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이(李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774FFFFB1536X0
자(字)숙헌(叔獻)
호(號)석담(石潭)
호(號)우재(愚齋)
시호(諡號)문성(文成)
생년1536(중종 31)
졸년1584(선조 17)
시대조선전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학자 > 유생
아명현룡(見龍)
이원수(李元秀)
사임당신씨(師任堂申氏)
처부노경린(盧慶麟)
저서『성학집요(聖學輯要)』
저서『격몽요결(擊蒙要訣)』
저서『학교모범(學校模範)』

[상세내용]

이이(李珥)
1536년(중종 31)∼1584년(선조 17). 조선 중기의 학자‧정치가.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 강릉 출생. 부친은 증좌찬성 이원수(李元秀)이며, 모친은 사임당(師任堂) 신씨(申氏)이다.
1. 가계와 수학
출생하던 날 밤 어머니의 꿈에 흑룡이 바다에서 날아들어와 서렸다고 하여 아명을 현룡(見龍)이라 하였다. 8세 때에 파주 율곡리에 있는 화석정(花石亭)에 올라 시를 지었다. 어려서부터 어머니에게 학문을 배웠고, 1548년(명종 3) 13세 때 진사 초시에 합격하였다. 16세 때에 어머니가 죽자, 파주 두문리 자운산에 장례하고 3년간 시묘(侍墓)하였다. 19세에 성혼(成渾)과 교분을 맺었다.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고 20세에 하산하여 강릉으로 들어가 「자경문(自警文)」을 짓고 다시 유학에 전심하였다.

21세에 문과 초시인 한성시(漢城試)에 대책으로 장원하였다. 22세에 성주목사 노경린(盧慶麟)의 딸과 혼인하였다. 23세가 되던 봄에 예안(禮安)도산(陶山)으로 이황(李滉)을 방문하였고, 겨울에 문과 별시 초시에서 「천도책(天道策)」을 지어 장원하였다. 26세 되던 해에 아버지가 죽었다. 1564년(명종 19) 29세에 진사 초시, 생원 초시에 장원하였고, 갑자(甲子) 식년 문과 초시에 장원하였다. 또 생원 복시에 장원하였고, 진사 복시에는 3등 12위로 합격하였다. 이어서 식년 문과 복시와 전시에 연이어 장원하였다. 전후 아홉번 장원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일컬어졌다.
2. 관직과 저술
29세에 호조좌랑에 처음 임명되고 예조좌랑이조좌랑 등을 역임, 33세(1568)에 천추사(千秋使)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부교리춘추기사관을 겸임하여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해에 성혼과 ‘지선여중(至善與中)’ 및 ‘안자격치성정지설(顔子格致誠正之說)’을 논하였다. 34세에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올렸다. 37세에 율곡리에서 성혼과 이기(理氣)‧사단칠정(四端七情)‧인심도심(人心道心) 등을 논하였고, 39세(1574)에 우부승지에 임명되고 재해로 인하여 「만언봉사(萬言封事)」를 올렸으며, 40세 때 『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제진하였다. 42세에 『격몽요결(擊蒙要訣)』을 지었고, 45세에 『기자실기(箕子實記)』를 편찬하였다. 47세에 이조판서에 임명되고, 어명으로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지었다. 이해에 「김시습전(金時習傳)」과 『학교모범(學校模範)』을 지었으며, 48세에 「시무육조(時務六條)」를 계진하고 십만양병을 주청하였다. 49세에 서울 대사동(大寺洞)에서 죽었으며 파주 자운산 선영에 안장되었다. 문묘에 종향되었으며, 파주의 자운서원(紫雲書院), 강릉의 송담서원(松潭書院), 풍덕의 구암서원(龜巖書院), 황주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 등 20여개 서원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3. 사화와 사회경제
1545년 을사사화로 수많은 사류(士類)가 죽고 유배되자, 사림은 벼슬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그러나 1565년(명종 20) 문정대비(文正大妃)가 죽고 20년간 권력을 휘두르던 윤원형(尹元衡)일파가 몰락하자 사림은 다시 정계로 복귀하기 시작하였다. 이이가 30세로서 출사 1년째 되는 해였다. 1566년에는 남계서원(藍溪書院)에 사액하였으며, 1567년에는 이황이 상경하였다. 그해 6월에는 명종이 죽고 선조가 즉위하였으며, 8월에는 을사사화로 처벌 받았던 노수신(盧守愼)유희춘(柳希春) 등을 등용하였다.

선조 즉위 다음해인 1568년에는 조광조(趙光祖)에게 영의정을 추서, 이황이 일시에 대제학에 취임하고 남곤(南袞)의 관작삭탈, 이황의 『성학십도(聖學十圖)』 제진, 1569년(선조 2)에는 이이의 「동호문답」 제진, 그리고 1570년에는 유권(柳灌)유인숙(柳仁淑)의 역명신원(逆名伸寃) 등 사림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그러나 상황이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폐단은 일시에 시정될 수 없었다. 더구나 1575년부터는 동서 분당으로 인하여 사림은 분열되고 정쟁으로 인해 민생의 곤고는 극도에 달하였으며, 군사적으로도 무력한 상태에 빠져 있었다.
4. 성리사상
1565년부터 1592년(선조 26)까지의 약 30년간은 국정을 쇄신하여 국력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며, 이이와 같은 인물이 조정에 나와 있었던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이이는 16세기 후반의 조선사회를 ‘중쇠기(中衰期)’로 판단하여 일대 경장(更張)이 요구되는 시대라 하였다. 경장이 필요하다는 것과 그것이 가능하다 함에 대하여는 이미 조광조도 강조한 바 있거니와, 그 시대에 더욱 절실히 요청되는 것이었다. 이이는 「만언봉사」에서 “시의(時宜)라는 것은 때에 따라 변통(變通)하여 법을 만들어 백성을 구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이에게 있어서 성리학은 단순한 사변적 관상철학(觀想哲學)이 아니었다. 성리학의 이론을 전개하는 이이에 있어서 항상 강조되는 것은 시세(時勢)를 알아서 옳게 처리해야 한다는 것이니, 언제나 ‘실공(實功)’과 ‘실효(實效)’를 강조하였다.

성현의 도는 ‘시의와 실공’을 떠나서 있지 않으므로 현실을 파악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요(堯)순(舜)공(孔)맹(孟)이 있더라도 시폐(時弊)를 고침이 없이는 도리가 없는 것이라 하였다. 이와같이, 이이에 있어서 진리란 현실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것이며, 그것을 떠나서 별도로 구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여기에 이(理)와 기(氣)를 불리(不離)의 관계에서 파악하는 율곡 성리설의 특징을 보게 되는 것이라 하겠다.
5. 학문과 업적
이이는 시대를 ‘창업(創業)’과 ‘수성(守成)’ 그리고 ‘경장(更張)’의 과정으로 나누어 논하였으며, 당시를 경장기라고 보았다. 이를 위해 국세조사와 같은 전국적인 규모의 조사를 실시하여 개혁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밖에도 이이는 「만언봉사」‧『성학집요』 및 수많은 상소문을 통하여 정치‧경제‧문교‧국방 등에서 구체적인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이이는 정치는 하향식으로 수행될 것이 아니요, 언로를 개방하고 중지(衆智)를 모아야 한다고 보았다. 조광조에게 있어서도 그러하였지만, 이이에게 있어 언로는 국가흥망에 관계되는 중대한 일로 강조되었다.

그리고 이이는 경제사(經濟司)의 창설을 제의하면서 시무를 밝게 알고 국사를 염려하는 지식인 관료로서 윤리성과 합리성을 겸비한 최고의 지성이 동원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위에서 보아온 바와 같이, 이이는 그의 논의에 있어서 항시 실사와 실공에 토대를 두었던 것이며, 이렇듯 성리와 실사, 의리와 공리, 인간과 사회, 이념과 현실, 실사와 원리 등 형이상하와 내외본말을 적의(適宜)하게 갖추었던 그의 사상이 성리학으로 집약되었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이에게 있어서는 그것이 단지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실제로 그의 구체적인 시책 속에서 시(是)와 이(利)를 하나로 구현하였던 것이다. 이렇듯 의리와 실리의 양면은 후기에 있어서 의리학과 실학으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때로는 의리와 실리가 조화를 이루는 바 연관성을 가지기도 하였으나, 때로는 양자가 균형을 얻지 못하고 어느 한편으로 기울어지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의 사상은 오늘에 있어서도 유심과 유물, 주체와 상황, 그리고 현실과 이상의 괴리로부터 양자의 조화와 발전을 도모함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던져주었다.

[참고문헌]

栗谷全書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49)
栗谷의 思想(李俊浩編, 玄巖社, 1973)
栗谷의 生涯와 思想(李丙燾, 瑞文堂, 1973)
退溪栗谷哲學의 比較硏究(蔡茂松,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74)
韓國思想史論攷(朴鍾鴻, 瑞文堂, 1977)
韓國哲學硏究 中(韓國哲學會, 東明社, 1978)
朝鮮儒敎淵源(張志淵著, 柳正東譯, 三星文化文庫, 1979)
栗谷의 性理學과 社會哲學(李東俊, 韓國思想史大系 Ⅳ,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84)
韓國哲學史 中(韓國哲學會, 東明社, 1987)
栗谷哲學의 根本精神(柳承國, 東洋哲學硏究, 東方文化硏究院, 1988)
栗谷의 哲學思想硏究(宋錫球, 螢雪出版社, 1987)
栗谷哲學硏究(黃義東, 經文社, 1987)
韓國儒學史(李丙燾, 亞細亞文化社, 1989)

[집필자]

이동준(李東俊)

명 : "이(珥)"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3喜儒學之士至斥李滉爲山禽野獸云李珥以反覆小人遺劄眩惑等語啓子上左相洪暹曰今若指以小人蜼在地下亦不服矣疏詆至曰蔵頭匿形鬼談蜮說又曰其言娟嫉之嚆矢陰賊之赤幟又曰古人將死其言也善今人將死其言也惡吳祥聞之有詩
紀年便攷v13慶同有時望但潤慶外和而內立浚慶外毅而內㥘既無經濟之才膠守舊轍導上因循架漏士林短之白仁傑嘗薦李珥於浚慶於經筵屢折浚慶之言浚慶不悅謂仁傑曰爾之李珥何其輕言乎壬申卒年七十四謚忠定配享宣祖廟庭曾孫必行見下
紀年便攷v13典文衡辛巳入相至左入耆社 上招三公問李珥為人朴淳曰憂國忘身赤心靡他貴榮曰人有內邪而外善外和而內惡者今之心術未能的知不可輕以小人目之亦不敢以君子譽之傳子政院曰子以不知忠邪是非問諸大臣而左相金貴榮憚於甲乙
紀年便攷v13詣文章鑑識爲一代宗主李珥曰今相位有闕時論皆歸子膺盧槙字季真李後白字然必欲求真宰相則重晦其人也爲箕伯也以爲練達時務不可去朝國家服制多從繼輝之議宣祖辛巳以國系辨誣爲奏請使壬午復命未㡬卒年五十七官止禮参大司
紀年便攷v13退蜼被西人之目而後軰亦不忌之因朴淳薦特拜刑判時相位缺或問可相者李珥以後白及金繼輝對或曰此两人可卜相乎曰有時望者不得爲相姜士尙無相望可合此任及卜相果然與盧槙交深戊寅禛卒徃奠其柩因感疾一夜卒年五十九追錄光
紀年便攷v13三謁李滉與成渾爲道義交與宋翼弼翰弼安敏學成允諧朴光玉鄭磏李夢奎曹好益禹㐲龍從遊滉曰明爽多記覧後生可畏獻詩曰溪分洙泗泒峯秀武夷山活計經千卷生涯屋數間襟懷開霽月淡笑止狂瀾小子求聞道非偷半日間滉曰詩不如其人
紀年便攷v13時年十八徐曰李珥負當世重望緇兒等語似已甚耳欽之見擯於東人始此修撰金弘敏疏斥珥上答曰予欲法朱熹之說欲入渾之黨也自今以後爾軰以予爲珥渾之黨可也若有詆斥珥渾者則必罪不赦珥天姿英明學具軆用折衷諸說集羣賢而大成
紀年便攷v13應漑朴謹元許篈所誣丙子退歸辛巳陞嘉善尋擢戶判典文衡壬午陞崇政歴吏兵判参賛官止左䝺成癸未大諫宋應漑䟽論以本一緇兒得罪人倫等語甚張皇以彈文示其甥申欽欽時年十八徐曰李珥負當世重望緇兒等語似已甚耳欽之見擯於東
紀年便攷v13兒等語似已甚耳欽之見擯於東人始此修撰金弘敏疏斥珥上答曰予欲法朱熹之說欲入珥渾之黨也自今以後爾軰以予爲渾之黨可也若有詆斥珥渾者則必罪不赦珥天姿英明學具軆用折衷諸說集羣賢而大成藴濟世之才而未克展布封事諸篇
紀年便攷v13及也明宗甲子生進明經科初覆誠殿試俱居魁市童曰九度壯元初以生員謁聖掌議閔福訾以沙門不許日至晩榜中皆失色神彩自若選湖堂歴銓郞舎人典翰直學副學海伯除完伯不就承旨趙持世問落髪與不於金長生長生言似是落髮金玄成力
紀年便攷v13擯於東人始此修撰金弘敏疏斥珥上答曰予欲法朱熹之說欲入珥渾之黨也自今以後爾軰以予爲珥渾之黨可也若有詆斥渾者則必罪不赦珥天姿英明學具軆用折衷諸說集羣賢而大成藴濟世之才而未克展布封事諸篇及東湖問答可以熟讀下
紀年便攷v13語甚張皇以彈文示其甥申欽欽時年十八徐曰李珥負當世重望緇兒等語似已甚耳欽之見擯於東人始此修撰金弘敏疏斥上答曰予欲法朱熹之說欲入珥渾之黨也自今以後爾軰以予爲珥渾之黨可也若有詆斥珥渾者則必罪不赦珥天姿英明學
紀年便攷v13除完伯不就承旨趙持世問落髪與不於金長生長生言似是落髮金玄成力辨其不然曰下山後對衆梳頭髮長要地鄭以周曰初出山與之同宿䯻大如拳世傳剃髮妄矣珥辭校理疏答曰自古豪傑之士不免釋氏之所陷溺不可以昔日耽禪之小失遽辭
紀年便攷v13金弘敏疏斥珥上答曰予欲法朱熹之說欲入珥渾之黨也自今以後爾軰以予爲珥渾之黨可也若有詆斥珥渾者則必罪不赦天姿英明學具軆用折衷諸說集羣賢而大成藴濟世之才而未克展布封事諸篇及東湖問答可以熟讀下海州舟中作詩曰四
紀年便攷v13生長生言似是落髮金玄成力辨其不然曰下山後對衆梳頭髮長要地鄭以周曰珥初出山與之同宿䯻大如拳世傳剃髮妄矣辭校理疏答曰自古豪傑之士不免釋氏之所陷溺不可以昔日耽禪之小失遽辭論思之重任 宣祖甲戌上萬言疏寵答而不
紀年便攷v16李之菡之蕃弟中宗丁丑生字馨仲號土亭所居屋築以土平其上為亭又號水山従徐敬徳學易深知李珥亦敬重氣度異常孝友出天能忍寒暑飢渴冬日赤身㘴於烈風中幾十日絶飮食不病宣祖癸酉以卓行薦拜六品官為抱川縣
紀年便攷v16應綏號澗㴔明宗乙卯進士善詞賦後事為已之學授参奉歴工佐以李珥薦擢拜持平不就是選也仁弘為首成渾為副大福與渾及宋翼弼鄭澈友善宣祖丁丑卒年五十二子元俊見下
紀年便攷v16戊午登明經科官止右参賛選清白吏性質直有問時事者輒笑答曰此何關此何關人號為何關先生為憲長李珥曰允合此陣去國友直顯示抑隂之義故進塗枳宣祖庚寅以開城留守卒年六十二贈正憲左参賛又以原従㓛加贈左䝺成推恩加贈領相
紀年便攷v16授澹教子為季父進士浩教后中宗壬辰生字時中號香湖年十四仲父演教黨於乙巳奸凶累以書諫之親灸於李滉成渾。李之門明宗壬子以生員遊太學上䟽請復 貞陵又請各陵立表石以為久遠計以薦入仕歴十官多不就宣祖乙巳以橫城縣監
紀年便攷v16午登明經科以修撰歸鄕讀書名重一道至以竹島先生称之執弟子之禮於李珥至有孔子已熟底柿子栗谷未熟底柿子之論既卒謟泭李潑一日 上問李珥何如人羣臣未及對汝立極言其短不遺餘力 上深思之曰汝立今之邢恕汝立怒目而退性
紀年便攷v16以珥為黨以此說動予意乎苟君子也不患其為黨患其黨之少也予亦法朱熹之說願入於珥渾之黨也自今以後爾䓁以予為渾之黨可也若詆斥珥渾者必罪無赦壬辰倡義旅遮截湖西年五十五卒院享
紀年便攷v16上䟽論李珥成渾朴淳以邪黨荅曰以珥為黨以此說動予意乎苟君子也不患其為黨患其黨之少也予亦法朱熹之說願入於渾之黨也自今以後爾䓁以予為珥渾之黨可也若詆斥珥渾者必罪無赦壬辰倡義旅遮截湖西年五十五卒院享
紀年便攷v16意乎苟君子也不患其為黨患其黨之少也予亦法朱熹之說願入於珥渾之黨也自今以後爾䓁以予為珥渾之黨可也若詆斥渾者必罪無赦壬辰倡義旅遮截湖西年五十五卒院享
紀年便攷v16金弘敏範子字任甫號沙潭宣祖庚午登明經科歴翰木銓郞典翰官止牧使癸未以修撰上䟽論李珥成渾朴淳以邪黨荅曰以為黨以此說動予意乎苟君子也不患其為黨患其黨之少也予亦法朱熹之說願入於珥渾之黨也自今以後爾䓁以予為珥渾
紀年便攷v16淳聞渾入城喜曰吾王不亦為豪傑之主乎宻宻結網網得牛翁来矣李珥甞薦于上曰成渾才不足以經綸而好善優於天下及被誣渾上䟽力辨壬辰不赴難以待罪之臣難於自進以鄭澈親友将朝夕禍及而 上到臨津問成渾家安在李弘老指近㟁村
紀年便攷v16三南陪東宫駐洪州策扈聖㓛二䓁封韓興府院君於諸書無不精熟尤深於昜文洞曉象緯金宇顒毀李珥於 上前山甫盛称行誼之高 上嘉歎之受任賑飢勞備成疾甲午卒于洪州年五十七官止吏判贈領相謚忠簡子慶綽字徳餘號伴琴宣祖丙午
紀年便攷v16朴汝龍沔川人副護軍守義子中宗辛丑生字舜卿號松厓李珥門人宣祖癸酉生進俱中登朝首舉以卓行除厚陵参奉歴二邑壬辰募兵得五百人與趙光玹奔問行在再錄原従㓛以工曹正郞謝官歸郷與金長生趙
紀年便攷v16書五言絶句於一片而不失其結搆趯勒之法名入茟苑以生貟補慶基殿参奉歴三邑官止軍資監正再中庭試以㣲眚見下兄築室於石潭日夕湛楽自謂兄弟間知己賜宣武原従㓛光海己酉卒年六十八
紀年便攷v16李瑀弟中宗壬寅生字季獻號玉山又竹窩甞居善山善山称以四絶謂其琴書詩畵也於胡麻子書作龜字劈豆為両片書五言絶句
國朝人物志v2可退以吾身觀之不可不退身旣多病才亦無能爲也時成渾拜參奉而不來座客有言成渾何不來曰渾多病不敢從官若強之仕則是苦之也滉笑曰叔獻何其待成渾厚而待我薄乎珥曰不然
國朝人物志v2決退與韓修南彥經論時事彥經曰只拍仁伯一人補外其餘人皆依舊在淸班則士林帖然無事矣曰此吾志彥經曰公不可退如此紛紜之世豈可不念乎珥曰不見信於上下奈何彥經曰豈無一分之益
國朝人物志v2啓曰閔純學問之士也今聞退歸令人缺望人物眇然之時如此人豈不可惜上曰厥家安在以何事退歸乎曰家在高陽在憲府議多矛盾蓋志在復古人皆毀謗故不得已退歸上曰曾聞其賢深欲一見而未及
國朝人物志v2民疾苦有以魚池爲苦公塞其池永杜後患牧民心書金繼輝問李珥曰馨仲比諸葛亮何如曰土亭非適用之才比於物則是奇花異草珍禽怪石非布帛菽粟也之菡聞之笑曰我非菽粟亦是橡栗之類豈是
國朝人物志v2字叔獻號栗谷德水人父監察元秀娶進士平山申命和女生于江陵府夢黑龍入室抱兒懷中小字見龍學語便知文字七歲作陳復昌傳十三中進士初試弱冠
國朝人物志v2長遊閔杏村純之門歷湖堂舍人拜校理筵中汝立極詆李珥履祥曰汝立嘗師事而背之嘗深惡而絶之上曰汝立可謂郉恕也壬辰扈從爲副提學壬子出守開城入對曰朋黨之禍
國朝人物志v2曰受國厚恩當此國勢弧危宜盡職以報君何爲引疾以孤士望山海感其言視事鑑別進退一以公不敢干以私歎曰吾友爲政差強人意甲申爲大提學先是鄭相芝衍疾劇擧山海以自代戊子拜右相至領議
國朝人物志v2惟讓等累爲諸賊所引上再命拿鞫皆死崔永慶頗有淸修名旣而染汚汝立等詆毀栗谷諸賢至言及朴淳其首可梟及是諸賊皆言吉三峯爲謀主而又言三峯乃姓崔居晉州者因有蜚語訛謂
國朝人物志v2使士元孫庚子進士明宗丁未文科選檢閱上問曰李珥果小人乎對曰知人難不當遽以爲小人亦不敢以成德許之辛巳拜右議政兼大提學錄平難功臣封上洛府院君入耆社上曰左相
國朝人物志v2每咄咄不已丁卯進士庚午文科修撰從栗谷李珥遊嘗曰紫陽已熟底杮子栗谷半熟底杮子及卒汝立以臺諫力詆栗谷上曰汝立今之郉恕汝立棄官歸讀書自號竹島性凶悖兄弟五六
國朝人物志v2號養齋南陽人進弟庚午進士壬申文科薦入史局賜暇湖堂歷南床舍人官至執義劾李珥曰徒以敏捷多才謂可與興至治信乎知人則哲堯亦難之上怒斥爲長淵縣監又號荷衣子有文名
國朝人物志v2字誠甫德水人從子官止參奉少時器度峻整稱爲賢子弟旣長以文成公命受業於牛溪文成歿而群小搆誣未已乙
國朝人物志v2字仲悟靑松人嘗受學于栗谷李珥之門亟稱之己丑鄭汝立獄李潑兄弟坐死公素與潑洁兄弟善哀其無收骸者爲棺斂而葬之坐謫富寧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