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기(李芑)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AE30FFFFB1476X0
자(字)문중(文仲)
호(號)경재(敬齋)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476(성종 7)
졸년1552(명종 7)
시대조선전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의무(李宜茂)
공신호추성위사협찬홍제보익공신(推誠衛社協贊弘濟保翼功臣)

[상세내용]

이기(李芑)
1476년(성종 7)∼1552년(명종 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문중(文仲), 호는 경재(敬齋). 사간 이의무(李宜茂)의 아들이며, 좌의정 이행(李荇)의 형이다.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였으나 장인인 군수 김진(金震)이 장리(贓吏)였기 때문에 좋은 벼슬을 얻지 못하고, 종사관종성부사경원부사의주목사로 전전하였다.

그뒤에도 여러 차례 승진하였지만, 삼사를 비롯한 청요의 직책이나 6경 등 서경(署經)을 필요로 하는 지위에는 나아가지 못하였다.

1522년(중종 17) 공조참의를 지내고, 이어서 함경도병마절도사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으며, 1527년 한성부우윤이 되어 성절사(聖節使)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경상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치면서 민정과 국방에 이바지하였다.

1533년 공조참판에 오르고, 이어서 예조참판한성부판윤을 역임하고, 1539년 진하사(進賀使)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사이의 공로로 국왕이 병조판서에 임명하려 하였으나, 이조판서 유관(柳灌)이 장리의 사위로서 서경을 받을 수 없다고 반대하였다. 이로 인하여 유관은 뒤에 보복을 당하였다. 국왕의 신임과 이언적(李彦迪)의 주장으로 형조판서가 되고, 이어서 병조판서로 발탁되었다.

1543년 의정부우찬성에 이어서 좌찬성우의정에 올랐다.

그러나 인종이 즉위하여 대윤 일파가 득세하자 윤임(尹任) 등에 의하여 부적합하다고 탄핵받아 판중추부사병조판서로 강등되었다. 이에 원한을 품고 있던 중 명종이 즉위하여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수렴첨정을 하자 윤원형(尹元衡)과 손을 잡고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유관 등을 제거하고, 추성위사협찬홍제보익공신(推誠衛社協贊弘濟保翼功臣) 1등에 책록되고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가 되면서 병조판서를 겸하여 조정의 대권을 장악하였으며 풍성부원군(豊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어 좌의정이 되고, 1549년(명종 4) 영의정에 올랐다. 그를 반대한 사림은 거의 모두 숙청되었다. 그가 죽자 문경(文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나 그가 받은 훈록은 선조 초년에 모두 삭탈되었다. 그를 추천한 이언적도 사람됨이 흉험하다고 하여 훈록을 삭탈하고 멀리 귀양보냈다.

당시 세상에서는 윤원형이기를 2흉(凶)이라 하고, 정순붕(鄭順朋)임백령(林百齡)정언각(鄭彦慤)을 3간(奸)이라 불렀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仁宗實錄
明宗實錄
朝野輯要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최완기(崔完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