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식(金湜)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C2DDFFFFB1482X0
자(字)노천(老泉)
호(號)동천(東泉)
호(號)정우당(淨友堂)
시호(諡號)문의(文毅)
생년1482(성종 13)
졸년1520(중종 15)
시대조선전기
본관청풍(淸風)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숙필(金叔弼)

[상세내용]

김식(金湜)
1482년(성종 13)∼1520년(중종 15). 조선 중종 때의 문신‧학자.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노천(老泉), 호는 사서(沙西)동천(東泉) 또는 정우당(淨友堂).

생원 김숙필(金叔弼)의 아들로 사림파의 대표적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서울에서 자랐으며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학문에 열중하여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었으나, 벼슬에는 관심이 없었고 성리학연구에만 몰두하였다.

그뒤, 정치적 분위기를 일신하려는 시대적 추이에 따라, 조광조(趙光祖)박훈(朴薰) 등과 함께 성균관이조판서 안당(安瑭)의 천거로 종6품직인 광흥창주부(廣興倉主簿)에 서용되었으며, 이어 형조좌랑호조좌랑지평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1519년 4월 조광조김정(金淨) 등 사림파의 건의로 실시된 현량과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당시 현량과의 천거명목에는 성품‧기국‧재능‧학식‧행실‧행적‧생활태도 또는 현실대응의식 등의 일곱가지가 있었는데, 급제자 28명 가운데 유일하게 이 7개 항목 모두를 완벽하게 평가받았다. 이는 당시 사림들로부터의 두터운 신뢰를 얻고 있었고, 또 중앙에 이미 진출해 있던 사림파 중에서도 조광조에 버금갈만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었음을 뜻한다.

그리하여 그는 급제자 발표 닷새 만에 성균관사성이 되었고, 며칠 후에는 홍문관직제학에 올랐는데, 그것은 현량과 실시일로부터 겨우 보름 사이의 일이었다.

그런데도 이조판서 신상(申鏛)우의정 안당은 이에 만족하지 못하여 대사성에 추천하였으나 중종은 이들의 주청을 물리치고 홍문관부제학에 임명하였다.

그러나 신상안당의 재차 상계(上啓)에 의해 마침내 대사성에 임명되었다. 그해 11월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절도안치(絶島安置)의 처벌이 내려졌으나, 영의정 정광필(鄭光弼) 등의 비호로 선산(善山)에 유배되었다.

뒤따라 일어난 신사무옥에 연좌되어 다시 절도로 이배된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거창에 숨었다가 「군신천재의(君臣千載義)」라는 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기묘사화 후에 현량과가 폐지되면서 그의 직첩과 홍패도 환수되었으나 명종 때 복관되었으며, 그뒤 선조 때에 이조참판을 거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그는 당시 사림의 영수로 숭앙받던 조광조와 학문적‧인간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러한 연결을 바탕으로 하여 그는 훈구세력 제거에 앞장섰을 뿐만 아니라 조광조와 함께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해 개혁정치를 폈는데, 그 내용으로는 미신타파, 향약 실시, 정국공신(靖國功臣)의 위훈삭제(僞勳削除) 등을 들 수 있다.

그의 문인으로는 신명인(申命仁)오희안(吳希顔)목세칭(睦世秤)김윤종(金胤宗)조경(趙瓊)홍순복(洪舜福)윤광일(尹光溢)이세명(李世銘)신영(申瑛)김덕수(金德秀) 등이 있다.

시호는 문의(文毅)이다. 양근(楊根)미원서원(迷原書院), 청풍황강서원(凰岡書院), 거창완계서원(浣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國朝人物考
海東名臣錄
己卯諸賢傳
東儒師友錄(朴世采)
朝鮮前期畿湖士林派硏究(李秉烋, 一潮閣, 1984)
賢良科硏究―士類의 進退 및 그 背景과 관련하여―(李秉烋, 啓明大學 1, 1967)
The Recommendation Examination of 1519―It’s Place in Early Yi Dynasty History―(Wagner, E. W., 朝鮮學報 15, 1960)

[집필자]

이병휴(李秉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