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연산군(燕山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F0C0B0AD70B1476X0
이명(異名)이융(李㦕)
생년1476(성종 7)
졸년1506(중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조모인수대비(仁粹大妃)
외조부윤기무(尹起畝)
묘소양주군 해등촌(海等村: 지금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상세내용]

연산군(燕山君)
1476년(성종 7)∼1506년(중종 1).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5년∼1506년. 전주이씨(全州李氏). 휘는 이융(李㦕), 성종의 아들이며, 모친은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윤기무(尹起畝 또는 尹起畎)의 딸로 폐비윤씨이다.
1. 가계
성종에게는 정실 소생으로 뒤에 11대왕이 된 중종이 있었으나, 1483년(성종 14) 연산군이 세자로 책봉될 때에 중종은 아직 태어나기 전이라 그의 무도함을 알면서도 그냥 세자로 삼았다 한다.

그리하여 1494년 12월에 성종의 승하와 함께 왕위에 올랐는데, 재위 12년 동안 너무도 무도한 짓을 많이 하였으므로 폐위, 교동(喬桐)에 안치되어 있다가 그해 11월에 죽었다.
2. 폐정
15대 광해군과 함께 조선시대 두 사람의 폐주(廢主) 가운데 한 사람이며, 따라서 『선원계보(璿源系譜)』에도 묘호와 능호없이 일개 왕자의 신분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재위기간의 실록 역시 『연산군일기』로 통칭된다.

실록 첫머리에 있는 사평(史評)도 그의 일기에서는 “......만년에는 더욱 황음하고 패악(悖惡)한 나머지 학살을 마음대로 하고, 대신들도 많이 죽여서 대간과 시종 가운데 남아난 사람이 없었다. 심지어는 포락(炮烙: 단근질 하기)‧착흉(斮胸: 가슴 빠개기)‧촌참(寸斬: 토막토막 자르기)‧쇄골표풍(碎骨瓢風: 뼈를 갈아 바람에 날리기) 등의 형벌까지 있어서......” 운운하는 말로 되어 있을 만큼 그는 조선조의 대표적인 폭군이었다.

같은 폐주라 하더라도 광해군에 대해서는 사고(史庫)의 정비라든가 성지(城池)‧병고(兵庫)의 수리, 또는 대륙정책에 있어서의 현명하였던 외교정책 등을 들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수도 있지만, 연산군은 이러한 긍정적 요소가 하나도 없는 사람이기도 하다.

왜인과 야인의 입구(入寇)를 의식한 끝에 비융사(備戎司)를 두어 병기를 만들게 하였다든가, 또는 변경지방에로의 사민(徙民)의 독려, 기타 『국조보감(國朝寶鑑)』『여지승람(輿地勝覽)』 등의 수정 등 치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은 무도하기 이를 데 없던 폐정(弊政)에 비긴다면 보잘 것 없는 일인 것이다.
3. 사화
그런데 즉위초에는 아직 전조(前朝)의 치평 기운이 남아 있고 또 인재와 사림이 성한 가운데 어느 정도의 질서는 유지되고 있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4년째부터는 드디어 패악한 본성이 나타나기 시작, 5∼6년 동안에 두 차례나 큰 옥사를 일으켜 많은 사류(士類)를 희생시키는 참극을 벌였다.

1498년(연산군 4)의 무오사화와 1504년의 갑자사화가 그것이다. 이 두 사화는 물론 당대 정계의 난맥상 속에서 생겨났던 것이기도 하지만, 여기에는 또한 연산군 개인의 성품이 많이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에도 문제는 있었다.

무오사화는 『성종실록』 편찬 때 그 사초 중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견됨으로써, 이에 관련되었던 사림학자들이 많이 참화를 당하였던 사건이다.

그러나 이때 그렇게 많은 사류들을 희생시키게 되었던 것은, 본래 학자들을 싫어하는 연산군의 성품을 이극돈(李克墩) 등 훈구 재상들이 교묘히 이용, 그들의 정쟁에 이용하였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갑자사화도 결국은 연산군의 사치와 향략 때문에 그토록 큰 옥사가 벌어졌던 것이라는 측면이 더 큰 비중을 가진다.

즉, 그의 방탕한 생활에서 오는 재정난을 메우기 위하여 훈구 재상들의 토지를 몰수하려는 기미가 보이자, 그들은 왕의 이러한 횡포를 억제하려 하였고, 그리하여 여기에 또 한번의 사화가 벌어졌던 것이다.

그리고 이 사화의 직접적인 구실은 물론 생모 윤씨의 폐비사건으로 소급이 되지만, 이 역시 그의 포학한 성품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어쨌든 이 두 사화의 양상은 모두가 참혹을 극했던 것으로서, 김종직의 경우는 부관참시(剖棺斬屍)하였고, 폐비 당시의 두 숙의(淑儀)는 타살을 하였으며, 할머니인 인수대비(仁粹大妃)도 구타, 치사하게 하였고, 기타 윤필상(尹弼商)김굉필(金宏弼) 등의 사형을 필두로, 한명회(韓明澮)정여창(鄭汝昌)도 모두 부관참시를 당하는 등, 패륜과 무도함을 극한 사건이었던 것이다.
4. 폐정의 원인
학자에 따라서는 그가 그토록 광포하고 난잡스런 성품을 가지게 된 동기를 주로 생모를 잃었던 사실에서 찾으려는 경향도 없지는 않다.

그러나 비교적 체통을 유지하고 있는 실록 『연산군일기』에서도, 그는 원래 시기심이 많고 모진 성품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 자질이 총명하지 못한 위인이어서 문리(文理)에 어둡고 사무능력도 없던 사람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리하여 당시의 정계와 연산군과의 사이에는 부지불식간에 갈등이 일어났고, 여기서 그는 문신들의 직간(直諫)을 귀찮게 여긴 끝에 경연과 사간원홍문관 등을 없애버리고, 정언 등의 언관도 혁파 또는 감원을 하였으며, 기타 온갖 상소와 상언‧격고 등 여론과 관련되는 제도들도 모두 중단시켜버렸다.

당시로서는 가장 패륜스러운 일로 생각되던, 이른바 ‘이일역월제(以日易月制)’라는 단상제(短喪制)를 단행한 일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성균관‧원각사 등을 주색장으로 만들고, 선종(禪宗)의 본산인 흥천사(興天寺)도 마굿간으로 바꾸며, 민간의 국문투서사건을 계기로 한글의 사용을 엄금한 일이 있고, 기타 이러한 조치들과 관련되었던 이야기들이 무수히 많다.
5. 중종반정
어쨌든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민심은 소란해지기 시작했고, 마침내 1506년(연산군 12) 9월 성희안(成希顔)박원종(朴元宗)유순정(柳順汀) 등의 주동으로 연산군폐출운동이 일어남과 함께 성종의 둘째아들 진성대군(晉城大君)이 옹립되니 이것이 곧 중종반정이었다.

묘는 양주군 해등촌(海等村: 지금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데, ‘연산군지묘’라는 석물 이외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璿源系譜記略
燕山朝の二大禍獄(瀨野馬態, 靑丘學叢 3, 1931)
朝鮮成宗時代の新舊對立(申奭鎬, 近代朝鮮史硏究, 朝鮮史編修會, 1944)

[집필자]

정글호(鄭글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