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이(李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774FFFFB1536X0
자(字)숙헌(叔獻)
호(號)석담(石潭)
호(號)우재(愚齋)
시호(諡號)문성(文成)
생년1536(중종 31)
졸년1584(선조 17)
시대조선전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학자 > 유생
아명현룡(見龍)
이원수(李元秀)
사임당신씨(師任堂申氏)
처부노경린(盧慶麟)
저서『성학집요(聖學輯要)』
저서『격몽요결(擊蒙要訣)』
저서『학교모범(學校模範)』

[상세내용]

이이(李珥)
1536년(중종 31)∼1584년(선조 17). 조선 중기의 학자‧정치가.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 강릉 출생. 부친은 증좌찬성 이원수(李元秀)이며, 모친은 사임당(師任堂) 신씨(申氏)이다.
1. 가계와 수학
출생하던 날 밤 어머니의 꿈에 흑룡이 바다에서 날아들어와 서렸다고 하여 아명을 현룡(見龍)이라 하였다. 8세 때에 파주 율곡리에 있는 화석정(花石亭)에 올라 시를 지었다. 어려서부터 어머니에게 학문을 배웠고, 1548년(명종 3) 13세 때 진사 초시에 합격하였다. 16세 때에 어머니가 죽자, 파주 두문리 자운산에 장례하고 3년간 시묘(侍墓)하였다. 19세에 성혼(成渾)과 교분을 맺었다.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고 20세에 하산하여 강릉으로 들어가 「자경문(自警文)」을 짓고 다시 유학에 전심하였다.

21세에 문과 초시인 한성시(漢城試)에 대책으로 장원하였다. 22세에 성주목사 노경린(盧慶麟)의 딸과 혼인하였다. 23세가 되던 봄에 예안(禮安)도산(陶山)으로 이황(李滉)을 방문하였고, 겨울에 문과 별시 초시에서 「천도책(天道策)」을 지어 장원하였다. 26세 되던 해에 아버지가 죽었다. 1564년(명종 19) 29세에 진사 초시, 생원 초시에 장원하였고, 갑자(甲子) 식년 문과 초시에 장원하였다. 또 생원 복시에 장원하였고, 진사 복시에는 3등 12위로 합격하였다. 이어서 식년 문과 복시와 전시에 연이어 장원하였다. 전후 아홉번 장원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일컬어졌다.
2. 관직과 저술
29세에 호조좌랑에 처음 임명되고 예조좌랑이조좌랑 등을 역임, 33세(1568)에 천추사(千秋使)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부교리춘추기사관을 겸임하여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해에 성혼과 ‘지선여중(至善與中)’ 및 ‘안자격치성정지설(顔子格致誠正之說)’을 논하였다. 34세에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올렸다. 37세에 율곡리에서 성혼과 이기(理氣)‧사단칠정(四端七情)‧인심도심(人心道心) 등을 논하였고, 39세(1574)에 우부승지에 임명되고 재해로 인하여 「만언봉사(萬言封事)」를 올렸으며, 40세 때 『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제진하였다. 42세에 『격몽요결(擊蒙要訣)』을 지었고, 45세에 『기자실기(箕子實記)』를 편찬하였다. 47세에 이조판서에 임명되고, 어명으로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지었다. 이해에 「김시습전(金時習傳)」과 『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었으며, 48세에 「시무육조(時務六條)」를 계진하고 십만양병을 주청하였다. 49세에 서울 대사동(大寺洞)에서 죽었으며 파주 자운산 선영에 안장되었다. 문묘에 종향되었으며, 파주의 자운서원(紫雲書院), 강릉의 송담서원(松潭書院), 풍덕의 구암서원(龜巖書院), 황주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 등 20여개 서원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3. 사화와 사회경제
1545년 을사사화로 수많은 사류(士類)가 죽고 유배되자, 사림은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그러나 1565년(명종 20) 문정대비(文正大妃)가 죽고 20년간 권력을 휘두르던 윤원형(尹元衡)일파가 몰락하자 사림은 다시 정계로 복귀하기 시작하였다. 이이가 30세로서 출사 1년째 되는 해였다. 1566년에는 남계서원(藍溪書院)에 사액하였으며, 1567년에는 이황이 상경하였다. 그해 6월에는 명종이 죽고 선조가 즉위하였으며, 8월에는 을사사화로 처벌 받았던 노수신(盧守愼)유희춘(柳希春) 등을 등용하였다.

선조 즉위 다음해인 1568년에는 조광조(趙光祖)에게 영의정을 추서, 이황이 일시에 대제학에 취임하고 남곤(南袞)의 관작삭탈,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제진, 1569년(선조 2)에는 이이의 「동호문답」 제진, 그리고 1570년에는 유권(柳灌)유인숙(柳仁淑)의 역명신원(逆名伸寃) 등 사림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상황이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폐단은 일시에 시정될 수 없었다. 더구나 1575년부터는 동서 분당으로 인하여 사림은 분열되고 정쟁으로 인해 민생의 곤고는 극도에 달하였으며, 군사적으로도 무력한 상태에 빠져 있었다.
4. 성리사상
1565년부터 1592년(선조 26)까지의 약 30년간은 국정을 쇄신하여 국력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며, 이이와 같은 인물이 조정에 나와 있었던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이이는 16세기 후반의 조선사회를 ‘중쇠기(中衰期)’로 판단하여 일대 경장(更張)이 요구되는 시대라 하였다. 경장이 필요하다는 것과 그것이 가능하다 함에 대하여는 이미 조광조도 강조한 바 있거니와, 그 시대에 더욱 절실히 요청되는 것이었다. 이이는 「만언봉사」에서 “시의(時宜)라는 것은 때에 따라 변통(變通)하여 법을 만들어 백성을 구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이에게 있어서 성리학은 단순한 사변적 관상철학(觀想哲學)이 아니었다. 성리학의 이론을 전개하는 이이에 있어서 항상 강조되는 것은 시세(時勢)를 알아서 옳게 처리해야 한다는 것이니, 언제나 ‘실공(實功)’과 ‘실효(實效)’를 강조하였다.

성현의 도는 ‘시의와 실공’을 떠나서 있지 않으므로 현실을 파악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요(堯)순(舜)공(孔)맹(孟)이 있더라도 시폐(時弊)를 고침이 없이는 도리가 없는 것이라 하였다. 이와같이, 이이에 있어서 진리란 현실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것이며, 그것을 떠나서 별도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여기에 이(理)와 기(氣)를 불리(不離)의 관계에서 파악하는 율곡 성리설의 특징을 보게 되는 것이라 하겠다.
5. 학문과 업적
이이는 시대를 ‘창업(創業)’과 ‘수성(守成)’ 그리고 ‘경장(更張)’의 과정으로 나누어 논하였으며, 당시를 경장기라고 보았다. 이를 위해 국세조사와 같은 전국적인 규모의 조사를 실시하여 개혁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밖에도 이이는 「만언봉사」‧『성학집요』 및 수많은 상소문을 통하여 정치‧경제‧문교‧국방 등에서 구체적인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이이는 정치는 하향식으로 수행될 것이 아니요, 언로를 개방하고 중지(衆智)를 모아야 한다고 보았다. 조광조에게 있어서도 그러하였지만, 이이에게 있어 언로는 국가흥망에 관계되는 중대한 일로 강조되었다.

그리고 이이는 경제사(經濟司)의 창설을 제의하면서 시무를 밝게 알고 국사를 염려하는 지식인 관료로서 윤리성과 합리성을 겸비한 최고의 지성이 동원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위에서 보아온 바와 같이, 이이는 그의 논의에 있어서 항시 실사와 실공에 토대를 두었던 것이며, 이렇듯 성리와 실사, 의리와 공리, 인간과 사회, 이념과 현실, 실사와 원리 등 형이상하와 내외본말을 적의(適宜)하게 갖추었던 그의 사상이 성리학으로 집약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이에게 있어서는 그것이 단지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실제로 그의 구체적인 시책 속에서 시(是)와 이(利)를 하나로 구현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의리와 실리의 양면은 후기에 있어서 의리학과 실학으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때로는 의리와 실리가 조화를 이루는 바 연관성을 가지기도 하였으나, 때로는 양자가 균형을 얻지 못하고 어느 한편으로 기울어지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의 사상은 오늘에 있어서도 유심과 유물, 주체와 상황, 그리고 현실과 이상의 괴리로부터 양자의 조화와 발전을 도모함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던져주었다.

[참고문헌]

栗谷全書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栗谷의 思想(李俊浩編, 玄巖社, 1973)
栗谷의 生涯와 思想(李丙燾, 瑞文堂, 1973)
退溪栗谷哲學의 比較硏究(蔡茂松,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74)
韓國思想史論攷(朴鍾鴻, 瑞文堂, 1977)
韓國哲學硏究 中(韓國哲學會, 東明社, 1978)
朝鮮儒敎淵源(張志淵著, 柳正東譯, 三星文化文庫, 1979)
栗谷의 性理學과 社會哲學(李東俊, 韓國思想史大系 Ⅳ,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84)
韓國哲學史 中(韓國哲學會, 東明社, 1987)
栗谷哲學의 根本精神(柳承國, 東洋哲學硏究, 東方文化硏究院, 1988)
栗谷의 哲學思想硏究(宋錫球, 螢雪出版社, 1987)
栗谷哲學硏究(黃義東, 經文社, 1987)
韓國儒學史(李丙燾, 亞細亞文化社, 1989)

[집필자]

이동준(李東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