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최항(崔恒)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D5CD56DFFFFB1409X0
자(字)정부(貞父)
호(號)태허정(太虛亭)
호(號)동량(㠉梁)
시호(諡號)문정(文靖)
생년1409(태종 9)
졸년1474(성종 5)
시대조선전기
본관삭녕(朔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최사유(崔士柔)
저서『태허정집』
저서『관음현상기(觀音現相記)』
공신호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
공신호정난공신
공신호좌익공신(佐翼功臣)
공신호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상세내용]

최항(崔恒)
1409년(태종 9)∼1474년(성종 5).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정부(貞父), 호는 태허정(太虛亭)동량(㠉梁). 증영의정 최사유(崔士柔)의 아들이며, 서거정(徐居正)의 자부(姉夫)이다.
1. 세종대의 활동과 관력
1434년(세종 16)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집현전부수찬이 되고, 이해에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성삼문(成三問) 등과 같이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였고, 1444년 집현전교리로서 『오례의주(五禮儀注)』를 상정(詳定)하는 일에 참여하였으며, 같은해 박팽년신숙주이개(李塏) 등과 함께 『운회(韻會)』를 한글로 번역하였다.

1445년 집현전응교로서 『용비어천가』를 짓는 일에 참여하고, 이어 『동국정운』『훈민정음해례』 등을 찬진하였다.

1447년 문과중시에 5등으로 합격하여 집현전직제학 겸 세자우보덕에 임명되었다. 그 당시 세종은 세자(뒤의 문종)로 하여금 섭정(攝政)하게 하였는데 이때 서연관(書筵官)으로서 정치에 보좌함이 컸다.

1450년(문종 즉위)에 선위사(宣慰使)가 되어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였고, 같은해 언관(言官)으로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이해 7월 다시 집현전으로 돌아와 부제학이 되었고,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주석하는 일을 맡았으며, 『고려사』의 열전을 집필하였다.

1452년 2월 『세종실록』 편찬 때는 수찬관으로 참여하였다.
2. 단종세종대의 활동과 관력
이어 동부승지가 되어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협찬한 공이 있다 하여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1등에 녹훈되고, 도승지가 되었다. 이해 12월에 이조참판에 임명되고,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졌다.

1454년 10월에는 「공신연곡(功臣宴曲)」 4장(章)을 지어 올렸으며, 1455년 정난공신 1등의 교서가 내려졌다. 그해 2월 대사헌이 되고, 6월에 세조가 즉위하면서 좌익공신(佐翼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이어 7월에 서연의 우부빈객이 되었고, 그뒤 호조참판이조참판형조판서공조판서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세조는 즉위한 직후 육전상정소(六典詳定所)를 설치하고 『경국대전』 편찬에 착수하였는데 이때 그는 김국광(金國光)한계희(韓繼禧) 등과 함께 육전상정관(六典詳定官)으로 임명되었고, 1458년(세조 4)에 『신육전(新六典)』의 초안을 작성하여 올렸다. 그 해 부친상을 당하였으나 왕명으로 기복(起復)되어 다음해에 중추원사세자빈객 겸 성균관대사성이 되고 1460년 이조판서가 되었다.

1461년 양성지(梁誠之)『잠서(蠶書)』를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하였다.

1463년 의정부우참찬이 되고, 1464년 9월 왕명으로 『병장설주(兵將說註)』를 산정(删定)하였다.

이듬해 좌참찬 겸 세자이사(左參贊兼世子貳師)가 되었고, 사서오경의 구결(口訣)을 바로잡는 일에 참여하였다.

1466년에 판병조사로 임명되자 그는 군사관계는 적임이 아니라고 간절히 사양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다.

1467년 4월 좌찬성, 5월 우의정, 7월 좌의정, 9월 영의정이 되었다.

1468년(예종 즉위) 9월 신숙주한명회(韓明澮)김국광 등과 함께 원상이 되었으며, 1469년 경국대전상정소 제조(提調)를 겸하여 『경국대전』을 찬진하였고, 이어 『무정보감(武定寶鑑)』을 찬수하였다.

1470년(성종 1) 부원군에 봉해졌고, 『역대제왕후비명감(歷代帝王后妃明鑑)』을 찬진하였다.

1471년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1등에 녹훈되고 다시 좌의정이 되었으나 1474년 4월에 죽었다.
3. 평가
그는 18년 동안 집현전관원으로 있으면서 경연관지제교(知製敎)로서뿐만 아니라 유교적인 의례‧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고제연구와 각종 편찬사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에 대한 평가는 서거정이 찬한 비명, 『필원잡기(筆苑雜記)』, 김육(金堉)이 지은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의 것과 『성종실록』에 있는 그의 졸기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전자에서는 그의 성품이 겸공(謙恭)‧간정(簡靜)‧단개(端介)‧무화(無華)‧공정(公正)하고 정관(正冠: 의관을 바로함.)‧위좌(危坐: 무릎을 꿇고 몸을 바르게 하여 앉음.)하며, 침착 신중하며,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며, 청백하여 재산을 탐하지 않으며, 40년간 벼슬하였으나 한번도 탄핵을 받지 않았다고 극구 칭송하고 있다.

그러나 후자에서는 겸근과언(謙謹寡言: 겸손하고 삼가며 말이 적음.)과 정관‧위좌하였다 한 것은 거의 비슷하나, 일을 처리하는 데 결단성이 없고, 정승자리에 있었으나 한번도 인사(人事)를 건의하는 일이 없이 우물쭈물 넘겼으며 자기의 의견을 내세우지 못하였다고 하였고, 문형(文衡)에 있던 사람이 의정으로 임명되면 반드시 문형직을 사양하는 것이 예였는데 그는 오히려 이를 사양하지 않고 겸하였다고 못마땅하게 평하고 있다.

특히, 가정문제에서도 부인의 성품이 사나워서 집안일은 부인의 주장대로 행해져 자유가 없었다고 하고, 혼사에 있어서도 인품으로 보지 않고 재산만을 보고 사위와 며느리를 얻었다고 혹평하고 있다.

『성종실록』 졸기에 보이는 이와같은 혹평은 당시 삼사(三司)계통에 진출하여 훈구대신들을 공격하던 사림(士林)계통의 신진관료들의 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저서로는 『태허정집』『관음현상기(觀音現相記)』가 있으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睿宗實錄
成宗實錄
國朝榜目
東文選
國朝寶鑑
國朝人物考
海東名臣錄
筆苑雜記
經國大典序(徐居正)
兩班儒敎政治의 進展(崔承熙, 한국사 9, 국사편찬위원회, 1974)
한글의 創製(李基文, 한국사 11, 국사편찬위원회, 1974)
學問의 發展과 編纂事業(申奭鎬, 한국사 11, 국사편찬위원회, 1974)
集賢殿硏究(崔承熙, 歷史學報 32‧33, 1966‧1967)
朝鮮初期 議政府硏究(韓忠熙, 韓國史硏究 31‧32, 1980‧1981)

[집필자]

최승희(崔承熙)

성명 : "최항(崔恒)"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2甲寅十六年春謁先聖試士取崔恒等二十五人○三月謁獻陵甘露降于松栢又降于景福宮後苑松樹百官請陳賀不受○移設寧北慶源兩鎭以同副承旨金宗
國朝編年v03道觀察使趙遂良忠淸道觀察使安完慶乘上幼沖謀危宗社金衍韓崧竝內官又在上側賊魁已除其餘支黨今欲啓討之承旨崔恒開門出迎世祖與之携手同入上驚起曰惟叔父活我世祖曰是不難臣當處之卽出命牌招諸宰分部禁軍圍把各處又排立軍
國朝編年v03丙戌十二年始用辨正都監新印○春東巡至江陵設科於高陵取陳祉等十八人所經邑蠲逋欠減田租○命崔恒姜希孟韓繼善盧思愼任元濬士洪之父徐居正等因元續六典裒集諸條撰次名曰經國大全而戶刑二典已頒行○王孫誕生
國朝編年v04孝子烈婦順孫以聞又令諸道觀察使廣刊小學三綱行實等書使閭巷小民皆得講習○上親享景安殿還御經筵領事韓明澮崔恒曰行祭後又御經筵恐勞玉體上曰予惜一日若齋日則已祭後不可停也○大司諫金壽寧等箚請行夕講掌令洪貴達請行夜
國朝彙鑑v1成皆出睿智裁定諸臣莫能窺其制作之微旨先是世宗朝定大業保太平歌詞全用龍飛御天歌十五章至是以非祀享樂歌命崔恒改撰樂章五月命王世子師傅賓客臺諫每月初二日會講賓客臺諫每十日進講上行常參大司成徐岡司藝孔頎等請設明經
國朝彙鑑v1妃尹氏爲王大妃冊昭訓韓氏爲王妃上率百官進箋謝恩於太上王頒敎大赦且將復上太上王尊號是夜太上王昇遐敎院相崔恒等曰踰月定諡雖是人子不欲死其親之意而大行大王未及尊號仙馭賓天速上諡號及廟號卽予之至願也其令政府議啓於
國朝彙鑑v1上率百官進冊寶頒赦中外經國大典成初太祖朝命撰元六典續六典世宗朝又撰六典謄錄世祖以其科條有前後牴牾者命崔恒等斟酌損益改定六典纔訖刑戶二典至是乃成具箋以進上曰先王之志事也告于永昌殿
國朝彙鑑v1近地民塚上曰山川不增吉地有限更千萬世陵室無窮恐後世人民無山可葬無地可耕宜自今立法勿廣禁限先是睿宗己丑崔恒等具箋進經國大典然議者皆病其其疎漏未備及上卽位之初申叔舟等建請令六曹諸司條具六典事例使恒等更加增刪釐
國朝彙鑑v1生召政府六曹議之盧思愼金國光徐居正鄭蘭宗等以爲當稱宗稱別立廟稱皇伯考姪子臣尊粹嬪爲王大妃申叔舟鄭麟趾崔恒等以爲宜稱王不稱宗別立廟稱皇伯考孝姪使月山君婷奉祀封粹嬪爲王妃上從叔舟議大司諫金壽寧上疏略曰禮不娶同
紀年便攷v7號醉琴軒世宗壬子生員甲寅謁聖科壬戌選湖堂丁卯以校理登重試官止刑參文章冲淡筆慕鍾王集賢文學之士如申叔舟崔恒李石亨鄭麟趾等與朴彭年成三問柳誠源李塏河緯地皆擅名一時而三問文瀾豪縦而短於詩緯地長於對䇿䟽章而不知詩
紀年便攷v7崔恒
紀年便攷v7崔恒朔寧人士柔子太宗己丑生權踶外孫字貞父號太虛亭又潼梁世宗甲寅魁謁聖其時將試士上夢一龍盤屈於成均舘庭柏樹
紀年便攷v7徐居正大邱人牧使彌性子權近外孫 世宗庚子生崔恒妻男字剛中號四佳亭又亭亭亭世宗戊午十九生進俱中甲子文科文宗辛未選湖堂世祖赴京時以校理隨行宿婆娑堡是夕
紀年便攷v7社金衍韓崧并內官又在上側賊魁己除其餘支黨今欲啓討承旨崔恒開門出迎擕手同入上驚起曰惟叔父活我首陽曰是不難臣當䖏之命招諸宰排立軍士作三重門明澮持生殺簿坐門內諸宰
紀年便攷v8博士崔恒
紀年便攷v8以龍飛御天歌非祀享樂歌有是命乃命崔恒使之改撰
紀年便攷v8命右䝺成崔恒同知中樞院事梁誠之䓁撰成
紀年便攷v8事於是命鄭麟趾具致寬洪允成金礩為一番鄭昌孫沈澮曺錫文金國光為二番申叔舟朴元亨洪達孫盧思慎為三番韓明澮崔恒康純為四番
紀年便攷v8崔恒
紀年便攷v8崔恒見文宗朝湖堂
紀年便攷v8崔恒
紀年便攷v8崔恒見文宗朝湖堂
紀年便攷v8初太祖命撰元六典續六典世宗朝又撰六典謄錄世祖以其科條有前後牴牾者命崔恒䓁斟酌損益改㝎六典纔託刑戶二典至是乃成上曰先王之志事也告于永昌殿
震史記略v1而出○上以諸國皆有國立曰之文而我國本無遂倣篆籒御製字母二十八字名曰諺文開局禁中命鄭麒趾申叔舟成三問崔恒等撰定之○上新造內佛堂大臣諸臣皆諫不聽判院李順蒙亦論啓上曰文士之闢佛宜矣宰臣何知佛之是非而駁之對曰
震史記略v1北元陷於虜郕王卽位改元景泰○選集賢殿學士鄭麟趾李思哲鄭昌孫李季甸安止金墩金銚金鉤金末申叔舟權擥朴仲孫崔恒金泮李石亨尹子雲魚孝瞻盧叔同梁誠之成任李克堪李鳴謙金禮蒙盧思愼韓繼禧洪應李承召李坡李芮姜希顔趙瑾崔善
震史記略v1生之續莫大焉又問爾祖自何而生對曰祖上其初稟天地之氣以生世世相傳在於我父祖之氣卽臣之氣也上呼侍女唱歌崔恒等起舞上命守謙舞仍除準職○革科田置職田○上謂侍臣曰予於酒荒則無之於禽荒不無玩好之心其罷鷹坊
震乘總v1語有殊而其牙舌齒唇喉淸濁未嘗不與中國同遂倣篆籍御製子母二十八字名曰諺文開局禁中命鄭麟趾申叔舟成三問崔恒等撰定之分爲初中終聲字雖簡易轉換無窮諸語音文字所不能記者悉通無礙中朝翰林學士黃瓚時謫遼東命三問等
羹墻錄v1鄭麟趾具致寬洪允成金礩爲一番鄭昌孫沈澮曺錫文金國光爲二番申叔舟朴元亨洪遠孫盧思愼爲三番韓明澮崔恒康純爲四番國朝寶鑑十三年戊子上疾篤王世子侍側上曰平生欲作如祖訓條章者授汝今旣不能略擧大槪一曰敬天事神
記聞v1功臣曺錫文等四十一人○相李思哲鄭昌孫姜孟卿申叔舟權擥韓明澮李仁孫具致寬黃守身沈澮朴元亨曺錫文洪達孫崔恒龜城君浚康純金礩洪允成○配享右相西原君襄節公韓確左相吉昌君翼平公權擥領相上黨君忠成公韓明澮○主文申叔
記聞v1國無之本國音韻雖與華語有殊而其牙舌唇齒喉淸濁高下未嘗不與中國同御製諺文字母二十八字設局禁中使成三問崔恒申叔舟等撰定之時翰林學士黃瓚以罪謫遼東命成三問申叔舟隨入朝使臣往遼東見瓚質問音韻凡往返十三度東記
小華龜鑑v1洪應見成宗相臣錄崔恒見世祖相臣錄朴元亨上同金守溫字文良號乖崖領中樞諡文平李永瑞正郞徐居正見文衡錄柳誠源字太初司成李克堪字
歷代帝王紀年v01許珽仲玉松湖承旨崔恒太虛亭申欽敬叔象村領相
國朝捷錄v01崔 恒
國朝捷錄v01安止僉中樞皐隱鄭摠撰定陵碑文權近李詹鄭麟趾與明學士黃鑽及成三問申叔周造諺文世祖朝申叔舟以首相兼見相錄崔恒見相錄睿宗朝徐居正字剛仲號四佳撰東國東鑑贊成八典彌性子陽村外孫主文卄六年掌試卄三榜成宗朝魚世謙以議政
國朝捷錄v01彭年見節成三問見節河緯地見節李塏見節李石亨字伯玉樗軒圃隱女懷林子文三魁右權踶選丙午洪應見相朴元亨見相崔恒見相徐居正大忠公重試彌柱子見文柳誠源見節李承召胤甫三灘陽城人重十二科姜希孟碩德子字景醇私淑齋晉州人希
宮闕志 崔灝元司醞令鄭沈討論樂理十一年丙戌 上御華韡堂召崔恒等講周易乾卦十二年丁 亥上御華韡堂命龜城君浚等肄習
靑邱風雲v1崔恒號太虛亭金壽溫號乖崖李石亨號樗軒姜希益號雲松鄭文炯號野叟徐居正號四佳李承召號三灘尹子雲
韓史綮v1七年王以天下諸國各製文字以記其國言語而獨本邦無之乃親製國文字母二十八字開局禁中命鄭麟趾申叔舟成三問崔恒等演撰之時明翰林學士黃瓚謫在遼東而優於文學王乃令三問等往質音韻於瓉者十有三然後乃定名曰訓民正音其
韓史綮v1丑睿宗襄悼王元年明憲宗成化五年春領議政鄭麟趾死○先是世祖以列朝所撰大典前後科條或相牴啎命領議政崔恒藝文館大提學徐居正等修之秋七月書成而進名曰經國大典○冬十一月王薨王之侍世祖疾也視膳嘗藥目不交睫者屢
東國續修文獻錄v1衢號晩節堂竹山人文領相文憲曺錫文字順甫昌寧人文領相討平施愛亂恭簡洪達孫字可則南陽人武右相安武崔恒字貞夫號太虛亭朔寧人文領相文靖龜城君浚字子淸宗親領相討平施愛賜死後伸康純字太初信川人勳領相南
東國續修文獻錄v1世祖朝申叔舟見相湖堂崔恒見相湖堂
東國續修文獻錄v1洪應應之休休左尹深子南陽人領相忠貞再勳朴元亨之懼晩部兵參翺子竹山人領相文憲再勳崔恒貞父太虛直學士柔子朔寧人領相文靖再勳李永瑞錫類主簿宗美子平昌人校理徐居正剛仲四佳安州牧彌性子達城
東國續修文獻錄v1誠延山君武崇政孝襄公李季甸贊成文烈公朴仲孫密山君崇祿恭孝公權擥吉昌府院君見相臣洪達孫南陽府院君見相臣崔恒寧城府院君見相臣韓明澮上黨府院君見相臣
東國續修文獻錄v1巖坡平府院君駙馬齊度公李季疄韓山府院君蔭贊成恭武公李季甸韓城府院君靖難功姜孟卿見相洪達孫見相靖難功崔恒見相靖難功田畇河陰君靖難功權攀花山君資憲駙馬安襄公
東國續修文獻錄v1申叔舟見上相韓明澮見上相崔恒見上相洪允成見上相曺錫文見上相鄭顯祖見翊戴功尹子雲見上相金國光見敵愾功權瑊見翊戴功
東國續修文獻錄v1七十二成石磷見相八十許稠見相八十六河演見相八十二閔霽見相金士衡見相八十九河崙見相七十五李茂見相七十九崔恒見相七十九盧思愼見相八十四魚世謙見相八十一柳洵見相七十五高荊山靜叔濟州人九十一贊成李惟淸見相七十九任
國朝人物志v1命三問見瓚質問音韻往返者十三東閣雜記常侍經幄啓沃弘多上幸溫泉與朴彭年申叔舟崔恒李塏便服在駕前備顧問一時榮之文宗在東宮沈潛學問每月明人靜手一卷步至集賢直廬與之問難三
國朝人物志v1治平要覽歷代兵要丙寅御製訓民正音通天下言語名曰諺文開局禁中命麟趾及成三問申叔舟崔恒等撰定昭憲王后喪赴山陵適大雨江漲不得已安梓宮於樂天亭領議政河演等議厝向方不能決
國朝人物志v1安東人同知宗淑子翼元公士衡曾孫文宗庚午文科選入集賢殿爲脩撰與成三問崔恒申叔舟等大被文宗眷遇及文宗禮陟端宗幼沖世祖受禪礩爲成均司藝丙子六
國朝人物志v1故曰時御所也首陽大君從門隙告政院以宗瑞謀叛事急未及啓達先已誅之其餘支黨今欲啓討承旨崔恒開門出迎首陽大君與之携手同入上驚起首陽大君曰是不難臣當處之卽出命牌招諸宰分付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