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천(李蕆)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C9CFFFFB1376X0
호(號)불곡(佛谷)
시호(諡號)익양(翼襄)
생년1376(우왕 2)
졸년1451(문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예안(禮安)
활동분야기타 > 기타
이송(李竦)

[상세내용]

이천(李蕆)
1376년(우왕 2)∼1451년(문종 1). 조선 세종 때의 과학자‧무신. 본관은 예안(禮安). 호는 불곡(佛谷). 군부판서 이송(李竦)의 아들이다.

1393년(태조 2)에 17세의 나이로 별장(別將)에 임명되었고, 1402년(태종 2)에는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세종 때에는 왜구의 침입을 막는 데 큰 공을 세워 충청도병마도절제사로 임명되어 병선(兵船)을 만드는 일에도 힘쓰게 되었다.

이때부터 그는 물리학자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무예를 닦으면서도 틈틈이 여러 기계장치의 원리를 생각하고 연구하였다.

특히 금속공예와 그 주조법에 조예가 있어 세종은 그를 공조참판으로 임명하여 새로운 청동활자인 경자자(庚子字)를 만드는 일에 힘쓰게 하였다. 경자자의 주조로 인쇄능률은 많이 좋아졌으나, 좀더 아름다운 자체(字體)와 인쇄능률을 높이기 위한 주조사업이 다시 시행되어 마침내 1434년(세종 16)에 갑인자(甲寅字)의 완성을 보게 되었다.

20여만개의 대소활자로 주조된 이 갑인자는 자체가 훌륭하고 선명할 뿐만 아니라, 큰 활자와 작은 활자를 필요에 따라 섞어서 조판할 수 있는 발전적인 것이었다.

갑인자의 인쇄로 조선의 활판인쇄기술은 일단 완성되었다. 그는 또한 서운관에서 정초(鄭招)장영실(蔣英實)김빈(金鑌) 등과 수년 동안 노력한 끝에 1437년에 대간의(大簡儀)‧소간의‧앙부일구(仰釜日晷)‧현주일구(懸珠日晷)‧천평일구(天平日晷)‧정남일구(定南日晷)‧규표(圭表) 등의 해시계를 만들었고, 선기옥형(璿機玉衡)이라고도 불리는 혼천의(渾天儀)를 제작하였다.

그는 평안도도절제사가 되어 평안도함경도 변방의 야인들의 침략을 막고, 그들을 토벌할 때 여진족에게서 얻은 중국의 제철기술을 바탕으로 수철(水鐵: 무쇠)을 연철(軟鐵)로 만드는 기술을 익혀 구리 대신에 쇠로써 대포를 만드는 등 화포의 개량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밖에 병선 만드는 일에도 관심이 있어 갑조법(甲造法), 즉 판자와 판자를 이중으로 붙이는 방법의 시행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시호는 익양(翼襄)이다.

[참고문헌]

韓國科學技術史(全相運, 正音社, 1976)

[집필자]

전상운(全相運)
대표명이천(李蕆)
성명이천(李蕆)
시호익양(翼襄)

성명 : "이천(李蕆)"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禮安李蕆世宗列蓂明相璖涏 中列二柬肅列二師炳正列二聖烈大皇阁
紀年便攷v7繕甲兵訓士卒蓄粮餉者良以此也上卽遣中官嚴自治慰諭曰今見卿書北方之事予旡憂矣賜衘衣一襲○平安道都節制使李蕆䓁領兵四千八百搜索賊宂大破之與閭延節制使洪師錫江界節制使李震自江界分左右軍搜索賊宂賊皆遁去追撃大破之
紀年便攷v7李蕆
紀年便攷v7李蕆禮安人判樞竦子辛禑時被禍蕆與弟韞匿於巖穴得免或云出家得免蕆後登科與金宗瑞同拓六鎮甞剏造鑄字官止判中樞
羹墻錄v1之器有闕卿與大提學鄭招創造儀表以備測驗其要在乎定北極出地高下可先制簡儀以進於是招麟趾稽古典中樞院使李蕆護軍蔣英實督工役制木簡儀測定漢陽北極出地三十八度鑄銅爲諸儀象越七年成一曰大小簡儀二曰渾儀渾象三曰懸珠
國朝捷錄v01李蕆
宮闕志先制簡儀以 進於是臣鄭招臣鄭麟趾掌指古制中樞院使臣李蕆掌督工役先制木樣以定北極出地三十六 度少與元史所測
宮闕志和以 正日晷由玆以降代各有器至元而備今上十六年秋命李蕆鄭招鄭麟趾等作小樣簡儀雖由 古制實出新規跌以精銅緣
宮闕志和以正日晷由玆以降代各有器至元而備今 上十六年秋命李蕆鄭招鄭麟趾等作小樣簡 儀雖由古制實出新規跌以精銅緣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