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철(權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D8CCCA0FFFFB1503X0
자(字)경유(景由)
호(號)쌍취헌(雙翠軒)
시호(諡號)강정(康定)
생년1503(연산군 9)
졸년1578(선조 11)
시대조선전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권적(權勣)
순흥안씨(順興安氏)
외조부안탁(安擢)

[상세내용]

권철(權轍)
1503년(연산군 9)∼1578년(선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유(景由), 호는 쌍취헌(雙翠軒).

부친은 강화부사 권적(權勣), 모친은 순흥안씨(順興安氏)안탁(安擢)의 딸이며, 권율(權慄)의 아버지이다.

1528년(중종 23)에 진사가 되고, 1534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성균관을 거쳐 예문관검열이 되어 당시 영의정 김안로(金安老)의 잘못을 직필(直筆)하였다가 미움을 사 좌천되었다.

그뒤 김안로가 사사되자 복직되어 홍문관저작박사 겸 시강원설서를 거쳐 1539년 수찬으로 승진하였으며, 1547년(명종 2)까지 병조좌랑이조좌랑이조정랑병조정랑형조정랑직강교리지평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1550년에 승문원판교를 거쳐 승정원동부승지에 승진하였으며, 3년 뒤에는 도승지가 되었다.

그뒤 1556년 형조판서가 되었을 때 호남의 신중(新中)에 왜구가 침범하자 관찰사 겸 도순찰사가 되어 변경을 평정하였다.

1558년 명나라책세자사신(冊世子使臣)이 올 때 원접사가 되었으며, 이어 우찬성을 역임하고, 1565년에는 병조판서 윤원형(尹元衡)이 죄를 얻어 물러나자 우의정이 되었다.

1567년(선조 즉위)에는 좌의정, 1571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작은 관직에 있을 때부터 몸가짐이 신중하여 일찍부터 재상의 중망(衆望)이 있었다고 하며, 비록 출중한 재기는 없었으나 청신하게 법을 지켜 감히 허물하지 못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복상(福相)이라고 칭송하였다.

시호는 강정(康定)이다.

[참고문헌]

宣祖修正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범직(李範稷)

명 : "철(轍)"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3斯人不待百年公議定是非何累地中身或曰與兄潤慶同有時望但潤慶外和而內立浚慶外毅而內㥘既無經濟之才膠守舊導上因循架漏士林短之白仁傑嘗薦李珥於浚慶珥於經筵屢折浚慶之言浚慶不悅謂仁傑曰爾之李珥何其輕言乎壬申卒
紀年便攷v13燕山癸亥生字景由號西山中宗戊子生進俱中甲午登明經科歴翰林南床銓郞舎人爲金安老所忌嘗論斥陳復昌李樑敗而代掌銓尹元衡黜而轍旋入相明宗丙寅以御筆拜右相至領致仕賜几杖入耆社歴事四朝立朝四十五年四爲首相 上曰德
紀年便攷v13西山中宗戊子生進俱中甲午登明經科歴翰林南床銓郞舎人爲金安老所忌嘗論斥陳復昌李樑敗而轍代掌銓尹元衡黜而旋入相明宗丙寅以御筆拜右相至領致仕賜几杖入耆社歴事四朝立朝四十五年四爲首相 上曰德足以鎭物才足以輔國
震乘總v5人曰初意當久別天顔欲一仰視而及聞天語丁寧感淚如泉竟不敢仰瞻矣仍掩泣不權轍能止同坐莫不下語○領議權轍卒字景由仁廟大漸日以舍人持公事詣貳相尹任則方於大明殿上脫團領臥寢不覺竦然而退李栗谷曰初金安老用事而公忤
文獻攷略v12支持小邑則倉穀無幾守令必不免憑公營私巧立名目以取於民矣假使不取於民若倉穀已盡而經用不可廢則將何以處之不以爲然石潭日記
大事編年v6曰我豈害士林但以方叔爲未便耳受曰南衮神武門遺跡公豈踵之乎仁傑大駭曰士林疑我至此乎權轍亦止仁傑仁傑歷見及朴淳自明七月仁傑遂解官歸鄕壬申五年穆宗皇帝崩神宗皇帝卽位
國朝人物志v2字景由安東人文景公踶五世孫父勣官止江華府使幼氣貌異常中宗戊子進士甲午文科補檢閱金安老惡其直筆不阿遽置下考中宗問曰權轍
國朝人物志v2字彥愼號晩翠安東人領相子宣祖壬午文科時年四十五辛卯薦授義州府尹壬辰倭兵大至上曰予聞權慄有才今在何處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