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언적(李彦迪)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5B8C801B1491X0
초명(初名)이적(李迪)
자(字)복고(復古)
호(號)자계옹(紫溪翁)
시호(諡號)문원(文元)
생년1491(성종 22)
졸년1553(명종 8)
시대조선전기
본관여주(驪州)
활동분야학자 > 성리학자
이번(李蕃)
경주손씨(慶州孫氏)
조부이수회(李壽會)
외조부손소(孫昭)
저서『구인록(求仁錄)』
저서『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저서『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
저서『봉선잡의(奉先雜儀)』

[상세내용]

이언적(李彦迪)
1491년(성종 22)∼1553년(명종 8).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자계옹(紫溪翁).

참군 이수회(李壽會)의 손자로, 생원 이번(李蕃)의 아들이며, 모친은 경주손씨(慶州孫氏)계천군(鷄川君) 손소(孫昭)의 딸이다. 초명은 적(迪)이었으나 중종의 명으로 언(彦)자를 더하였다.
1. 관직
2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이조정랑사헌부장령밀양부사를 거쳐 1530년(중종 25) 사간이 되었다.

이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관직에서 쫓겨나 경주자옥산에 들어가서 성리학연구에 전념하였다.

1537년 김안로 일당이 몰락한 뒤에 종부시첨정으로 불려나와 홍문관교리응교직제학이 되었고, 전주부윤에 나가 선정을 베풀어서 송덕비가 세워졌다.

이때 조정에 「일강십목소(一綱十目疏)」를 올려 정치의 도리를 논하였다. 이조예조형조판서를 거쳐 1545년(명종 즉위)에 좌찬성이 되었다.

이때 윤원형(尹元衡) 등이 선비를 축출하는 을사사화를 일으켰을 때 추관(推官)이 되어 선비들을 심문하는 일을 맡았지만 자신도 관직에서 물러났다.

1547년 윤원형 일당이 조작한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무고하게 연루되어 강계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많은 저술을 남겼으나 63세로 죽었다.
2. 학문
이언적조선조 유학, 곧 성리학의 정립에 선구적인 인물로서 유학의 방향과 성격을 밝히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그것은 주희(朱熹)의 주리론적 입장을 정통으로 확립하는 것이다.

그는 스승으로부터 뚜렷하게 계승받은 것이 아니요 독자적으로 학문을 수립하였다. 다만 그의 호를 ‘회재’라 한 것은 회암(晦菴: 주희의 호)의 학문을 따른다는 견해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27세 때 당시 영남 지방의 선배학자인 손숙돈(孫叔暾)조한보(曺漢輔)사이에 토론되었던 성리학의 기본쟁점인 무극태극논쟁(無極太極論爭)에 뛰어들어 주희의 주리론적 견해에서 손숙돈조한보의 견해를 모두 비판하여 자신의 학문적 견해를 밝혔다.

물론, 이언적은 이 논쟁에서 이기론(理氣論)의 주리론적 견해로서 이선기후설(理先氣後說)과 이기불상잡설(理氣不相雜說)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우위설(理優位說)의 견해는 이황(李滉)에게로 계승되는 영남학파의 성리설에 선구가 된다. 그가 여기에서 벌인 태극의 개념에 관한 논쟁은 조선조 성리학사에서 최초의 본격적인 개념논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사화가 거듭되는 사림의 시련기에 살았던 선비로서 을사사화 때는 그 자신이 좌찬성판의금부사의 중요한 직책으로 사림과 권력층 간신 사이에서 억울한 사림의 희생을 막으려고 노력하다가 마침내 자신이 사화의 희생물이 되고 말았다.

이이(李珥)는 그가 을사사화에 곧은 말로 항거하여 절개를 지키지 못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그는 불의와 타협하지 않으면서도 온건한 해결책을 추구하였던 인물이다.
3. 저술
그는 만년에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큰 업적이 되는 중요한 저술들을 여럿 남겼다. 곧, 『구인록(求仁錄)』 (1550)‧『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 (1549)‧『중용구경연의(中庸九經衍義)』 (1553)‧『봉선잡의(奉先雜儀)』 (1550) 등이다. 『구인록』(4권)은 유교경전의 핵심개념으로서 인(仁)에 대한 그의 집중적인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유교의 여러 경전과 송대 도학자들의 설에 인의 본체와 실현방법에 관한 유학의 근본정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장구보유』(1권)와 『속대학혹문』(1권)은 주희『대학장구』『대학혹문』의 범위를 넘어서려는 그의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제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그는 뒤따르는 도학자들보다 훨씬 자율적인 학문태도를 가졌다. 곧, 주희『대학장구』에서 제시한 체계를 개편하였다.

특히, 주희가 역점을 두었던 격물치지보망장(格物致知補亡章)을 그는 인정하지 않고, 『대학장구』의 경1장에 들어 있는 두 구절을 격물치지장으로 옮기는 계획을 하였으며, 이런 개편에 대해서 주희가 다시 나오더라도 이것을 따를 것이라는 확신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주희의 한 글자 한 구절을 금과옥조로 삼아 존숭하는 후기의 학문태도에 비하여 매우 창의적인 학문정신을 보여준다.

『중용구경연의』(29권)는 그의 미완성 절필이다.

이 저술도 주희『중용장구』『중용혹문』의 체계를 훨씬 벗어나서 천하국가를 통치하는 방법의 9경(九經: 修身‧尊賢‧親親‧敬大臣‧體群臣‧子庶民‧來百工‧柔遠人‧懷諸侯)을 중심으로 중용정신을 밝히려는 독창적인 저술이다.

이 저술은 진덕수(眞德秀)『대학연의』가 대학체계를 통치원리의 구체적 실현방법에 응용하였던 것에 상응한 저술이요, 뒷날 이현일(李玄逸)『홍범연의(洪範衍義)』를 저술한 것에 선행한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주희『대학』『중용』을 표출시킨 의도를 계승하면서도 『대학』『중용』의 정신을 수기(修己)와 치인(治人)의 양면으로 파악함으로써 도학의 통치원리를 선명하게 제시하는 창의적 견해를 가졌다고 하겠다.

『봉선잡의』(2권)는 도학의 실천적 규범인 예서를 제시한 것으로서 조선조 후기 예학파의 선구가 되고 있다.

주희『가례(家禮)』조선조 사회에 미친 영향을 주목한다면, 이언적의 예학저술은 그의 학문적 관심이 얼마나 광범하였던가를 보게 한다. 그가 임금에게 올렸던 상소문으로서 「일강십목소」와 「진수팔규(進修八規)」는 군주사회의 통치원리를 제시한 것이다.

하늘의 도리, 곧 천도에 순응하고 백성의 마음, 곧 인심을 바로잡으며 나라의 근본을 배양하여야 한다는 왕도정치의 기본이념을 추구하였으며, 도학적 경세론의 압축된 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일강십목소」에서 근본의 일강령은 ‘임금의 마음씀(人主之心術)’으로 규정하고, 10조목으로는 가정법도의 엄숙, 국가근본의 배양, 조정기강의 정대, 인재취사의 신중, 하늘도리에 순응, 언로를 넓힘, 사치욕심의 경계, 군자의 길을 닦음, 일의 기미를 살핌을 도모하도록 요구하고, 27세에 지은 「오잠(五箴)」에서도 하늘을 두려워함(畏天), 마음을 배양함(養心), 공경하는 마음(敬心), 허물을 고침(改過), 의지를 독실하게 함(篤志)을 들고 있다.

그는 하늘(天道‧天心)과 백성(人心)에 순응하며, 마음을 다스리는 수양(養心‧敬心)에 힘쓸 것을 중요시하는 도학적 수양론을 경세의 근본으로 삼고 있다. 그는 조선조 도학의 학문과 실천에 모범이 되는 우뚝한 봉우리였다.

1610년(광해군 2) 문묘에 종사되었고, 경주옥산서원(玉山書院) 등에 배향되고 있다. 시호는 문원(文元)이다.

[참고문헌]

晦齋集
李彦迪의 철학사상(劉明鍾, 韓國哲學硏究 중권, 1978)
李彦迪의 哲學思想(柳正東, 韓國哲學史 중권, 1978)
李晦齋의 학문과 그 영향(李丙燾, 韓國儒學史, 亞細亞文化社, 1987)

[집필자]

김장태(琴章泰)

성명 : "이언적(李彥迪)"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0言蔡無擇安老妻黨倡言東宫孤單必用安老為羽翼時王妃尹氏主壼已有両間飛語大司憲沈彥光隨聲和附舉朝靡然司諫李彥迪言不可曰安
紀年便攷v10選觀察使宋欽左通禮尹翼郡守鄭淵檢評李彥迪主薄鄭梅臣仍 命各加一資也
紀年便攷v10四年嘉靖十八年命僉知崔世珍特加一階進儒賢奏議皇極經世書說故有是命○上率世子幸太學與儒生講論○全州府尹李彥迪上䟽命特加一資尋召為兵曺參判其目有十一日嚴家政二日養國本三日正朝廷四日慎用舍五日順天道六日正人心七日
紀年便攷v10辛丑三十六年嘉靖二十年副提學李彥迪直提學李浚慶應教柳辰仝抆理權轍李滉䓁上一綱九目䟽上嘉納○命釜山僉使以武臣擇差先是釜山有接待倭人檢察京
紀年便攷v10院以犯裕左右有序為儒生捿息之所始開基据地得銅器三百餘斤貿書而藏之勸課不怠士多興起東方書院始起於此○擢李彥迪為右參䝺○幸文廟謁先聖試士○右參䝺宋欽乞骸歸鄕上召見賜酒時年八十三全羅道監司宋麟壽為立耆英亭於其鄕以
紀年便攷v11禮參罷歸田里者十五年癸巳收叙一日內官拾得近思小冊上曰落自權撥命還之明宗即位乙巳疏救二柳灌仁淑語甚峻為李彥迪所刪改撥曰刪沒如此不如不為錄僞勲封吉昌君鄭順鵬以議論不同請削勲官止崇政右䝺成丙午奪告身丁未付䖏求禮移
紀年便攷v12從生再從孫成宗乙巳生字睿叟中生員歷禁都被將薦曾遊金正國門時小學新行於我東從愚因師命修整釋疑大被嘉賞與李彥迪李若氷奇遵爲道義交倭寇時安瑭薦子朝爲兵馬使有異績中宗癸巳卒年四十九曾孫百春生員倫子字榮卿宣祖壬辰大駕
紀年便攷v13李彥迪
紀年便攷v13李彥迪見中宗朝列傳
紀年便攷v13中宗辛卯生員丁酉登明經科時軰斥以光祖徒擯隷國子久後始授翰林明宗即位乙巳文定下密旨除三臣尹任柳灌柳仁淑李彥迪以院相亦不能救同僚皆退仁傑以獻納獨啓爭之鄭澈挽辭孤忠一代無雙士獻納三更獨啓人山嶽降精生此老歸天應復作
紀年便攷v13居于金海舊庄己卯士禍後不赴舉入智異山築室以居扁曰天山齋少時舉業見成守琛隐居北岳下欣然好之廢舉歸鄕云以李彥迪薦授齋即不就明宗朝連除主簿丹城司紙皆辭以疾承召引見翌日謝歸上䟽曰天意已失人心已離慈聖塞淵不過深宫之一
紀年便攷v13明經科歴三司官止司諫與成守琛為道義交見時事大去觧官歸雲門山以強項直躬之姿見義勇徃之心乙巳之禍竟隕其身李彥迪為權奸所迫為推官栲訊善類珣被刑仰見彥迪歎曰安知吾軰死於復古之乎也李延慶曰郭伯瑜其直如矢時有藝女待教
紀年便攷v14鳯城君岏宋麟壽李若海李彥迪鄭滋李熖林亨秀盧守慎丁熿柳希春金鸞祥權應挺權應昌鄭惟沉李天啓權勿李湛韓㴻安景祐權撥宋希奎白仁傑李彥忱
紀年便攷v21渚又存齋尹根壽門人三歲戲排棊子有易卦象八歲草疏論辨邪正宣祖壬寅登別試光海政亂以玉堂退居新昌鄭仁弘醜辱李彥迪李滉翼上箚辨之黜爲高山察訪廢毋論起棄官歸村墅與朴知誡權得已講論自娛以經術聞而學行俱篤仁祖反正首拜佐郞
紀年便攷v21務無不中窽人比之周公瑾時年二十四拜知中樞策扈聖功二等封錦溪君歷三道伯戶判參贊官止崇祿判義禁鄭仁弘疏誣李彥迪李滉東亮疏辨光海癸丑以先朝遺敎中七臣逮獄丙辰廢母論起立異配牙山辛酉宥還仁祖改玉復勳封有纖芥者追咎癸丑
國朝人物志v1須利器剸畋後豈無三窟兎會看一鶚上秋天沆喜東閣雜記沆論臺諫有趙光祖餘習請禁之掌令李彥迪劾曰鄭光弼攬沆言爲已意斥臺諫爲詭激排擯公論營救一人請策免光弼以杜禍漸廢出李沆以
國朝人物志v1人家貧手寫經傳以讀之就京師受業遭內艱奔喪千里哭泣之餘危坐看書當膝處衣袴盡穿辛卯中進士晦齋李彥迪宰本縣每衙罷命駕臨話家有竹林林有草亭常曰竹林主人飽喫麥飯筍羹常看聖賢書一生淸樂無過於此
國朝人物志v2卒年七十一宋圭菴麟壽鄭文翼光弼每稱曰公眞宰相才有死難不可奪之節公謫到碧蹄驛李彥迪配江界亦到公戲曰李貳相權貳相一行之行何赫赫也咫尺不相見而發行宣祖元年特贈
國朝人物志v2掌令鄭希登縣監柳貞修撰尹潔進士康惟善縣監李致以上杖殞左參贊權橃右贊成李彥迪翰林趙璞舍人李天啓臺諫權勿參判韓淑司成金振宗牧使鄭郁吏曹佐郞丁熿
國朝人物志v2乙巳元奸老死牖下追削勳爵踣其墓碑昭代紀年鄭順朋林百齡芑磁錄一等勳洪彥弼尹仁鏡李彥迪權橃丁玉亨申光漢尹漑閔齊仁金光準錄二等勳尹元衡宋麒壽宋世珩崔演李文楗李
國朝人物志v2時從輕而不依律故邪論如此此由禍根尙在耳且定罪之意作敎書諭中外何如鳳城君岏宋麟壽李若氷一罪李彥迪鄭滋李爓極邊安置林亨秀盧守愼丁熿柳希春金鸞祥絶島安置權應挺權應昌鄭惟沈
國朝人物志v2文學而所見流於禪學晦齋從游東儒師友錄孫叔暾號忘齋慶州人中進士晦齋李彥迪從游同上
國朝人物志v2眞樂堂善山人贈吏曹參判匡佐子少從松堂朴英學英亟稱曰君之才應不下古賢金正國李彥迪薦之四擬參奉皆不受以主靜涵養爲本孝友純至敎誨諸弟皆得成就常以醫藥活人無親疏告之以疾則便
國朝人物志v2字君瑞安東人受學於晦齋李彥迪癸丑文科官止正郞國朝榜目以文藝聞爲陜川郡守爲晦齋起書院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煕川人貌樸質厚發言諄諄斯乃西塞之秀晦齋李彥迪謫煕川時鉉受學晦齋沒鉉倡立兩祠爲績孔嘉官止訓導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執不應二憾竝搆遂出鎭滿浦癸亥國家更化召爲大司諫治其餘黨務從寬貸識者偉之按嶺南啓言先正臣李彥迪斥死遐荒本非先王之意乞依金宏弼故事特贈大官美諡乙亥有倭警按湖南巡到雲峯審視我
國朝人物志v2爲文章尤深於經術未成童以文學名年十七灘叟李延慶妻以女仍師事之二十選博士二十七見晦齋李彥迪請問存心之要文元公指掌曰有物於此握則破不握則亡守愼喜曰此忘助之異名也中宗三十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