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계전(李季甸)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ACC4C804B1404X0
자(字)병보(屛甫)
호(號)존양재(存養齋)
시호(諡號)문렬(文烈)
생년1404(태종 4)
졸년1459(세조 5)
시대조선전기
본관한산(韓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종선(李種善)
조부이색(李穡)
외조부권근(權近)
공신호정난공신(靖難功臣)
공신호좌익공신(佐翼功臣)

[상세내용]

이계전(李季甸)
1404년(태종 4)∼1459년(세조 5).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병보(屛甫), 호는 존양재(存養齋). 이색(李穡)의 손자로, 이종선(李種善)의 아들이며, 모친은 권근(權近)의 딸이다.

1427년(세종 9)에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집현전학사가 되고, 1436년에 왕명으로 김문(金汶) 등과 『강목통감훈의(綱目通鑑訓義)』를 편찬하였다.

1445년 집현전직제학으로 있을 때에 세자(문종)가 사창(社倉)과 의창(義倉) 등의 현황에 대하여 묻자, 그는 “근년의 계속된 가뭄 때문에 사창과 의창이 본래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굶주린 백성에게 곡식을 방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2, 3년만 계속된다면 국가에 비축곡이 고갈되니, 앞으로는 스스로 생계를 보존할 수 없는 백성에게만 지급하여야 할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또한, 저화(楮貨)의 사용에 대하여 백성들의 불편이 많다는 점을 들고, 우리나라에서는 포목의 사용이 그 유래가 오래이고 불편이 없으니, 구태여 저화를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당시 시행중이던 답험손실법(踏驗損失法)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그에 의하면, 답험관의 정실에 의한 처리로 백성들의 원망이 날로 심해서 공법(貢法)을 제정하였던 것인데, 이를 계속 시행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때 대간들이 한글의 제정‧보급과 불교에 대한 종실‧양반들의 호의적인 태도를 격렬히 비난하는 소를 올리자, 세종의 진노를 사서 대간들을 의금부에 하옥시키고 국문을 받게 하였다.

여러 사람들이 왕의 진노가 심하니 상소를 그만 단념하라고 만류하였으나, 그는 의금부에 하옥될 것을 각오하고 대간들의 언로를 막아서는 안된다고 계문(啓聞)하였다.

1447년 동부승지를 제수받았고, 1450년 좌부승지가 되었으며, 3개월 후에 도승지로 승진하였다.

1452년(문종 2) 『세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453년(단종 1)의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정인지(鄭麟趾) 등과 정난공신(靖難功臣)1등에 녹훈되었다. 같은해 호조판서에 이어 병조판서로 자리를 옮겼으며, 병조판서로 재임할 때 수양대군이 왕권강화를 위하여 육조직계체제(六曹直啓體制)를 부활하자 예조판서였던 하위지(河緯地) 등과 이를 반대하는 소를 올려 폐지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세조는 이를 용납하지 않고 더욱 전제권을 강화해 나갔다. 이에 불만을 품은 성삼문(成三問)집현전출신의 학자가 중심이 되어 세조제거운동을 일으켰으나 이에 참여하지 않고 세조를 도왔다. 이 공로로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되었다.

1455년(세조 1) 이조판서를 제수받았고, 다음해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같은해 7월에 그의 어머니가 죽자 조정에서는 미‧두 30석과 종이 100권, 석회 40석과 관곽 등을 보내어 극진한 조의를 표하였다.

1458년 세조가 그에게 특별히 교서를 내렸는데, 그 교서는 세조의 정권획득과정에서 보였던 협력과 사육신사건에 참여하지 않고 세조를 도운 공로에 대하여 칭송하는 내용이었다.

이듬해인 1459년 7월에 경기관찰사에 임명되었는데, 그해 9월에 죽었다. 시호는 문렬(文烈)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文宗實錄
端宗實錄
世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송정현(宋正炫)

명 : "계전(季甸)"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7李季甸韓山人種善子太宗甲申生字屏甫號存養齋世宗丁未以宗廟副承登親試屡為抗疏每進封章世宗曰季甸之疏又来矣端宗朝策靖難㓛一䓁封韓城府院君世祖朝策佐翼㓛二䓁官止領中樞其姪塏為端宗立節而季甸為世祖㓛臣
紀年便攷v7封章世宗曰季甸之疏又来矣端宗朝策靖難㓛一䓁封韓城府院君世祖朝策佐翼㓛二䓁官止領中樞其姪塏為端宗立節而季甸為世祖㓛臣事甚相反以是短之己卯卒年五十六贈領相謚文烈子坡見下五世孫塈見下增見下玄孫之菡見下八世孫義培
紀年便攷v7指挑出錘子諸從者叩頭謝曰夫人非徒活我軰之命國本頼夫人而安安氏戒飭勿言紀口不及此事其愼重如此李坡韓山人季甸子世宗甲寅生字平仲號蘇溪庚午十七司馬文宗辛未十八登增廣是年選湖堂世祖丙戌以右尹拔英試天姿豪爽宏潤聡明
紀年便攷v16李塈季甸五世孫之蘭子中宗壬午生字可依號松窩又艮翁明宗丙午進士乙卯登明經科歴翰林副學吏判卜相選清白吏入耆社平日
紀年便攷v16李增季甸五世孫署令之菽子塈従弟字可謙號北崖中宗乙酉生明宗己酉司馬庚申登别試歴南床翰林宣祖癸酉自吏曺一日內屡遷
紀年便攷v16李山甫季甸五世孫進士之茂子之菡従子中宗己亥生字仲舉號鳴谷學於之菡之菡甞称孝悌忠信雖出孔門可以無愧又曰可以記六尺
國朝捷錄v01季甸子韓山人蘇隱十八登第
郯述v02季甸
國朝人物志v1季疇正郞季暽字子耕錄佐翼功二等勳拜韓山君左贊成所莅以廉介稱諡恭武大東韻玉季甸字屛父號存養齋世宗丁未文科屢進封章極陳無隱上曰季甸之疏又來矣參靖難佐翼兩勳封
國朝人物志v1上謂塏曰汝予故人也誠有如此者宜盡言塏不答塏爲人瘦弱體不勝衣被掠顏色不變上在潛邸時叔父季甸出入甚密塏常戒之及是上曰曾聞塏有此言果然有異心臨刑有詩曰禹鼎重時生亦大鴻毛輕處死猶榮
國朝人物志v1孟卿第仰視屋宇曰急徹蠹楹恐傷人首相國之第如此玆不亦美乎李季甸如燕主客郞中請賦早朝詩季甸窘甚書牧隱集中早朝大明宮詩大闢明堂曉色寒旌旗高拂玉闌干一律示之主客大加稱賞後孟卿將入燕
國朝人物志v1韓山人季甸孫丁卯司馬官至判官性至孝事母盡誠每爲老萊之戲爲吏不毫毛取惟務悅大夫人如紡績滌洗之具俟大
國朝人物志v1字平仲號蘇隱韓山人季甸子文宗辛未生員文科年十八賜暇湖堂世祖丙戌拔英科官至左贊成成宗賜犀帶曰深嘉
國朝人物志v2於淸晨向東呪謂人曰殺氣可惡壬辰倭必大至吾不及見君輩愼之朝野輯要李翻身韓山人文烈公季甸曾孫陰陽卜筮無不通曉謂松窩李墍曰二十年內廟社邱墟衣冠板蕩至壬辰果驗同上
國朝人物志v2字馨仲號土亭韓山人季甸五世孫少孤從其兄之蕃學及長壻毛山守星琅醮之翌日出而暮返家人覺其綈袍亡問之則過弘濟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