信大中竟杖斃後滉以詩達於筵中上以爲語涉怨上震怒追戮大中屍子壻弟姪幷以逆律論鄭澈獻議曰大中奴事李潑等恒言李珥
大事編年v7泣則有之及儒疏之上正言黃愼謂同僚曰爲賊涕泣實不近理不可輕易論啓僚議遂止及愼遞臺諫復論啓大中遂被拿刑訊大中以一詩呈省坐曰地下若從比干去孤魂含笑不須悲判府事崔滉欲進達委官沈守慶曰臨死亂言何可取信大中竟杖斃後滉
大事編年v7曰臨死亂言何可取信大中竟杖斃後滉以詩達於筵中上以爲語涉怨上震怒追戮大中屍子壻弟姪幷以逆律論鄭澈獻議曰大中奴事李潑等恒言李珥成渾可殺遂有時譽登注書薦遂與汝立交密汝立誅戮之後涕泣行素之說發於公論今觀其詩怨懟君
大事編年v7爲賊未可知也涕泣則有之及儒疏之上正言黃愼謂同僚曰爲賊涕泣實不近理不可輕易論啓僚議遂止及愼遞臺諫復論啓大中遂被拿刑訊大中以一詩呈省坐曰地下若從比干去孤魂含笑不須悲判府事崔滉欲進達委官沈守慶曰臨死亂言何可取信
國朝人物志v2到寶城逆變送其所帶官妓相與泣別於是爲賊流涕之說傳播遠邇秋浦黃愼曰不察眞僞輕論未安若以大中爲吉士則妄交逆賊心必悔悟以爲奸人則與賊親厚之跡猶恐見著爲賊流涕萬不近情臺諫以涕泣行素啓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4-23문과합격 기록을 참고하여 본관을 옥천(玉川)에서 창녕(昌寧)으로 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