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연산군(燕山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F0C0B0AD70B1476X0
이명(異名)이융(李㦕)
생년1476(성종 7)
졸년1506(중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조모인수대비(仁粹大妃)
외조부윤기무(尹起畝)
묘소양주군 해등촌(海等村: 지금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상세내용]

연산군(燕山君)
1476년(성종 7)∼1506년(중종 1).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5년∼1506년. 전주이씨(全州李氏). 휘는 이융(李㦕), 성종의 아들이며, 모친은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윤기무(尹起畝 또는 尹起畎)의 딸로 폐비윤씨이다.
1. 가계
성종에게는 정실 소생으로 뒤에 11대왕이 된 중종이 있었으나, 1483년(성종 14) 연산군이 세자로 책봉될 때에 중종은 아직 태어나기 전이라 그의 무도함을 알면서도 그냥 세자로 삼았다 한다.

그리하여 1494년 12월에 성종의 승하와 함께 왕위에 올랐는데, 재위 12년 동안 너무도 무도한 짓을 많이 하였으므로 폐위, 교동(喬桐)에 안치되어 있다가 그해 11월에 죽었다.
2. 폐정
15대 광해군과 함께 조선시대 두 사람의 폐주(廢主) 가운데 한 사람이며, 따라서 『선원계보(璿源系譜)』에도 묘호와 능호없이 일개 왕자의 신분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재위기간의 실록 역시 『연산군일기』로 통칭된다.

실록 첫머리에 있는 사평(史評)도 그의 일기에서는 “......만년에는 더욱 황음하고 패악(悖惡)한 나머지 학살을 마음대로 하고, 대신들도 많이 죽여서 대간과 시종 가운데 남아난 사람이 없었다. 심지어는 포락(炮烙: 단근질 하기)‧착흉(斮胸: 가슴 빠개기)‧촌참(寸斬: 토막토막 자르기)‧쇄골표풍(碎骨瓢風: 뼈를 갈아 바람에 날리기) 등의 형벌까지 있어서......” 운운하는 말로 되어 있을 만큼 그는 조선조의 대표적인 폭군이었다.

같은 폐주라 하더라도 광해군에 대해서는 사고(史庫)의 정비라든가 성지(城池)‧병고(兵庫)의 수리, 또는 대륙정책에 있어서의 현명하였던 외교정책 등을 들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수도 있지만, 연산군은 이러한 긍정적 요소가 하나도 없는 사람이기도 하다.

왜인과 야인의 입구(入寇)를 의식한 끝에 비융사(備戎司)를 두어 병기를 만들게 하였다든가, 또는 변경지방에로의 사민(徙民)의 독려, 기타 『국조보감(國朝寶鑑)』『여지승람(輿地勝覽)』 등의 수정 등 치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은 무도하기 이를 데 없던 폐정(弊政)에 비긴다면 보잘 것 없는 일인 것이다.
3. 사화
그런데 즉위초에는 아직 전조(前朝)의 치평 기운이 남아 있고 또 인재와 사림이 성한 가운데 어느 정도의 질서는 유지되고 있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4년째부터는 드디어 패악한 본성이 나타나기 시작, 5∼6년 동안에 두 차례나 큰 옥사를 일으켜 많은 사류(士類)를 희생시키는 참극을 벌였다.

1498년(연산군 4)의 무오사화와 1504년의 갑자사화가 그것이다. 이 두 사화는 물론 당대 정계의 난맥상 속에서 생겨났던 것이기도 하지만, 여기에는 또한 연산군 개인의 성품이 많이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에도 문제는 있었다.

무오사화는 『성종실록』 편찬 때 그 사초 중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견됨으로써, 이에 관련되었던 사림학자들이 많이 참화를 당하였던 사건이다.

그러나 이때 그렇게 많은 사류들을 희생시키게 되었던 것은, 본래 학자들을 싫어하는 연산군의 성품을 이극돈(李克墩) 등 훈구 재상들이 교묘히 이용, 그들의 정쟁에 이용하였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갑자사화도 결국은 연산군의 사치와 향략 때문에 그토록 큰 옥사가 벌어졌던 것이라는 측면이 더 큰 비중을 가진다.

즉, 그의 방탕한 생활에서 오는 재정난을 메우기 위하여 훈구 재상들의 토지를 몰수하려는 기미가 보이자, 그들은 왕의 이러한 횡포를 억제하려 하였고, 그리하여 여기에 또 한번의 사화가 벌어졌던 것이다.

그리고 이 사화의 직접적인 구실은 물론 생모 윤씨의 폐비사건으로 소급이 되지만, 이 역시 그의 포학한 성품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어쨌든 이 두 사화의 양상은 모두가 참혹을 극했던 것으로서, 김종직의 경우는 부관참시(剖棺斬屍)하였고, 폐비 당시의 두 숙의(淑儀)는 타살을 하였으며, 할머니인 인수대비(仁粹大妃)도 구타, 치사하게 하였고, 기타 윤필상(尹弼商)김굉필(金宏弼) 등의 사형을 필두로, 한명회(韓明澮)정여창(鄭汝昌)도 모두 부관참시를 당하는 등, 패륜과 무도함을 극한 사건이었던 것이다.
4. 폐정의 원인
학자에 따라서는 그가 그토록 광포하고 난잡스런 성품을 가지게 된 동기를 주로 생모를 잃었던 사실에서 찾으려는 경향도 없지는 않다.

그러나 비교적 체통을 유지하고 있는 실록 『연산군일기』에서도, 그는 원래 시기심이 많고 모진 성품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 자질이 총명하지 못한 위인이어서 문리(文理)에 어둡고 사무능력도 없던 사람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리하여 당시의 정계와 연산군과의 사이에는 부지불식간에 갈등이 일어났고, 여기서 그는 문신들의 직간(直諫)을 귀찮게 여긴 끝에 경연과 사간원홍문관 등을 없애버리고, 정언 등의 언관도 혁파 또는 감원을 하였으며, 기타 온갖 상소와 상언‧격고 등 여론과 관련되는 제도들도 모두 중단시켜버렸다.

당시로서는 가장 패륜스러운 일로 생각되던, 이른바 ‘이일역월제(以日易月制)’라는 단상제(短喪制)를 단행한 일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성균관‧원각사 등을 주색장으로 만들고, 선종(禪宗)의 본산인 흥천사(興天寺)도 마굿간으로 바꾸며, 민간의 국문투서사건을 계기로 한글의 사용을 엄금한 일이 있고, 기타 이러한 조치들과 관련되었던 이야기들이 무수히 많다.
5. 중종반정
어쨌든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민심은 소란해지기 시작했고, 마침내 1506년(연산군 12) 9월 성희안(成希顔)박원종(朴元宗)유순정(柳順汀) 등의 주동으로 연산군폐출운동이 일어남과 함께 성종의 둘째아들 진성대군(晉城大君)이 옹립되니 이것이 곧 중종반정이었다.

묘는 양주군 해등촌(海等村: 지금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데, ‘연산군지묘’라는 석물 이외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璿源系譜記略
燕山朝の二大禍獄(瀨野馬態, 靑丘學叢 3, 1931)
朝鮮成宗時代の新舊對立(申奭鎬, 近代朝鮮史硏究, 朝鮮史編修會, 1944)

[집필자]

정글호(鄭글鎬)

왕명 : "연산군(燕山君)"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在廣州大母山神道碑卞季良撰又有行狀及碑陰記○燕山君丙辰定世室
國朝編年v05其穢惡異哉謏聞瑣錄○九月知中樞府事朴元宗吏曹判書柳順汀前參判成希顔等啓于慈順大妃奉晉城大君卽位主廢爲燕山君放于喬桐縣成希顔成廟朝擢弟以弘文正字父喪服關特召慰問仍賜鷹曰爾有老母公退獵雉以助供滋味希顔最承恩寵常
國朝編年v06與女壻孰親以探其意守勤遽曰世子英明只恃此耳姜默然遂行日慮其言之泄未及回還疽發背而卒東閣雜記○廢主降封燕山君安置喬桐縣移廢妃愼氏于貞淸宮出前王世子及昌寧大君誠仁陽平君敦壽于城外領議政柳洵等以誠仁敦壽等不宜久存
國朝編年v07耕種都司因我國移咨令湯站拿治其罪○是月東大門外安巖洞巖石有聲如雷仍卽自拆○韓山郡守李若上疏請爲魯山君燕山君立後且論王子嵋之死罪狀未明請示悔悟之意先是金安老搆罪朴氏及其子嵋竝賜死上召領議政尹殷輔等下示若疏仍傳
國朝彙鑑v1廢主時被誅予甚愍之其令贈爵其他節義孝廉令諸道啓聞以勵風敎誠謹亦以服成廟喪三年被禍於燕山甲子者也十一月燕山君卒初上聞燕山病劇命內醫救療及卒遣中使致襚禮官與本道監司監視斂葬用王子君禮葬于江華隨行侍女服喪三年朝夕
紀年便攷v1第十一世祖配享相臣文衡列傳睿宗紀事配享相臣文衡列傳第十二成宗紀事第十三成宗配享相臣文衡湖堂列傳第十四燕山君紀事相臣文衡湖堂列傳節臣第十五中宗紀事第十六中宗配享相臣文衡湖堂第十七中宗列傳一第十八中宗列傳二第十
紀年便攷v3庚寅八月二十二日昇遐誕一男一女 宣陵大王陵左岡艮坐嗣中宗大王一女愼淑公主以上 貞顯王后誕生○早卒一男燕山君㦕母廢妃尹氏○夫人居昌愼氏領議政承善女二男桂城君恂淑儀河氏出○娶原州元氏僉正贈賛成菑女三男安陽君㤚貴
紀年便攷v9判奉常寺事起畝女燕山君所生母也
紀年便攷v9燕山君
紀年便攷v9燕山君
紀年便攷v9尹氏之廢 上常以諺書書其罪遣中官及承旨逐日隔帳諷讀異其政過尹氏終不改竟賜死及燕山君即位盡殺其時承旨而蔡壽以不觧諺文獨免
紀年便攷v10小臣僚咸曰 宗社為重以晉城大君諱懌夙有仁德民心皆屬予惟廢昏立明古今之通義肆循羣情命晋城君卽大位廢王為燕山君民命將絶而復續宗社幾危而復安羣臣俯㐲聽命於是大君具冕
紀年便攷v10十一月燕山君卒後有是命
紀年便攷v10齋之設 國朝王室忌辰亦有循俗行之至是因檢討官趙光祖筵白命永罷之一遵 皇朝禮行忌祭於陵寢○致祭 魯山君燕山君墓上御經筵講官奇遵金硡微及燕山立後之意領府事鄭光弼亦諷之并及 魯山事上召羣臣議柳洵䓁皆以為難上曰 魯
紀年便攷v25行之○日本對馬島主平義成遣橘成正致書幣于禮曹及邊臣仍請賜祭于萬松院家康廟朝廷不許○遣承旨致祭于魯山君燕山君墓因副學金益煕陳白也○行良田于京畿左議政金俼上箚陳請也○削江原道觀察使閔光勳職時江陵府隕霜於六月而光
東國歷代總目v02廢王燕山君名㦕成宗大王長子在位十一年
震史記略v1母廢妃尹氏荊奉侍中事起畎女丙申以世子嗣位淫虛丙寅廢封燕山君放于橋桐卒壽三十一○夫人居昌愼氏領議政承善女生二男一女
羹墻錄v1不稱治之則傷恩不治則廢法其所以任用者豈所以保全哉請宗親勿許赴擧命議大臣從之國朝寶鑑中宗元年丙寅安置燕山君于喬桐亡何敎曰予於前王義則君臣情則兄弟今天氣漸寒其送衣裘食物及卒上進素膳三日遣中使致襚用王子君禮葬于
記聞v1燕山君母以罪廢爲庶人後賜死于其第燕山立追崇祔廟丙寅復廢
大東遺事v1昌恭讓王竝僞主二世凡三十四世共四百七十五年○本朝太祖定宗太宗世宗文宗端宗復位世祖反正德宗追崇睿宗成宗燕山君廢主中宗反正仁宗明宗宣祖光海君廢主元宗追崇仁祖反正孝宗顯宗肅宗景宗英宗眞宗追崇正宗
東藩大義v1燕山君二年
歷代帝王紀年v01生一男○一子漋燕山君弘治甲寅卽位淫虐甚正德丙寅九月初二日朴元宗成希顔柳順正等反正廢放于喬桐忝位十一年
國朝捷錄v01廢主燕山君名㦕成宗長子成化丙申生壽三十一弘治七年甲寅卽位正德元年丙寅癈降封燕山君放于喬桐在位十一年母淑儀尹氏起
文獻攷略v1燕山君在位十二年
國朝人物志v1母責之著止酒賦十年斷飮東儒師友言行錄每仰看白日歎曰人生也直人不可欺天可欺乎壬子卒年三十九燕山君甲子追罪昭陵疏禍及泉壤子忠世亦死叔父恢謪謫死鎭川中宗丙寅贈左承旨正
國朝人物志v2府使瓘子少尹保身曾孫甲戌進士文科歷湖堂官至吏曹參判國朝榜目兄孟獻字魯卿燕山君戊午生員文科判尹錄靖國功封長原君諡昭襄弟汝獻字獻之號柳村己巳進士文科郡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