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굉필(金宏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AD49D544B1454X0
자(字)대유(大猷)
호(號)한훤당(寒暄堂)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454(단종 2)
졸년1504(연산군 10)
시대조선전기
본관서흥(瑞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유(金紐)
조부김소형(金小亨)
증조부김사곤(金士坤)
외조부한승순(韓承舜)
출생지정릉동
저서『경현록』
저서『한훤당집』
저서『가범(家範)』

[상세내용]

김굉필(金宏弼)
1454년(단종 2)∼1504년(연산군 10).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서흥(瑞興). 자는 대유(大猷), 호는 사옹(簑翁)한훤당(寒暄堂).
1. 집안환경‧소학입문
부친은 충좌위사용(忠佐衛司勇) 김뉴(金紐)이며, 모친은 중추부사(中樞副使) 한승순(韓承舜)의 딸인 청주한씨이다.

그의 선조는 서흥의 토성(土姓)으로서 고려 후기에 사족(士族)으로 성장하였는데, 증조부인 김사곤(金士坤)이 수령과 청환(淸宦)을 역임하다가 아내의 고향인 경상도 현풍현에 이주하게 되면서 그곳을 주근거지로 삼게 되었다.

할아버지인 의영고사(義盈庫使) 김소형(金小亨)이 개국공신 조반(趙胖)의 사위가 되면서 한양에도 연고를 가지게 되었는데, 할아버지 이래 살아오던 정릉동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는 호방하고 거리낌이 없어, 저자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을 매로 치는 일이 많아 그를 보면 모두 피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성장함에 따라 분발하여 점차 학문에 힘쓰게 되었다. 근기지방의 성남(城南)미원(迷原) 등지에도 상당한 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짐작되나, 주로 영남지방의 현풍합천의 야로(冶爐: 처가), 성주의 가천(伽川: 처외가) 등지를 내왕하면서 사류(士類)들과 사귀고 학문을 닦았다.

이때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 들어가 『소학』을 배웠다. 이를 계기로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를 ‘소학동자’라 일컬었을 뿐 아니라, 이에서 받은 감명을 “글을 읽어도 아직 천기를 알지 못하였더니, 소학 속에서 지난날의 잘못을 깨달았네. 이제부터는 마음을 다하여 자식 구실을 하려 하노니, 어찌 구구히 가볍고 따스한 가죽옷과 살찐 말을 부러워하리오.”라고 술회하였다고 한다.

이후 평생토록 『소학』을 독신(篤信)하고 모든 처신을 그것에 따라 행하여 『소학』의 화신이라는 평을 들었으며, 나이 삼십에 이르러서야 다른 책을 접하였고 육경(六經)을 섭렵하였다.
2. 관계진입‧사화연루
1480년(성종 11)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하게 되었으며, 이때에 장문의 상소를 올려 원각사(圓覺寺) 승려의 불법을 다스릴 것을 포함한 척불과 유학의 진흥에 관한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

1494년 경상도관찰사 이극균(李克均)에 의해 이학(理學)에 밝고 지조가 굳다는 명목의 유일지사(遺逸之士)로 천거되어 남부참봉에 제수되면서 관직생활이 시작되었다.

이어서 전생서참봉북부주부 등을 거쳐 1496년 군자감주부에 제수되었으며, 곧 사헌부감찰을 거쳐 이듬해에는 형조좌랑이 되었다.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김종직의 문도로서 붕당을 만들었다는 죄목으로 장(杖) 80대와 원방부처(遠方付處)의 형을 받고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다가 2년 뒤 순천에 이배되었다.

그는 유배지에서도 학문연구와 후진교육에 힘써 희천에서는 조광조(趙光祖)에게 학문을 전수하여 우리나라 유학사의 정맥을 잇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504년 갑자사화가 일어나자, 무오당인이라는 죄목으로 극형에 처해졌다.
3. 신원
중종반정 뒤 연산군 때에 피화한 인물들의 신원이 이루어짐에 따라 도승지에 추증되었고, 자손은 관직에 등용되는 혜택을 받게 되었다.

그뒤 사림파의 개혁정치가 추진되면서 성리학의 기반구축과 인재양성에 끼친 업적이 재평가됨에 따라 그의 존재는 크게 부각되었는데, 이는 조광조를 비롯한 제자들의 정치적 성장에 힘입은 바 컸다.

그 결과 1517년(중종 12) 정광필(鄭光弼)신용개(申用漑)김전(金詮) 등에 의하여 학문적 업적과 무고하게 피화되었음이 역설되어 다시 우의정에 추증되었으며, 도학(道學)을 강론하던 곳에는 사우가 세워져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그러나 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나 그의 문인들이 피화되면서 남곤(南袞)을 비롯한 반대세력에 의하여 그에게 내려진 증직 및 각종 은전에 대한 수정론이 대두되었다.

당시의 이같은 정치적 분위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뒤 그를 받드는 성균관유생들의 문묘종사(文廟從祀) 건의가 계속되어 1577년(선조 10)에는 시호가 내려졌고, 1610년(광해군 2)에는 대간과 성균관 및 각 도 유생들의 지속적인 상소에 의하여 정여창(鄭汝昌)조광조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 등과 함께 오현(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되었다.
4. 학문성향
학문적으로는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김숙자(金叔滋)김종직으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유학사의 정통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김종직을 사사(師事)한 기간이 짧아 스승의 후광보다는 자신의 학문적 성과와 교육적 공적이 더 크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사우(師友)들 가운데에는 사장(詞章)에 치중한 인물이 많았던 데 반해, 정여창과 함께 경학(經學)에 치중하였다.

이러한 학문적 성향으로 말미암아 ‘치인(治人)’보다는 ‘수기(修己)’에의 편향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현실에 대응하는 의식에 있어서도 그러한 성격은 잘 나타나, 현실상황에 적극적,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자세는 엿보이지 않았다.

이로 인해 20여인에 달하는 문인들은 두 차례 사화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크게 타격을 받지는 않았으며, 유배지 교육활동을 통해 더욱 보강되어, 후일 개혁정치를 주도한 기호계(畿湖系) 사림파의 주축을 형성하게 되었다.

『소학』에 입각한 그의 처신(處身), 복상(服喪)‧솔가(率家)자세는 당시 사대부들의 귀감이 되었으며, ‘한훤당의 가범(家範)’이라 하여 숭상되었다. 아산인산서원(仁山書院), 서흥화곡서원(花谷書院), 희천상현서원(象賢書院), 순천옥천서원(玉川書院), 현풍도동서원(道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경현록』『한훤당집』『가범(家範)』 등이 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景賢錄
景賢續錄
景賢續錄補遺
大東野乘
燃藜室記述
嶺南士林派의 形成(李樹健, 嶺南大學校出版部, 1979)
朝鮮前期畿湖士林派硏究(李秉烋, -潮閣, 1984)

[집필자]

이병휴(李秉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