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노수신(盧守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178C218C2E0B1515X0
자(字)과회(寡悔)
호(號)소재(穌齋)
호(號)이재(伊齋)
호(號)암실(暗室)
호(號)여봉노인(茹峰老人)
시호(諡號)문의(文懿)
시호(諡號)문간(文簡)
생년1515(중종 10)
졸년1590(선조 23)
시대조선전기
본관광주(光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노홍(盧鴻)
처부이연경(李延慶)
저서『소재집』

[상세내용]

노수신(盧守愼)
1515년(중종 10)∼1590년(선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과회(寡悔), 호는 소재(穌齋)이재(伊齋)암실(暗室)여봉노인(茹峰老人).

우의정 노숭(盧嵩)의 후손이며, 부친은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 노홍(盧鴻)이다.

1531년 17세에 당시 성리학자로 명망이 있었던 이연경(李延慶)의 딸과 결혼하고, 장인의 문하생이 되었으며, 1541년 27세 때 이언적(李彦迪)과 최초의 학문적 토론을 벌였다.

1543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한 뒤로 전적(典籍)수찬(修撰)을 거쳐, 1544년에 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가 되고, 같은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인종 즉위초에 정언이 되어 대윤(大尹)의 편에 서서 이기(李芑)를 탄핵하여 파직시켰으나, 1545년 명종이 즉위하고 소윤(小尹) 윤원형(尹元衡)이 을사사화를 일으키자 이조좌랑의 직위에서 파직, 1547년 순천으로 유배되고, 이어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죄가 가중됨으로써 진도로 이배되어 19년간 섬에서 귀양살이를 하였다.

그동안에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 등과 서신으로 학문을 토론하였고, 진백(陳柏)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을 주해하였다. 이 주해는 뜻이 정명(精明)하여 사림 사이에 전송(傳誦)됨으로써 명성이 전파되었다. 『대학장구(大學章句)』『동몽수지(童蒙須知)』 등을 주석하였다.

1565년 다시 괴산으로 이배되었다가 1567년에 선조가 즉위하자 풀려나와 즉시 교리(校理)에 기용되고, 이어서 대사간부제학대사헌이조판서대제학 등을 지냈으며, 1573년에는 우의정, 1578년에 좌의정을 거쳐 1585년에 영의정에 이르렀다.

그뒤 1588년에 영의정을 사임하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으나, 이듬해 10월에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으로 기축옥사가 일어나자 과거에 정여립을 천거했던 관계로 대간(臺諫)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시‧문‧서예에 능했으며 경일(敬一)공부에 주력할 것을 강조하고 도심미발(道心未發)‧인심이발설(人心已發說)을 주장했을 뿐만 아니라 양명학(陽明學)도 깊이 연구하였으므로 주자학파의 공격을 받았다.

한편 승려인 휴정(休靜)선수(善修) 등과도 교분이 있었으므로 그 학문이 불교의 영향을 입기도 하였다. 학문에 있어서는 그가 일찍이 옥당(玉堂)에 있을 때 경연에서 『서경』을 강함에 인심도심(人心道心)의 설명이 주자설과 일치하였으나, 진도로 유배되어 그 당시 들어온 나흠순(羅欽順)『곤지기(困知記)』를 보고 난 후는 전설(前說)을 변경하여 도심은 미발, 인심은 이발이라고 해석하게 되었다.

한편 그의 덕행과 업적의 성과는 매우 다양하여, 인군과 백성들, 그리고 많은 동료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가 진도에 귀양갔을 때 그 섬 풍속이 본시 혼례라는 것이 없고 남의 집에 처녀가 있으면 중매를 통하지 않고 칼을 빼들고 서로 쟁탈하였다. 이에 예법으로써 섬 백성들을 교화하여 드디어 야만의 풍속이 없어졌다.

또 아버지의 상을 당했을 때 대상 후에 바로 흑색의 갓을 쓰는 것이 미안하다고 생각하여 백포립(白布笠)을 쓰고 다니기를 국상(國喪)때와 같이 하였는데, 그뒤 직제학 정철(鄭澈)이 이를 본받아 실행했고, 뒤에 교리 신점(申點)이 주청하여 담제(禫祭)전에는 백포립을 쓰도록 제도화시켰다.

그는 온유하고 원만한 성격을 가진 문신이자 학자로서 사림의 중망을 지녔으며, 특히 선조의 지극한 존경과 은총을 받았다. 충주팔봉서원(八峰書院), 상주도남서원(道南書院)봉산서원(鳳山書院), 진도봉암사(鳳巖祠), 괴산화암서원(花巖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소재집』 13권 8책이 있다. 시호는 문의(文懿)이며, 뒤에 문간(文簡)으로 고쳤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蘇齋集
栗谷全書
東儒師友錄(朴世采)
燃藜室記述
國朝人物考
朝鮮名臣錄(李章薰)
朝鮮儒學史(玄相允, 民衆書館, 1971)

[집필자]

유남상(柳南相)

성명 : "노수신(盧守慎)"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1未以兵判入相至左入耆社賜几杖華使見其詩文必加敬後見我國人詢其起居文章富麗尢長於詩不事雕刻自有風味時謂盧守慎之腐翰湛思鄭惟吉之撃鉢清新兩得其所云立心行事以忠厚謹慎為本至於大事斷之以義文章徳業俱有可稱而性懦弱為
紀年便攷v11盧守慎光州人嵩八世孫别提鴻子中宗乙亥生李延慶婿字寡悔號蘇齋又伊齋又暗室又茹芝老人李滉門人又受學于延慶及李耔
紀年便攷v11臺論被讉晩年氣節消磨為相多年無他事業李珥以此短之而第有好善之心欲與珥及朴淳調停土類修撰金誠一啓曰領相盧守慎受人貂皮長衣豈意有如此事也守慎避席曰誠一之言是也臣母老而多病冬不耐寒故果求於族人邉将以給老母矣上兩美
紀年便攷v11盧守慎
紀年便攷v14封礪城尉字明仲號頤菴好着鹿皮裘故又號鹿皮翁曺植門人風流儀采早已超邁治禮樂善書法名入茟苑尊賢好士能文章盧守慎欲破格薦文衡宗伯而未果李珥棄官歸鄊也寅往别歎曰今 上英明羣賢畢集如我只是坐觀昇平而事終不成可惜 宣祖
紀年便攷v14歴銓郞舍人典翰直學副學提學錦伯官止吏判選清白吏為人樂昜雍容標望絶人與李恒論大學得其宗旨與金麟厚奇大升盧守慎為道義交退居咸陽大有時望而立朝不能建明崔永慶語禛郷人曰君郷亦有尹斗壽盖謂貪鄙也崔言雖過而識者不甚非之
紀年便攷v14鄭郁李中悅羅湜羅淑鄭惟沉鄭滋李若海鄭源韓淑韓灝韓㴻成世昌李文楗慎居寬李首慶宋麟壽林亨秀李若氷成遇沈苓盧守慎李熖丁熿權應挺權應昌李天啓權勿李湛安景祐李震黃博金振宗尹剛元尹忠元安馠朴承任金忠甲柳景深具壽聃宋純朴
紀年便攷v14鳯城君岏宋麟壽李若海李彥迪鄭滋李熖林亨秀盧守慎丁熿柳希春金鸞祥權應挺權應昌鄭惟沉李天啓權勿李湛韓㴻安景祐權撥宋希奎白仁傑李彥忱閔起文黃博李震李洪男
紀年便攷v14起戊辰宣祖大王元年盡壬戉光海君十四年 凢五十五年宣祖大王元年隆慶二年以盧守慎為弘文館直提學守慎乞歸養 上曰守慎學行卓異将共成治效未可許歸大臣李浚慶請令其親来京可免遠逰之憂專意勸
紀年便攷v14規圖六心統性情圖七仁說圖八心學圖九敬齋箴圖十夙興夜寐箴圖 上以為甚㘦於為學仍命作屏帖以觀省○忠清監司盧守慎上疏勸 上立志為學以為出治之夲且進所撰夙興夜寐箴註觧 上優荅之
紀年便攷v14監司時李後白亦為咸鏡監司二人皆有人望而相継見黜時沈金角立朝論紛紜李珥欲保合彼此血誠調劑而不能淂右議政盧守慎白上曰近日沈金互言疵累因此人言囂囂恐有士林不靖之漸 上曰同朝之士當同寅協恭而乃相詆毀甚不可両人須外補
紀年便攷v14黨曾誣 王大妃仁宗妃以隂主瑠任逆謀故 大妃坐受誣辱三十餘年以為冤痛至是 大妃弗豫再下諺札于侍葯㕔提調盧守慎入侍上召大臣問瑠灌仁淑事大臣權轍依違不敢盡言 上只命給灌仁淑職牒於是以削勲復官事至有三公率百官廷請并
紀年便攷v14上疏極言時政得失賜優批仍問政院成渾受祿否對以渾未拜職名故不敢受祿 上特命戶曺題給米菽○賜手札于左議政盧守慎守慎辭疾不已 上手札諭之曰惟卿山川間氣星斗文章學傳伊洛之脉道為儒林之宗黃閣十年隐然有喬岳之㓛以予之不
紀年便攷v14從領議政盧守慎之言也
紀年便攷v15盧守慎
紀年便攷v15盧守慎見中宗朝湖堂
紀年便攷v15沈善壽逢源孫正字鍵子李延慶外孫 明 宗戊申生盧守慎姪婿字伯懼號一松盧守慎李滉門人宣祖戊辰進士壬申登别試選湖堂廉謹吏典文衡文章名一世多為儐相萬經理世德見
紀年便攷v15盧守慎
紀年便攷v15盧守慎見中宗朝湖堂又見宣祖朝相臣
紀年便攷v15學但有拒諌自用之病桀紂之所以亡也 上為之改容 上甞問近来廉耻日喪何故也誠一對曰大臣不恥受賂小官奚則焉盧守慎避席曰臣族人為邉将以臣有老母寄一貂裘臣不能却誠一言是也 上曰臺臣直言大臣引過両得之矣守慎出而謝曰吾道
紀年便攷v16後以白衣冠視事命議大臣禮官領議政權轍領府事洪暹以為卒哭後玄冠素衣烏帶載五禮儀不可輕變左議政朴淳右議政盧守慎以為白衣帶視事正合禮意 上於卒哭祭畢後以白袍帶還宫遵以為式流佫以此疾之乃棄官歸李珥惜之論啓于上辛卯卒
紀年便攷v16宗庚寅生字仲謙號玉溪慈詳愷悌貌如玉人名重一時宣祖庚午生貟壬申以别提登親試歴南床翰林銓郞舎人典翰甲申以盧守慎薦為副學吏議與李潑相善仇視李珥成渾㘴己丑獄遠竄甞與汝立書多犯上語有曰此人猜忌恨復又曰此人少無人君之量
紀年便攷v16白光勲光弘弟中宗丁酉生字彰卿號玉峰盧字慎門人中進士官止参奉以白衣為製述官文章鳴世與李達崔慶昌號称三唐盧守慎在珎島謫中光勲徃學焉茟亦有名名入茟苑詩如紅藕一枝風滿院亂蟬千樹雨歸村者膾灸一時詩學唐茟學晉宣祖壬午卒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