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연산군(燕山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5F0C0B0AD70B1476X0
이명(異名)이융(李㦕)
생년1476(성종 7)
졸년1506(중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조모인수대비(仁粹大妃)
외조부윤기무(尹起畝)
묘소양주군 해등촌(海等村: 지금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상세내용]

연산군(燕山君)
1476년(성종 7)∼1506년(중종 1).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5년∼1506년. 전주이씨(全州李氏). 휘는 이융(李㦕), 성종의 아들이며, 모친은 판봉상시사(判奉常寺事) 윤기무(尹起畝 또는 尹起畎)의 딸로 폐비윤씨이다.
1. 가계
성종에게는 정실 소생으로 뒤에 11대왕이 된 중종이 있었으나, 1483년(성종 14) 연산군이 세자로 책봉될 때에 중종은 아직 태어나기 전이라 그의 무도함을 알면서도 그냥 세자로 삼았다 한다.

그리하여 1494년 12월에 성종의 승하와 함께 왕위에 올랐는데, 재위 12년 동안 너무도 무도한 짓을 많이 하였으므로 폐위, 교동(喬桐)에 안치되어 있다가 그해 11월에 죽었다.
2. 폐정
15대 광해군과 함께 조선시대 두 사람의 폐주(廢主) 가운데 한 사람이며, 따라서 『선원계보(璿源系譜)』에도 묘호와 능호없이 일개 왕자의 신분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재위기간의 실록 역시 『연산군일기』로 통칭된다.

실록 첫머리에 있는 사평(史評)도 그의 일기에서는 “......만년에는 더욱 황음하고 패악(悖惡)한 나머지 학살을 마음대로 하고, 대신들도 많이 죽여서 대간과 시종 가운데 남아난 사람이 없었다. 심지어는 포락(炮烙: 단근질 하기)‧착흉(斮胸: 가슴 빠개기)‧촌참(寸斬: 토막토막 자르기)‧쇄골표풍(碎骨瓢風: 뼈를 갈아 바람에 날리기) 등의 형벌까지 있어서......” 운운하는 말로 되어 있을 만큼 그는 조선조의 대표적인 폭군이었다.

같은 폐주라 하더라도 광해군에 대해서는 사고(史庫)의 정비라든가 성지(城池)‧병고(兵庫)의 수리, 또는 대륙정책에 있어서의 현명하였던 외교정책 등을 들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수도 있지만, 연산군은 이러한 긍정적 요소가 하나도 없는 사람이기도 하다.

왜인과 야인의 입구(入寇)를 의식한 끝에 비융사(備戎司)를 두어 병기를 만들게 하였다든가, 또는 변경지방에로의 사민(徙民)의 독려, 기타 『국조보감(國朝寶鑑)』『여지승람(輿地勝覽)』 등의 수정 등 치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은 무도하기 이를 데 없던 폐정(弊政)에 비긴다면 보잘 것 없는 일인 것이다.
3. 사화
그런데 즉위초에는 아직 전조(前朝)의 치평 기운이 남아 있고 또 인재와 사림이 성한 가운데 어느 정도의 질서는 유지되고 있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4년째부터는 드디어 패악한 본성이 나타나기 시작, 5∼6년 동안에 두 차례나 큰 옥사를 일으켜 많은 사류(士類)를 희생시키는 참극을 벌였다.

1498년(연산군 4)의 무오사화와 1504년의 갑자사화가 그것이다. 이 두 사화는 물론 당대 정계의 난맥상 속에서 생겨났던 것이기도 하지만, 여기에는 또한 연산군 개인의 성품이 많이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에도 문제는 있었다.

무오사화는 『성종실록』 편찬 때 그 사초 중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이 발견됨으로써, 이에 관련되었던 사림학자들이 많이 참화를 당하였던 사건이다.

그러나 이때 그렇게 많은 사류들을 희생시키게 되었던 것은, 본래 학자들을 싫어하는 연산군의 성품을 이극돈(李克墩) 등 훈구 재상들이 교묘히 이용, 그들의 정쟁에 이용하였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갑자사화도 결국은 연산군의 사치와 향략 때문에 그토록 큰 옥사가 벌어졌던 것이라는 측면이 더 큰 비중을 가진다.

즉, 그의 방탕한 생활에서 오는 재정난을 메우기 위하여 훈구 재상들의 토지를 몰수하려는 기미가 보이자, 그들은 왕의 이러한 횡포를 억제하려 하였고, 그리하여 여기에 또 한번의 사화가 벌어졌던 것이다.

그리고 이 사화의 직접적인 구실은 물론 생모 윤씨의 폐비사건으로 소급이 되지만, 이 역시 그의 포학한 성품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어쨌든 이 두 사화의 양상은 모두가 참혹을 극했던 것으로서, 김종직의 경우는 부관참시(剖棺斬屍)하였고, 폐비 당시의 두 숙의(淑儀)는 타살을 하였으며, 할머니인 인수대비(仁粹大妃)도 구타, 치사하게 하였고, 기타 윤필상(尹弼商)김굉필(金宏弼) 등의 사형을 필두로, 한명회(韓明澮)정여창(鄭汝昌)도 모두 부관참시를 당하는 등, 패륜과 무도함을 극한 사건이었던 것이다.
4. 폐정의 원인
학자에 따라서는 그가 그토록 광포하고 난잡스런 성품을 가지게 된 동기를 주로 생모를 잃었던 사실에서 찾으려는 경향도 없지는 않다.

그러나 비교적 체통을 유지하고 있는 실록 『연산군일기』에서도, 그는 원래 시기심이 많고 모진 성품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 자질이 총명하지 못한 위인이어서 문리(文理)에 어둡고 사무능력도 없던 사람으로 서술되어 있다.

그리하여 당시의 정계와 연산군과의 사이에는 부지불식간에 갈등이 일어났고, 여기서 그는 문신들의 직간(直諫)을 귀찮게 여긴 끝에 경연과 사간원홍문관 등을 없애버리고, 정언 등의 언관도 혁파 또는 감원을 하였으며, 기타 온갖 상소와 상언‧격고 등 여론과 관련되는 제도들도 모두 중단시켜버렸다.

당시로서는 가장 패륜스러운 일로 생각되던, 이른바 ‘이일역월제(以日易月制)’라는 단상제(短喪制)를 단행한 일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성균관‧원각사 등을 주색장으로 만들고, 선종(禪宗)의 본산인 흥천사(興天寺)도 마굿간으로 바꾸며, 민간의 국문투서사건을 계기로 한글의 사용을 엄금한 일이 있고, 기타 이러한 조치들과 관련되었던 이야기들이 무수히 많다.
5. 중종반정
어쨌든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민심은 소란해지기 시작했고, 마침내 1506년(연산군 12) 9월 성희안(成希顔)박원종(朴元宗)유순정(柳順汀) 등의 주동으로 연산군폐출운동이 일어남과 함께 성종의 둘째아들 진성대군(晉城大君)이 옹립되니 이것이 곧 중종반정이었다.

묘는 양주군 해등촌(海等村: 지금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데, ‘연산군지묘’라는 석물 이외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璿源系譜記略
燕山朝の二大禍獄(瀨野馬態, 靑丘學叢 3, 1931)
朝鮮成宗時代の新舊對立(申奭鎬, 近代朝鮮史硏究, 朝鮮史編修會, 1944)

[집필자]

정글호(鄭글鎬)

왕명 : "연산(燕山)"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掌敎誨宗親○燕山朝革罷○中宗卽位初復置後復革罷年條未詳
國朝編年v05燕山諱乙卯卽位十二年丙寅廢爲燕山㞐喬桐而卒夫人愼氏領議政承善女左議政守勤妹生二男一女葬楊州海等村成宗第一
國朝編年v06勢不相容遂請廢之上不得已從之出置別宮每慕華館迎詔時必遣御馬餽之則夫人親造白粥手捧傾喂而送之國朝記事○燕山之妃愼氏卽領議政承善之女守勤之妹也守勤之女又爲上潛邸時夫人方燕山荒亂守勤爲相姜龜孫亦同爲相有廢昏立明
國朝編年v07得計以瑭之妻初喪吊客錄發引時役軍薄上變告遂成獄權姦鍜鍊兩子俱被極刑瑭亦不免己卯錄○安瑭字彦寶生於辛巳燕山時朝廷荒亂久革諫院之官上之反正日特以公爲大司諫爲其剛直能救廢政也及判銓曹痛革犇競之習請擢當世聞望之士
國朝編年v17王位十四年仁祖十九年辛巳卒于齊州▣六十七夫人文▣柳氏判子自新安○我太祖以洪武壬申開國至百三年弘治甲寅燕山立中宗以正德丙寅靖國至百三年萬曆戊申光海五
國朝編年v19此也古昔帝王撥亂反正而名正言順光明輝燁未有如殿下者也使世有伯夷其將不辭光海之粟而辭殿下之粟乎靖國之初燕山三子幼弱無知而大臣竝請賜死蓋鼎革之際事異常經自有不得不爾者士論之嚴莫過於己卯而未聞以此歸咎於中廟而不
紀年便攷v7選有文行者為博士以教宗親燕山朝革罷中宗卽位初年復寘後復革罷也
紀年便攷v7海堂丁卯司馬同年殿試居首上大加褒奨特授文昭殿直仍傳曰將大用未第前賜暇讀書世祖庚辰文科歴校理官止掌樂正燕山時告老歸延安壬戌卒年七十九
紀年便攷v7足以動天以實言之其後每称曰予之取子非獨才爾丁丑以弼善登重試戊寅登文臣庭試丙戌以參判登俊試拔英試典文衡燕山入學時為博士成宗朝策佐理㓛三等封達城府院君侍經幄四十五年主文二十六年取士者二十三榜如金宗直姜希孟李承
紀年便攷v7但以貪婪取譏戊子卒年四十二贈領相謚文景子世佐見下孫滋見下子世傑字彥平成宗壬子以司勇登科歴銓郞官止僉樞燕山時被禍
紀年便攷v10字敬之一勤仲號所閑堂䕃仕歴都承旨吏判䝺成燕山戊午與李克墩柳子光䝺成士禍丙寅拜相至左襲封益昌府院君妹為燕山妃女為 中宗潜邸時夫人端敬王后靖社㓛臣議廢立於守勤曰廢妹夫立女婿吾所不忍以此丙寅首為勳臣等所害禍及坤
紀年便攷v10嘉府浣君為人端重多智燕山時隨時俯仰以免禍為判義禁務從寬緩上不獲罪下能活人及反正時徐整衣冠碎人而丧入見燕山泣曰老臣不死忍見此事然殿下失人心太甚亦復奈何好保以徃焉 中宗壬申卒年五十六謚文景名入筆苑無嗣文衡姜渾
紀年便攷v10礸從子世祖丁丑生字眉叟號晩保堂又四友堂七歲綴句人奇其秀拔工書善於隷成宗甲午十八生貟丁酉登春塲試歴南床燕山有短丧制丁母憂不能守情反正後更乞終祥燕山丙寅入相至領 中宗朝策靖國㓛二等封永嘉府浣君為人端重多智燕山
紀年便攷v10燕山有短丧制丁母憂不能守情反正後更乞終祥燕山丙寅入相至領 中宗朝策靖國㓛二等封永嘉府浣君為人端重多智燕山時隨時俯仰以免禍為判義禁務從寬緩上不獲罪下能活人及反正時徐整衣冠碎人而丧入見燕山泣曰老臣不死忍見此事
紀年便攷v10誤㫁其頸其夜又七翁来謝後公麟生八子黿居第三皆有才名比之荀氏八龍黿死於甲子其驗尤著旱年上庠成宗己酉文科燕山朝選湖堂官止禮正文章行誼為世所推在太常議宗直昜名擬以文忠㘴此謪郭山至囲年辛酉量投羅州燕山甲子被禍時僕
紀年便攷v10李希舜安岳人大諫秤子字師聖成宗壬子文科歴銓郞燕山朝選湖堂官止府使
紀年便攷v10南袞褒弟成宗辛卯生字士華號止亭金宗直門人成宗甲寅以生貟登别試歴翰林燕山朝選於湖堂中宗朝典文衡得大硯傳于李荇為文衡傳心硯 中宗己卯神武門告變入相至領重朣早有文華名重搢紳崔溥
紀年便攷v10成重淹昌寧人進士彭老子字季文號晴湖成宗王辰生貟甲寅登别試燕山朝選湖堂歴翰林官止弘博有文名戊午以史事謪義州庚申移河東甲子杖還配尋被禍配所中宗朝贈副學嘗有詩曰世事春
紀年便攷v10李承健牛峯人監察圻子字自强文宗壬申生性簡而敏九歲能屬文成宗甲午生貟庚子登明經科壬寅以注書魁進賢科燕山朝選湖堂歴舎人直學副學北伯官止戶參壬戌卒年五十一甲子以公在玉署論列宫禁秋事追罪施刑籍沒子並遠配反正後
紀年便攷v10許輯錦玄孫大諫篁子字伯和成宗癸卯以參奉登春塲試燕山朝選湖堂官止知中樞謚靖簡
紀年便攷v10湖堂官止直學兒時抱在乃祖膝上客得句曰雲收天際孤輪月乃祖未及對千齡曰何不曰風定江心一葉舟癸亥卒年三十五燕山嘗求中原西苽千齡大言止之甲子傳曰千齡雖已死當䖏斬於是禍及泉壤其子决杖逐外後贈千齡都承旨孫命元䖏元見下
紀年便攷v10午以金宗直門徒杖流鍾城移原州嘗題一詩子屏上曰祖舜宗堯自太平秦王何事苦蒼生不知禍起蕭墻內虚築防胡萬里城燕山幸士洪家見詩怒之曰卿子不肖我欲殺之士洪跪對曰此子性行不順曾欲啓之而未果熙載常諫其又故不悅而譛之云甲子
紀年便攷v10文子字伯益號安分堂朱溪君門人居禮安燕山乙卯生員辛酉登明經科選湖堂歴銓郞大成官止同中樞讀書萬卷文名大顯燕山愛姬死使朝臣輓之希輔詩曰宫門深鎖日黃昏十二鍾聲到夜分何䖏青山埋玉骨秋風黃葉不堪聞主見之泣下付托安老以
紀年便攷v10丁壽崗壽崑弟 端宗甲戌生字不崩號月軒成宗甲午進士丁酉登春塲試歴直學副學東伯大憲官止兵參性廉謹燕山時不仕 中宗丁亥卒年七十四子玉亨見下
紀年便攷v10郭宗元玄風人湟子字春卿成宗乙巳以生員登别試官止司諫燕山時被禍兄弟文科弟宗藩見下
紀年便攷v10洪泂南湯人武水使貴海子字子淵成宗丁酉以承仕郞登春塲試歴承旨官止副學燕山時被泉壤禍贈領相三兄弟文科弟瀚湜見下
紀年便攷v10陽君燕山癸亥任士洪構禍謫稳城甲子放又謫昆湯仍被禍官止判中樞年六十曾於廢妃尹氏賜死時世佐以承旨持藥而去燕山深啣之禍虫此持藥之夕還家其妻曰朝廷論廢妃畢竟如何世佐曰今已賜死妻愕然曰傷哉吾子孫其無遺類乎母既無罪而
紀年便攷v10門人居善山形容魁偉身長八尺成希顏薦鵤曰革野耕叟東海釣翁懷道抱德混迹漁樵成宗丙午二十進士壬子文科歴舎人燕山問于玉堂曰予欲殺鄭誠謹可乎否乎鵤以校理對曰可殺滿座愕然退而問曰雲程有是言乎鵤曰一人死與吾軰皆死孰愈倜
紀年便攷v10金宗直學禀質正直氣宇端亮成宗己酉文科歴三司錄清白辛亥兄輕在關西伯共從都元帥許琮討平姿渚野人錄原從勳及燕山政亂以直諫杖流濟州未幾命賜自盡官止大司憲中宗丙寅復官賜謚文簡
紀年便攷v10柳軒全州人武僉知季漳子宣城君孫婿字伯輿號駱峯成宗丙午進士己酉文科歴翰林舎人燕山初上萬言疏大觸時諱默補忠清水使甲子入為大諫時慎守英誣成士禍軒抗論之仍及任士洪柳子光奸㐫之狀且言李克均
紀年便攷v10羅有文性篤孝事親至誠及母死時燕山短丧人莫敢違有文獨執禮親戚皆言禍且不測強勸脫襄少不為動哀毀成疾臨終訣其妻曰三年丧祭如我生時其妻如其言
紀年便攷v10李自華殷山人性至孝為成宗服丧三年燕山初賞職旌閭後以詭行拿鞫供曰為君服丧非為要名妄料君父一軆也從容就死人莫不傷痛
紀年便攷v10作歸韓山作林碧堂以終老○妻金氏能詩詩載錢牧齋所輯列朝詩集及國朝詩刪○金崇祖光山人燕山乙卯文科官止典翰燕山舊臣金崇祖南世周反正後家食不出一稱青盲一稱痼疾非不知天命之不可違而自守所見獨行不變
紀年便攷v10南世周固城人益文子秀文從子字仁文號松坡成宗丁未以進士登别試歴翰林官止典翰作綱常策文居第一燕山荒淫直諫被罪及反正為舊君守節稱疾不出後贈都承旨兄弟文科兄世聃府使
紀年便攷v10李禮堅種學曾孫䕃僉樞亨增子字不磷成宗辛卯登别試官止大司諫燕山時以直言謫龍宫五世孫海昌見下兄弟文科兄仁堅庶翰
紀年便攷v10將欲綱打士類玉堂俞鎮表沿沫論劾并舉其父穢行朱溪言士洪即臣姑母夫詳知其為小人也因歴數其奸邪狀遂命竄士洪燕山時誣殺其子熙載官止吏判名入筆苑靖國日格殺㫌朝其屍子熙載見湖堂
紀年便攷v10金臺江淩人匹陽子字登可號盤谷成宗丁酉以教授登春塲試常兼文學知燕山不克負荷即引退於盤谷以自娛官止獻納年七十三卒
紀年便攷v10崔世傑萬理孫典翰堧子字俊卿成宗丁酉進士丙午文科歴三月官止獻納燕山朝抗䟽不諱屢事廷爭時人以朱雲目之㘴直言黜補泰安憂憤而卒甲子追被慘禍反正後贈兵議曾孫慶昌見下
紀年便攷v10李滋克堪孫文監司世佑子字樹德成宗甲寅以生員登别試官止弘博燕山時黜補咸昌戊午禍作遂縱飮而卒
紀年便攷v10金䖏善宦官也燕山時每䂓諫主積怒未發嘗於宫中自作䖏容戲荒淫無度甲子䖏善語家人曰今日吾必死入而極言曰老奴逮事 四朝粗通書
紀年便攷v10尹珣妻宗室女也見幸於燕山登第五年驟為判書眷待其妻無異平日物論鄙之乃是王八債云
紀年便攷v10成世貞為嶺伯鍾情商山妓率畜于家燕山納而寵之謂妓曰汝欲見成某乎奴曰豈有此意渠雖畜我畏悍妻莫泩莫来使臣孤告未嘗不痛心也主曰然則欲殺之乎妓曰
紀年便攷v10李自華鄭誠謹服成宗三年燕山斬之㫌門者大恐盡撤去至是因承旨李堣言立命復竪贈誠謹職
紀年便攷v10夕還上問今日遊街有何奇觀對曰無可玩曰但有一犢隨母而行其母有聲則其犢輒應之母子生全此㝡歆羡上閒而悲之盖燕山失惟由於尹氏之廢踐祚之初頗以英明稱之
紀年便攷v10服御勤政殿卽位受賀頒赦命燕山時穢政悉皆更革
紀年便攷v10名誠燕山庶子初封陽平君
紀年便攷v10燕山滛虐無度宗社將亡前參判成希顏慨然有撥亂之意與知中樞朴元宗吏曺判書柳順汀軍器寺僉正朴永文水原府使張珽司
紀年便攷v10燕山母也
紀年便攷v10剏都城中至是毀之以其材分賜燕山時毀家人
紀年便攷v10上御經筵講官奇遵金硡微及燕山立後之意領府事鄭光弼亦諷之并及 魯山事上召羣臣議柳洵䓁皆以為難上曰 魯山燕山已絶屬籍若以䟽屬為嗣則難
紀年便攷v10上御經筵講官奇遵金硡微及燕山立後之意領府事鄭光弼亦諷之并及 魯山事上召羣臣議柳洵䓁皆以為難上曰 魯山燕山已絶屬籍若以䟽屬為嗣則難於襲爵爵不襲則祀不能久莫如自朝家設祭之為永久不廢也仍命禮曺成節目舉行遣承
紀年便攷v10之門天使薛廷寵見之曰所迎有詔有勅有賞賜而名以迎詔似偏遂寫迎恩門三字使揭之○韓山郡守李若氷上䟽請 魯山燕山立後且論福城君嵋罪狀未明請示悔悟之意䟽上上曰拘於忌諱而不敢言如此之言至貴也領相尹殷輔䓁曰恐難輕議大司
紀年便攷v13三兄弟文科弟荇見燕山朝湖堂薇禮判
紀年便攷v13李芑冝茂子成熺外孫成宗丙申生字中文號敬齋又垂胡子燕山朝辛酉登明經科仁宝朝拜相被彈改正明宗即位乙巳入相至領入耆社初名聲甚藉見者謂之宰相器及其爲相恣行脑臆始
東國歷代總目v02判奉常寺事起畝之女卽燕山母也後以罪廢
歷代帝王紀年v01生二男一女○一子㤚安陽君○二子㦀鳳安君○一女靜惠翁主淸平尉紀鄭氏草溪人見宠於成宗朝燕山卽位鄭氏族親限八寸拷訊一次
國朝捷錄v01里○一男燕山君㦕癈妃尹氏出起畝女以妬忌事敺傷成廟大妃賜藥其時刑房承旨李世佐廣李遁村公五世孫奉藥使事至燕山甲子已死故碎骨飄風其子守貞亦殺死
郯述v02燕山乙卯別魁評事
國朝人物志v1定宗朝太宗朝世宗朝文宗朝端宗朝世祖朝睿宗朝成宗朝燕山朝中宗朝一二編中宗朝二仁宗朝明宗朝宣祖朝光海朝仁祖朝
國朝人物志v2字希亮號菊逸齋交河人思愼子壬午進士世祖丙戌文科歷揚淸顯燕山時短喪法嚴公弼遭艱守制盡禮甲子禍作杖流茂長丙寅靖國召還拜領中樞府事入耆社賜几杖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