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응남(朴應男)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751B0A8B1527X0
자(字)유중(柔仲)
호(號)퇴암(退庵)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527(중종 22)
졸년1572(선조 5)
시대조선전기
본관반남(潘南)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소(朴紹)

[상세내용]

박응남(朴應男)
1527년(중종 22)∼1572년(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유중(柔仲), 호는 남일(南逸) 또는 퇴암(退庵). 사간 박소(朴紹)의 아들이다.

8살에 어머니를 따라 서울에 와서 유조인(柳祖訒)에게 배웠고, 뒤에 성제원(成悌元)이중호(李仲虎)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53년(명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수찬과 육조의 참의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대사헌으로 있을 때 국정을 전단하던 이량(李樑)의 죄를 탄핵하다가 귀양갔으나 왕이 특별히 용서하여 풀려났다.

명종이 임종할 때 좌승지로 금중(禁中)에서 숙직하다 영의정 이준경(李浚慶)과 함께 고명을 받아 선조가 왕위를 계승하는 데 공을 세웠다. 심의겸(沈義謙)과 친교가 두터워 조카딸(應順의 딸)을 선조비로 책봉하도록 하였으며, 궁중의 복색을 화사하고 선명한 것으로 바꾸도록 하였다.

이이(李珥)『석담일기(石潭日記)』에서 “고지식하며 말을 과감히 하고 겉으로는 시비를 분별하지 못하는듯하나 속으로는 시비를 판단하는 기준이 있었다.”고 평하였다.

성품이 강직하였기 때문에 대사헌 재임중 기탄 없는 논박을 하여 원망하는 사람이 많았다.

또 왕비의 숙부였으므로 왕의 총애를 받으니 사림(士林)의 큰 힘이 되었고, 그가 죽자 사류(士類)들이 애석하게 여겼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홍종필(洪鍾佖)

명 : "응남(應男)"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6朴應福應男弟林億齡姪婿中宗庚寅生字慶仲號拙軒従成悌元李仲虎學 明宗己酉二十進士甲子登明經科官止嘉善大司憲性忠實
紀年便攷v29朴弼明應男五世孫錦昌尉謚敬憲泰定子孝宗戊戌生字仲良肅宗丁丑登庭試歷翰林銓郞知申完伯官止大司憲英祖丙申卒年五十九
震乘總v4以英才博學氣蓋一世而自信太過不喜諍友若使得志而行其所學則朴應男未知其遇爲幸耶爲不幸耶○大司憲朴應男卒應男字柔中號退菴又南逸敎諸子一以禮義每朔必聚于一室通讀小學近思錄西山行義朱書節要因卞問其義理以究其精微或
震乘總v4通讀小學近思錄西山行義朱書節要因卞問其義理以究其精微或使各言其志旁及經史古人出處言行靡不精熟李栗谷曰應男戇直敢言外若不曉是非內實有權衡屢主風憲駁擊無顧忌人多怨者第以好善故士類推許且以中殿叔父上眷重士林恃賴
小華龜鑑v5號拙軒冶川絽子大憲弟應男參判號南逸
寒臯觀外史v17義謙字方叔号巽庵青松人官大憲應男字柔仲号退庵潘南人官大憲謚文貞継輝字仲晦号黃岡光山人官大憲斗壽字子仰号梧隂海平人官左相謚文靖根壽字子
寒臯觀外史v18應順羅州人冶川文康公紹之子也官領敦潘城府院君謚靖懿應男字柔仲号艮齋官大憲謚文貞
寒臯觀外史v18十二月册朴氏為王妃王妃父應順以例拜領敦寧府事應順之弟應男有時名䖏要地與沈義謙甚密朴氏之册封義謙之力爲多應順羅州人冶川文康公紹之子也官領敦潘城府院君謚靖懿應男
寒臯觀外史v33淳字和叔號思庵忠州人官領相謚文忠應男字柔仲潘南人官大憲謚文貞
寒臯觀外史v35官大憲謚文正從祀文庙浚慶字原古号東皐廣州人官領相謚忠正配享宣祖庙庭○淳字和叔号思菴忠州人官領相謚文忠應男字柔仲号艮齋一号南逸潘南人官大憲謚文貞○退溪李先生名滉字景浩真宝人官判樞謚文純配享宣祖庙庭從祀文庙
郯述v02父東亮應男從孫
郯述v02甲子大憲應男
國朝人物志v2大司諫劾李樑專擅之罪請遠竄上允之士林增氣上猝有疾大漸之夕領相李浚慶尙未入闕應男以宋朝文彥博直宿禁中故事責之浚慶大驚卽至是夜受顧命宣祖入承大統大行發靷禮官議
國朝人物志v2字子眞庚寅進士甲午文科牧使食雉骨病死兄弟聯璧三兄弟登第同上從姪垣字士閑大司憲應男孫甲午文科同榜官至佐郞同上子瀰封尙宣祖女翁主封錦陽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