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언적(李彦迪)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5B8C801B1491X0
초명(初名)이적(李迪)
자(字)복고(復古)
호(號)자계옹(紫溪翁)
시호(諡號)문원(文元)
생년1491(성종 22)
졸년1553(명종 8)
시대조선전기
본관여주(驪州)
활동분야학자 > 성리학자
이번(李蕃)
경주손씨(慶州孫氏)
조부이수회(李壽會)
외조부손소(孫昭)
저서『구인록(求仁錄)』
저서『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저서『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
저서『봉선잡의(奉先雜儀)』

[상세내용]

이언적(李彦迪)
1491년(성종 22)∼1553년(명종 8).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자계옹(紫溪翁).

참군 이수회(李壽會)의 손자로, 생원 이번(李蕃)의 아들이며, 모친은 경주손씨(慶州孫氏)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의 딸이다. 초명은 적(迪)이었으나 중종의 명으로 언(彦)자를 더하였다.
1. 관직
2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이조정랑사헌부장령밀양부사를 거쳐 1530년(중종 25) 사간이 되었다.

이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관직에서 쫓겨나 경주자옥산에 들어가서 성리학연구에 전념하였다.

1537년 김안로 일당이 몰락한 뒤에 종부시첨정으로 불려나와 홍문관교리응교직제학이 되었고, 전주부윤에 나가 선정을 베풀어서 송덕비가 세워졌다.

이때 조정에 「일강십목소(一綱十目疏)」를 올려 정치의 도리를 논하였다. 이조예조형조판서를 거쳐 1545년(명종 즉위)에 좌찬성이 되었다.

이때 윤원형(尹元衡) 등이 선비를 축출하는 을사사화를 일으켰을 때 추관(推官)이 되어 선비들을 심문하는 일을 맡았지만 자신도 관직에서 물러났다.

1547년 윤원형 일당이 조작한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무고하게 연루되어 강계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많은 저술을 남겼으나 63세로 죽었다.
2. 학문
이언적조선조 유학, 곧 성리학의 정립에 선구적인 인물로서 유학의 방향과 성격을 밝히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그것은 주희(朱熹)의 주리론적 입장을 정통으로 확립하는 것이다.

그는 스승으로부터 뚜렷하게 계승받은 것이 아니요 독자적으로 학문을 수립하였다. 다만 그의 호를 ‘회재’라 한 것은 회암(晦菴: 주희의 호)의 학문을 따른다는 견해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27세 때 당시 영남 지방의 선배학자인 손숙돈(孫叔暾)조한보(曺漢輔)사이에 토론되었던 성리학의 기본쟁점인 무극태극논쟁(無極太極論爭)에 뛰어들어 주희의 주리론적 견해에서 손숙돈조한보의 견해를 모두 비판하여 자신의 학문적 견해를 밝혔다.

물론, 이언적은 이 논쟁에서 이기론(理氣論)의 주리론적 견해로서 이선기후설(理先氣後說)과 이기불상잡설(理氣不相雜說)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우위설(理優位說)의 견해는 이황(李滉)에게로 계승되는 영남학파의 성리설에 선구가 된다. 그가 여기에서 벌인 태극의 개념에 관한 논쟁은 조선조 성리학사에서 최초의 본격적인 개념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사화가 거듭되는 사림의 시련기에 살았던 선비로서 을사사화 때는 그 자신이 좌찬성판의금부사의 중요한 직책으로 사림과 권력층 간신 사이에서 억울한 사림의 희생을 막으려고 노력하다가 마침내 자신이 사화의 희생물이 되고 말았다.

이이(李珥)는 그가 을사사화에 곧은 말로 항거하여 절개를 지키지 못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그는 불의와 타협하지 않으면서도 온건한 해결책을 추구하였던 인물이다.
3. 저술
그는 만년에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큰 업적이 되는 중요한 저술들을 여럿 남겼다. 곧, 『구인록(求仁錄)』 (1550)‧『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1549)‧『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 (1553)‧『봉선잡의(奉先雜儀)』 (1550) 등이다. 『구인록』(4권)은 유교경전의 핵심개념으로서 인(仁)에 대한 그의 집중적인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유교의 여러 경전과 송대 도학자들의 설에 인의 본체와 실현방법에 관한 유학의 근본정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장구보유』(1권)와 『속대학혹문』(1권)은 주희『대학장구』『대학혹문』의 범위를 넘어서려는 그의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그는 뒤따르는 도학자들보다 훨씬 자율적인 학문태도를 가졌다. 곧, 주희『대학장구』에서 제시한 체계를 개편하였다.

특히, 주희가 역점을 두었던 격물치지보망장(格物致知補亡章)을 그는 인정하지 않고, 『대학장구』의 경1장에 들어 있는 두 구절을 격물치지장으로 옮기는 계획을 하였으며, 이런 개편에 대해서 주희가 다시 나오더라도 이것을 따를 것이라는 확신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주희의 한 글자 한 구절을 금과옥조로 삼아 존숭하는 후기의 학문태도에 비하여 매우 창의적인 학문정신을 보여준다.

『중용구경연의』(29권)는 그의 미완성 절필이다.

이 저술도 주희『중용장구』『중용혹문』의 체계를 훨씬 벗어나서 천하국가를 통치하는 방법의 9경(九經: 修身‧尊賢‧親親‧敬大臣‧體群臣‧子庶民‧來百工‧柔遠人‧懷諸侯)을 중심으로 중용정신을 밝히려는 독창적인 저술이다.

이 저술은 진덕수(眞德秀)『대학연의』가 대학체계를 통치원리의 구체적 실현방법에 응용하였던 것에 상응한 저술이요, 뒷날 이현일(李玄逸)『홍범연의(洪範衍義)』를 저술한 것에 선행한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주희『대학』『중용』을 표출시킨 의도를 계승하면서도 『대학』『중용』의 정신을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의 양면으로 파악함으로써 도학의 통치원리를 선명하게 제시하는 창의적 견해를 가졌다고 하겠다.

『봉선잡의』(2권)는 도학의 실천적 규범인 예서를 제시한 것으로서 조선조 후기 예학파의 선구가 되고 있다.

주희『가례(家禮)』조선조 사회에 미친 영향을 주목한다면, 이언적의 예학저술은 그의 학문적 관심이 얼마나 광범하였던가를 보게 한다. 그가 임금에게 올렸던 상소문으로서 「일강십목소」와 「진수팔규(進修八規)」는 군주사회의 통치원리를 제시한 것이다.

하늘의 도리, 곧 천도에 순응하고 백성의 마음, 곧 인심을 바로잡으며 나라의 근본을 배양하여야 한다는 왕도정치의 기본이념을 추구하였으며, 도학적 경세론의 압축된 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일강십목소」에서 근본의 일강령은 ‘임금의 마음씀(人主之心術)’으로 규정하고, 10조목으로는 가정법도의 엄숙, 국가근본의 배양, 조정기강의 정대, 인재취사의 신중, 하늘도리에 순응, 언로를 넓힘, 사치욕심의 경계, 군자의 길을 닦음, 일의 기미를 살핌을 도모하도록 요구하고, 27세에 지은 「오잠(五箴)」에서도 하늘을 두려워함(畏天), 마음을 배양함(養心), 공경하는 마음(敬心), 허물을 고침(改過), 의지를 독실하게 함(篤志)을 들고 있다.

그는 하늘(天道‧天心)과 백성(人心)에 순응하며, 마음을 다스리는 수양(養心‧敬心)에 힘쓸 것을 중요시하는 도학적 수양론을 경세의 근본으로 삼고 있다. 그는 조선조 도학의 학문과 실천에 모범이 되는 우뚝한 봉우리였다.

1610년(광해군 2) 문묘에 종사되었고, 경주옥산서원(玉山書院) 등에 배향되고 있다. 시호는 문원(文元)이다.

[참고문헌]

晦齋集
李彦迪의 철학사상(劉明鍾, 韓國哲學硏究 중권, 1978)
李彦迪의 哲學思想(柳正東, 韓國哲學史 중권, 1978)
李晦齋의 학문과 그 영향(李丙燾, 韓國儒學史, 亞細亞文化社, 1987)

[집필자]

김장태(琴章泰)

성명 : "이언적(李彦迪)"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在高陽禧陵西岡行狀李彦迪撰誌文申光漢撰又有表石
國朝編年v07庚寅二十五年八月貞顯王后尹氏薨祔葬于宣陵○冬司諫朴紹左遷爲司成以密陽府使李彦迪爲司諫時金安老久在屛黜陰圖復入之計或往說安老曰何不以調停己卯人之意交歡兩沈乎兩沈彦慶彦光兄弟然則權勢
國朝編年v08垂簾古也今則不可不設令政院備其儀何如○當擧垂簾之儀百官會議賓廳尹仁鏡曰今有大王大妃王大妃何殿當聽政乎李彦迪曰昔宋哲宗時太皇太后同聽政自有右例安有嫂叔同御殿之理乎由是朝無他議○文定王后垂簾同聽政議定垂簾儀上亦
國朝編年v09東皐集補遺○許天使又問東方亦有能知孔孟心學箕子疇數者退溪錄示高麗禹倬鄭夢周本朝尹祥金宏弼鄭汝昌趙光祖李彦迪徐敬德等○退溪又論佔齋金宗直非學問底人終身事業只在詞章之上又曰寒暄堂金宏弼之學踐履雖篤而於學問工夫恐
國朝編年v09交章請行呂氏鄕約累啓乃允○李珥請以未出身人通臺諫之路議大臣乃允之○館學儒生上疏請以金宏弼鄭汝昌趙光祖李彦迪李滉五賢從祀答曰公論久然後乃定不可輕擧且尊五賢莫如尊其學也○館學儒生上疏請撤淨業院上手書答曰治隆俗美
國朝編年v16方永慶係獄也不但心甚惜之爲遣其子再三致問其欲生之心終始可見云云○兩司啓曰高敬履上疏只擧四賢之名則削去李彦迪而繼之以成渾悖妄甚矣請色承旨推考若不斥絶以正士趣則魑魅妖蘖之徒接跡而起永樂年間饒州人上書斥濂閩諸賢焚
國朝編年v17充保吏緣爲㚥未有紀極○特許兩司及館學疏請從祀文敬公金宏弼寒暄堂文獻公鄭汝昌一蠧文正公趙先祖靜菴文元公李彦迪晦齋文純公李滉退溪五賢于文廟○別試取權得已等三十三人○九月親釋尊于先聖取金誾等九人○冬別試取辛光業等
國朝編年v19鄭仁弘以蛇蝎之性鬼蜮之心始雖逃名於林下特一豪强品官中焉託跡於義兵惟事武斷鄕曲收聚頑鈍之徒私倡怪鬼之學李彦迪李滉東方大賢而因憾疏斥不有餘力鄭蘊李大期直言被罪而從而下石略不伸救士心咸憤門徒皆叛與賊魁爾瞻表裏聲勢
國朝編年v20功斯文者例得從食於西廡其在我東於羅則有若崔致遠薛聰於麗則有若安裕鄭夢周於本朝則有若金宏弼鄭汝昌趙光祖李彦迪李滉等五儒臣皆其人當明寧之際繼李滉而作爲儒林所宗者有二人焉文成公臣李珥文簡公臣成渾是已又曰癸未年間李
國朝彙鑑v1時新經己卯諸臺無一人應者於是元衡知公議不協乃與其黨求對面陳大王大妃與上御忠順堂召大臣卿宰問之權橃力爭李彦迪涕泣請貸其餘多依違大妃遂命竄灌等三人賜死餘悉親鞫或死或竄或錮仍冊衛社勲元衡等爲首復罷薦擧法
國朝彙鑑v1事而非對馬島主所知墾辭乞赦事下政府議右參贊申光漢力請因其自新許以講和以繫蠻夷輕躁之心諸大臣議各不一獨李彦迪以光漢言爲是尹仁鏡等請上裁斷遂寢其命至是始定約條
斷爛v1五日前參判李喜朝疏臣伏聞明廟宣廟兩大王於大喪卒哭前亦頻御經筵殿下於今日雖不能備禮開筵引接儒臣講以李彦迪書則必當大有所補於緝熙光明之學答曰卿懇有懷所陳言甚切至可不體念焉卿其勿辭上來○持平洪鉉輔疏禁中直宿何
東國歷代總目v02癸丑前右贊成李彦迪卒○彦迪字復古號晦齋慶州人中宗朝登第爲諫官力斥金安老被劾罷歸安老敗死復召用及尹任等獄事作彦迪抗辭力救
東國歷代總目v02戊辰元年皇明穆宗隆慶二年命儒臣柳希春等撰儒先錄○上以高麗鄭夢周始倡絶學本朝金宏弼鄭汝昌趙光祖李彦迪等相繼而起發揮經傳有功於斯文乃命希春等撰次其言行名曰儒先錄
東國歷代總目v02己酉元年皇明神宗萬曆三十七年殺臨海君珒光海惡其逼己誣以謀逆殺之○庚戌以金宏弼鄭汝昌趙光祖李彦迪李滉從祀文廟從太學疏請也○壬子殺詩人權韠○時宮戚柳希奮等預政專恣韠賦詩有宮柳靑靑鶯亂飛之句光海聞之以
野乘v1無擇㐲誅是爲三㐫三公尹殷輔權傳洪彦弼䓁以安老㐲誅宗社幾危而安請告庙陳賀憲官梁淵以下論賞有差放還李彦迪任權放光弼拜領事
紫橋小藏v1弟建儲輒封太弟而我朝太宗討平鄭道傳之後封爲世子太宗推位於定宗而太宗世子之號仍舊不改先正臣李彦迪當仁宗違豫之日明宗方爲大君而有封爲世弟以定國本之議先賢定論如此延礽君位號似當爲王世弟云判樞金宇
紫橋小藏v1之正大光明者也彼鳳輝反以爲卒遽忙急不成貌樣者抑又何哉在昔漢文元年有司請預建太子我仁宗初服先正臣李彦迪首發建世弟之議從古國家之建儲不容少緩如此鳳輝乃曰卽祚元年猝然有此擧其故何哉云而范鎭十九上章鬚髮爲
歷代帝王紀年v01文元公李彦迪
歷代帝王紀年v01晦齋李彦迪中廟命加彦字云云字子復號云云其先呂驪州人遷慶州二十三中生員二十四登第位至右贊成公天姿近道以繼往開來爲
國朝捷錄v01七十五人戊戌命盧思愼撰輿地勝覽命徐㞐正撰東國通鑑壬午刑判金宗直卒號佔畢齋○壬寅靜庵趙光祖生○辛亥晦庵李彦迪
國朝捷錄v01堂李滉退溪沈鎬洪奉世當在己卯景霖孫判決事李德應注書朴光佑熙顯八代祖應敎郭瑜敬齋司諫鄭希登掌令李霖羅湜李彦迪晦齋許磁見湖林亨秀湖堂盧守愼見相柳希春眉庵丁熿宋希奎天章倻溪執義白仁傑李彦忱掌令閔起文湖堂黃博李震李
國朝捷錄v01明宗大王室領議政忠惠公葆庵沈連源左贊成文元公晦齋李彦迪
郯述v03李彦迪議以營救逆賊削名
文獻攷略v1位至尊所壓無嫌於世子之稱而然耶歷代皆封爲太弟今此名號以世弟爲定似宜命議大臣領相金昌集左相李健命議先正李彦迪當仁宗違豫之日明宗方爲大君而有封爲世弟之議今此位號似當定爲王世弟從之文獻備考
重訂南漢志v1西廡文昌公崔致遠文忠公鄭夢周文獻公鄭汝昌文元公李彦迪文成公李珥文元公金長生文正公宋浚吉在南北向西上
韓史綮v1城判尹金安國薦徐敬德刑曹判書柳仁淑薦成守琛趙晟刑曹參判金正國薦禹成勛兵曹判書柳灌薦辛百齡大司成李彦迪薦金就曹植知中樞府事權撥薦琴軸大司憲南孝義薦鄭弘翼戶曹參判張籍薦金大有乃令吏曹量才授官
韓史綮v1九月命削左贊成李彦迪官爵初彦迪於尹任之獄欲救士流從容依違於尹元衡李芑之間于是元衡等知彦迪異已怒而讒之○時檢閱安
韓史綮v1任餘黨所爲使領議政尹仁鏡及李芑等曰王將尹任獄覆獻於是宋麟壽李若氷林亨秀中宗子鳳城君岏等賜死李彦迪盧守愼柳希春權撥白仁傑等竄流有差○以林百齡爲右議政方百齡之構尹任也其兄億齡恥之棄官歸鄕
韓史綮v1癸丑八年明世宗嘉靖三十二年秋七月文定王后撤簾○冬十一月前左贊成李彦迪卒于江界竄所彦迪嶺南人事親孝精於經學爲一時師表
韓史綮v1乙卯十年明世宗嘉靖三十四年禮安人李滉遂於理學始登第爲校理與李彦迪上疏言時事頗有希世意旣而大獄屢興兄淸洪觀察使瀣非辜竄死滉自是慨然有退藏意春正月引病辭兵曹參議而去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