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허조(許稠)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5C8C870FFFFB1369X0
자(字)중통(仲通)
호(號)경암(敬菴)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369(공민왕 18)
졸년1439(세종 21)
시대조선전기
본관하양(河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허귀룡(許貴龍)
조부허윤창(許允昌)
증조부허수(許綏)

[상세내용]

허조(許稠)
1369년(공민왕 18)∼1439년(세종 21). 고려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자는 중통(仲通), 호는 경암(敬菴).

증조부는 판전객시사(判典客寺事) 허수(許綏)이고, 조부는 도관정랑(都官正郞) 허윤창(許允昌)이며, 부친은 판도판서(版圖判書) 허귀룡(許貴龍)이다. 권근(權近)의 문인이다.

1383년(우왕 9) 진사시, 1385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390년(공양왕 2)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전의시승(典儀寺丞)이 되었다.

그뒤 1392년 조선왕조가 개창되자 좌보궐(左補闕)봉상시승(奉常寺丞)으로서 지제교를 겸하여 예악제도(禮樂制度)를 바로잡는 데 힘썼다.

1397년 전적이 되어 석전(釋奠)의 의식을 개정하였으며, 1399년(정종 1) 좌보궐로서 지제교를 겸하였고, 태종이 즉위하자 사헌부잡단(司憲府雜端)으로 발탁되었으나 강직한 발언으로 왕의 뜻을 거슬러 완산판관으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강직한 성품은 태종으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어 1402년(태종 2) 이조정랑, 1404년 호군집현전직제학으로서 세자시강원좌문학이 되었다.

그뒤 1406년에 다시 경승부소윤(敬承府少尹), 이듬해 예문관직제학으로서 세자시강원문학을 겸임하였는데, 때마침 세자가 명나라에 들어가게 되어 집의에 올라 서장관으로 수행하였다.

이때 명나라의 여러 제도를 자세히 조사하였고 돌아오는 도중에 궐리(闕里)에 있는 공자묘(孔子廟)에 들렀으며, 그 제도에 따라 조선의 문묘에서 허형(許衡)을 제향하고 양웅(揚雄)을 몰아내었다.

1408년에 판사섬시사(判司贍寺事)세자시강원우보덕을 겸하였으나 조대림사건(趙大臨事件)에 연루되어 일시 춘주(春州)로 귀양갔다.

그러나 곧 풀려나 경승부윤이 되었다가 1411년에는 예조참의가 되어 의례상정소제조를 겸임하여, 사부학당을 신설하고 왕실의 각종 의식과 일반의 상제(喪制)를 정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태종조에는 많은 예악제도가 정비되었는데, 이러한 일은 거의 그의 손에 의하여 이루어지다시피 하였다. 뒤에 다시 이조병조참의를 거쳐, 평안도순찰사가 되어 평안도민의 민막(民瘼)을 자세히 조사, 보고하여 조세를 감면하여 주도록 하고 왕에게 수렵을 삼갈 것을 극간하기도 하였다.

1415년 한성부윤예문관제학, 이듬해 예조참판제조, 1418년 개성유후사유후경기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이해 세종이 즉위한 뒤에도 공안부윤(恭安府尹)예조판서가 되어 부민고소금지법(部民告訴禁止法)을 제의, 시행하게 하였으며, 이듬해에는 시관이 되어 많은 인재를 발탁하였다.

1422년(세종 4)에는 이조판서가 되어 구임법(久任法)을 제정하여 전곡을 다루는 경관(京官)은 3년, 수령은 6년 임기를 복무하도록 하였으며, 죄인의 자식이라도 죄에 연좌되지 않았으면 같이 처벌하지 않도록 하는 법제를 만들었다.

이듬해 『속육전(續六典)』 편수에 참가하였다.

1426년 참찬빈객이 되었다가 다시 이조판서가 되었는데, 이때 대간들의 간언을 두호하여 언로를 넓힐 것을 주장하였다.

1428년에는 판중군도총제부사로서 동북방의 적을 막기 위하여 평안도에 성곽을 쌓고 전선(戰船)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여 이를 관철시켰다.

1430년 찬성을 거쳐, 1432년 다시 이조판서가 되었는데 관리의 임명에 공정하였고, 특히 효자순손(孝子順孫)과 충현(忠賢)들의 자손을 발탁하여 예교(禮敎)를 장려하는 데 힘쓰기도 하였다.

이듬해 세종이 파저강야인(婆渚江野人) 이만주(李滿住) 등을 치려고 하였을 때는 후환이 있을 것이라 하여 극력 반대하였다.

1435년 지성균관사, 이듬해에는 예조판서를 겸임하였는데 과거시험에 있어서 사장(詞章)보다는 강경(講經)을 중시하여야 한다고 하여 초장강경(初場講經)을 주장하였으나 이를 성사시키지는 못하였다. 당시까지만 하여도 고려시대부터 내려오는 사장 중시의 경향이 강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1438년에는 세종을 도와 신숙주(申叔舟) 등 진사 100인과 하위지(河緯地) 등 문신급제자 33인을 뽑았고, 같은해 우의정 영집현전춘추관사 세자부로 승진되었다.

이듬해 궤장(几杖)이 하사되고 좌의정 영춘추관사에 올랐으나 그해에 죽었다. 『소학』『중용』을 즐겨 읽었고 효행이 지극하였으며, 강직한 성품을 지녔다.

특히, 유교적 윤리관을 보급하여야 하는 조선 초기에 있어서 태종세종을 도와 예악제도를 정비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太宗實錄
世宗實錄
新增東國輿地勝覽
國朝榜目
海東名臣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東儒師友錄

[집필자]

이성무(李成茂)

성명 : "허조(許稠)"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許稠等纂定
國朝編年v01宮除拜享官至是上曰親享宗廟自是常事除拜享官恐爲後法遂停之賜終獻官河崙鞍具馬奉俎官金承霔贊禮官安省執禮許稠及諸代言廐馬各一匹召宗親大臣設飮福宴于廣延樓極歡而罷○夏四月命禮曹稽考薦新之法以聞上曰宗廟薦新櫻桃儀
國朝編年v02領之由是倭變稍息其後倭亦作梗上命三軍征對馬島雖不得大捷而倭亦畏不敢肆有倭數戶欲居三浦上嘉其慕義而許之許稠泣諫倭奴乍信乍叛其心難測豈可使鱗介之胡間我衣裳之人後日生齒漸繁當爲國之巨害臨平亦再三諫啓請及其末盛而
國朝彙鑑v1移御別宮上隨至奉大寶親詣內庭固辭至夜太宗不允遂卽位于景福宮尊太宗爲盛德神功上王上將謁文廟禮曹判書許稠言臣謹稽古制唐用鞾袍謁先聖鞾袍雖不祥其制疑卽今之絳紗袍也上曰絳紗袍臨群臣之服豈可服此謁先聖乎我將服衮
國朝彙鑑v1大妃陵寢創立僧舍與否其令政府禮曹議之上謂淮曰佛氏之僞予非不知但安陵之後空谷閴寂此予所不忍也卿其復啓許稠請勿爲侈大而營小寺朴訔李原請依開慶衍慶之例柳廷顯獨曰營建佛宇以資冥福本起於臣子諂諛之心今方兩上動
國朝彙鑑v1六年上曰功臣當太祖太宗忌辰就寺社設水陵雖是忠孝之意恐違禮經吏曹判書許稠曰水陵本是非禮之正矧設神位於下壇尤爲褻慢祭祀之禮各有定分截然不可僭踰古禮支庶不得祭先祖大夫不得祖諸侯
國朝彙鑑v1期之不便上不允初久任之議起於河崙然未得建議施行常自言大明專以久任官職維持天下領議政府事柳廷顯禮曹判書許稠亦嘗勸太宗立中外久任之法太宗亦嘉納其言而未卽從之及上卽位廷顯稠每勸上行之至是稠爲吏曹判書上遂決意立法
國朝彙鑑v1生其勿問三浦倭叛遣都體察使安潤德等討平之初世宗征對馬島降倭請居薺浦鹽浦釜山浦等地世宗嘉其慕義許之相臣許稠諫曰倭奴狡詐甚乍臣乍叛其心難測豈可以鱗介之族間我衣裳之人乎他日必爲國患是所謂三浦倭也後生齒漸繁頗肆驕
紀年便攷v7上召大臣柳廷顯朴訔許稠䓁議㓕賊之筞乃命長川君李従茂為三軍都軆察使柳濕為左軍都節制使李之實為右軍都節制使将慶尙全羅忠清三道兵
紀年便攷v7釋服於二十五日則反不及前喪予欲衰服三年而卒哭後則以白衣視事遇喪事皆用衰服祥禫一遵古制百官可依易月之制許稠曰君臣一軆今 聖上
紀年便攷v7此議出於河崙而未卽施行柳廷顯許稠勸上行之至是稠為吏判上决意立法
紀年便攷v7許稠姜碩徳䓁採洪武舊例及東國禮儀參酌纂㝎
紀年便攷v7章經史子集若燭照数計甞問耕牛優劣於田夫田夫附耳荅曰前牛勝喜曰胡爲密語田夫曰牛亦有耳喜自此不復言人短與許稠佐英廟爲名相但前朝舉人持清議者以此少之賜几杖有九子五女亭在臨津江下名曰伴鷗子孫結廬仍名伴鷗文宗壬申卒
紀年便攷v7許稠
紀年便攷v7許稠河陽人府尹貴龍子倜弟恭愍王己酉生字仲通號敬齋又敬菴權近門人恭讓王庚午文科入我 朝屡歴官世宗戊午入相至
紀年便攷v7許稠
紀年便攷v7許稠見配享
紀年便攷v7申商■為禮判許稠為吏判商晩仕早罷許早仕晩罷商語稠曰大人早仕有何加益之事余雖晩仕有何加損之事乎不如各㺯掌而已商臨機善决
紀年便攷v7則皆曉人號神童三歲有桃紅柳綠三月暮珠貫青針松葉露之句乳母碾麥朗然吟曰無雨雷聲何䖏動黃雲片片四方分五歲許稠訪之曰吾老矣以老字作句乃應聲曰老木開花心不老許撃節曰此所謂神童世宗命招于政院知申事朴以昌試之曰童子之
紀年便攷v7朴審問宻陽人剛生子號清齋與權近許稠為道義交世宗丙辰與李塏親試同榜文科先是薦授司醞直長及登科以正郞為咸鏡道都節制金宗瑞從事世祖受禪後謝病
紀年便攷v9初世宗命許稠䓁旁採禮書兼用中朝諸司職掌洪武禮制東國古今詳㝎禮䓁書參酌撰㝎五禮世祖命姜希孟成任改修五禮中可施於當今
紀年便攷v9李克培仁孫子崔敬止妹夫世宗壬寅生字謙甫號牛峯又梅月堂許稠門人 世宗丁卯生員同年文科 世且朝策佐翼㓛三等封廣陵府院君成宗朝策佐理㓛三等乙巳入相至領歴事 六朝出
東國歷代總目v02命纂五禮儀○上命許稠等詳定禮儀採洪武舊制及東國儀禮參酌損益裁自聖心
震史記略v1之以補軍校○奏請銅人于太醫院領布中外○右代言徐選請庶孼子孫勿許東西班正職以別嫡庶之分從之遂爲定制○許稠撰進宗廟酌獻議註○九月重築金堤碧骨堤○上曰前日欲爲三十稅一之法禮判鄭易以爲不可此古之遺制中國之法而易
震史記略v1元年己亥始開經筵講大學衍義上謂許稠曰予聞中朝士大夫進退帝前無俯伏之禮對曰■中朝萬畿皆決於帝人衆事煩未暇爲禮○上以袞冕謁文廟禮曹判書許稠
震史記略v1誠所不忍上王許之○上王遣尹淮諭上陵傍剙寺上謂淮曰佛氏之僞予非不知但安陵之後空谷閴寂此予所不忍也許稠請建小寺柳廷顯曰今兩上動法古聖願勿置寺以爲萬世法上從之
震史記略v1農家每苦旱當於此甘下雨以救楛旱自是亦年五月十日必下雨人謂太宗雨○大臣議百官服制僉曰旣葬釋衰淡服便許稠駁曰君臣一體今聖孝篤至衰經三年獨群臣旣葬卽吉可乎請治事服淡陪祭着衰上從稠議○大司憲河演上疏言瞿曇
震史記略v1年失業何暇償納以此加罪是重困吾赤子其勿論罪○上曰功臣當太祖太宗忌辰就寺水陸雖出忠孝恐非禮經吏曹判書許稠曰水陸非禮矧設神位於壇下尤爲褻慢祭祀之禮各有定分法不可僭踰支庶不得祭先祖大夫不得祭諸侯安有以一時私恩
震史記略v1五月仁宗皇帝崩太子卽位改元宣德○行久任法初河崙嘗言大明以久任官職維持天下太宗嘉之未及施行至是許稠爲吏曹判書上決意行之中外譁言守令六期之不便皆不納○旱命停諸道進饍○上謂政府六曹曰今夏旱暵冬値愆陽藏氷
震史記略v1十年戊申許稠議嚴上下敦孝涕厚風俗之方卞季良請廣布孝行錄等書使士民讀習乃命偰循改撰孝行錄以進○起復鄭麟趾爲副
震乘總v1受內禪卽位戊戌八月丙戌受禪卽位于景福宮○始開經筵講大學衍義始開經筵上嘗謂許稠曰予聞中朝士大夫進退帝前絶無俯伏之禮對曰中朝萬機皆決於帝人衆事煩未暇爲禮稠又曰太宗欲本國女服
震乘總v1日事永爲成法上王遣尹淮諭上陵傍剙寺其令議之上謂淮曰佛氏之僞予非不知但安陵之後空谷閴寂此予所不忍也許稠等請建小寺柳廷顯曰今兩上動法古聖願勿置寺以爲萬世法從之
震乘總v1易月之制而宮中實行三年之喪故敢以此啓但臣子一也殿下方在衰經而群臣釋服有違於義乞令群臣卒哭後釋服從之許稠謂群臣一體今聖上衰經三年群臣旣塟卽吉可乎請治事服淡陪祭服衰以終制⊙命在朝官吏物故歸塟者令所經邑給車牛
震乘總v1宗卽位○行久任法初久任之議起於河崙嘗言大明專以久任官職維持天下太宗嘉納而未卽施行及上卽位柳廷顯許稠勸上行之至是稠爲吏判上決意立法中外喧然集賢殿言守令六朞之不便皆不聽是時中外晏然百姓安堵立法精密官吏
震乘總v1昌韓永矴女○帝賜世子六梁冠上慮世頒孝行錄子冠服無制遣卞季良奏請故也○頒孝行錄上聞晋州民弑父瞿然曰許稠每以嚴上下之分勸予今果然矣遂議惇孝悌厚風俗之方卞季良請廣布孝行錄等書使民讀習乃命偰循改撰孝行錄以
震乘總v1除殺人强盜外不許禁身八十以上十歲以下雖犯死罪修五禮儀亦勿禁身栲訊據衆證定罪○命修五禮儀上慮五禮未備許稠姜碩德等採洪武舊制及東國儀禮參酌損益裁自聖衷○行親迎儀敎曰婚姻三綱之本正始之道故聖人制爲親迎之王子婚
震乘總v1許稠
震乘總v1和易雖兒孫僮僕羅列啼呼略不呵噤或至挽鬚批頰亦從其所爲嘗引僚佐方濡筆書牘有僮僕溺其上但以手拭之而已與許稠佐英廟輔理之迹載在國乘但二公皆前朝人持淸議者以此少之子致身字孟忠判賜名董杞謚胡安太宗謂喜曰卿
見睫錄v1領議政黃喜領中樞崔潤德左議政許稠左議政申槩兵曹判書李隨
記聞v1○配享領相翼成卒逝巡五日特命躋配翼成公黃喜領樞貞烈公崔潤德左相文敬公李隨世宗潛邸時師傅卽位擢用鳳山人許稠左相文僖公申槪兵判文靖公李隨○主文尹淮權踶止齋皐隱安止鄭獜趾南衮啓於中宗曰世宗朝申檣辛碩祖爲守
記聞v1世宗朝將謁文廟禮判許稠言唐用靴袍謁先聖雖不詳其制疑卽今之縫紗袍也上曰縫紗袍臨群臣之服豈可服此謁先聖乎我將服衮冕以謁
記聞v1十六馬三十牛五十戰死者十三追啓閭延江界之民被虜者七十五戰亡者四十八上與領相黃喜左相孟思誠右相權軫吏判許稠戶判安純等議討之以崔閏德爲平安道都節制使討之會平安黃海道軍馬合一萬四千餘于江界使李順蒙崔山海李恪
記聞v1太宗朝許稠以臺諫言事出補全州判官及吏曹正郞闕太宗閱官案曰此人可當遂除之東記
小華龜鑑v1許稠字仲通號敬庵麗朝科官議政世宗朝卒諡文景○靑坡劇談曰公遇父母忌服母夫人手縫幼時所衣碧色小團領流涕致齋受
小華龜鑑v1字誠之號東浦辛耦禑科淸白致仕諡文貞左權軫字希正麗科諡文貞左武崔潤德諡貞烈左蔭廬閈字有隣閔霽壻諡恭肅左許稠字仲通號敬庵麗朝科諡文敬左申槩字子格號寅齋賜几杖諡文僖鄭文炯號明叔叟道傳曾孫領河演字淵亮號敬齋致仕諡
小華龜鑑v1黃喜見相臣錄崔潤德上同許稠上同申槩上同李隨兵判諡文靖世宗潛邸受學
野乘v1○時禮樂㪚佚太常職廢許稠爲奉常亟務去因循悉遵典故陽村亟稱之曰異日典禮我國者必此人也
野乘v1壬子許稠復判吏
靑野謾集v1我朝賢相以黃喜許稠爲稱首事英廟輔理之跡載在國史人皆知之但二公皆前朝擧人持淸議者以此少之筆苑雜記
歷代帝王紀年v01孫舜考孝李山甫仲擧鳴谷許稠中通河陽人世宗朝相臣文敬公
國朝捷錄v01許 稠
國朝捷錄v01世宗大王室領議政翼成公黃喜卒五日特命領中樞府事貞烈公崔潤德左議政文景公許稠左議政文僖公申㮣兵曹判書文靖公李隨鳳山人潛邸時受學
文獻攷略v1命禮判李之剛參判河演參議許晐兵參李明德知申金益精等與相地人李陽建高仲安尹敦智卜永寧殿基於宗廟西參贊許稠啓宗廟五室甚狹祧室不必一依其制上王曰宗廟雖隘自太祖傳至四君事無欠闕何必改作祧室之制亦依此造焉
文獻攷略v1親享後聞於齋宮除拜享官親享宗廟自是常事除拜享官恐爲後法遂停之賜終獻官河崙鞍馬奉俎官金承霔贊禮安省執禮許稠及諸代言廐馬召宗室大臣設飮福宴于廣延樓極歡而罷
文獻攷略v1備○十五年禮曹上宗廟酌獻儀注許稠所撰也
宮闕志年戊戌世宗卽位 于勤政殿○世宗八年丙午修勤政殿參贊許稠 啓曰殿宇丹臒太祖務從儉約願殿下勿令 侈美上可之
靑邱風雲v1公武科歙谷人甲寅拜至左相盧閈字有隣交河人恭肅公十六從仕乙卯拜至左相父鈞祖潽曾頙外王琇妻父閔霽許稠字仲通號敬菴河陽人文敬公前朝科戊午拜至左父貴龍祖允昌曾綏外李吉妻父朴經申槪字士格號寅齋平
韓史綮v1命薦陞知申事是歲江原道大饑王授江原觀察使喜盡心賑救及歸百姓思慕築臺名曰召公臺○命文臣撰續大典吏曹判書許稠以爲是書乃培養國家之本一切峻法宜皆酌改王從之稠高麗及第人也
韓史綮v1閣置紙山一座高七尺設玉漏器于山中其機輪以水激之木刻四時十二月書夜之神靈列立四旁各以其時出入進退矣以許稠爲右議政○王以科擧取十躁競成風命諸道搜訪方正慷慨及才藝特異者以聞
韓史綮v1己未二十一年明宣宗宣德十四年陞許稠爲左議政以申槪爲右議政槪高麗末俱擧成均生員進士國初登第爲翰林太祖嘗欲見實錄槪抗言拒之太宗時以右司
韓史綮v1壬申二年明景宗景泰三年春領議政黃喜卒年九十喜在世宗時與許稠久在相位人謂之黃許然無赫赫事業惟謹守舊憲而已○以皇甫仁爲領議政金宗瑞爲右議政○王有疾一日召集賢殿諸
韓史綮v1甲午五年明憲宗成化九年初世宗命許稠等雜採中國本國儀文撰定五禮後世祖以其書未盡善付姜希孟成任等改修而命名曰五禮儀王卽位以申叔舟爲總
東國續修文獻錄v1號敬齋安東人文左相文景崔潤德字汝和號霖谷歙谷人武左相貞烈盧閈字有隣號孝思亭交河人蔭右相恭肅許稠字仲通號敬庵河陽人左相几杖文敬有相業申槩字子格號寅齋平山人文左相几杖文僖河演字淵亮號
東國續修文獻錄v1相七十九李居易見相八十七權仲和見相八十三安景恭遜夫見功八十一黃喜見相九十李舒見相七十二成石磷見相八十許稠見相八十六河演見相八十二閔霽見相金士衡見相八十九河崙見相七十五李茂見相七十九崔恒見相七十九盧思愼見相
國朝人物志v1不釋卷非公事未嘗應接當官處事据正不撓及爲輔相務遵大體蔚有古大臣之風國有大事上召三公密議純及許稠得與焉諡靖肅人物考四子崇直牧使崇善大提學崇信府尹崇孝經歷
國朝人物志v1廷顯爲相勸太宗立中外久任之法上雖嘉納而未果行世宗卽位廷顯與吏曹判書許稠勸上行之上遂決意立法而中外喧然以守令六朞之不便或言不可變祖宗成法或言有害於民或言
國朝人物志v1月倭寇庇仁又圍節制使李思儉于海州延平串上召柳廷顯朴訔趙末生李明德許稠等議乘虛殄對馬島以邀賊還皆曰不可末生獨曰可上曰若不掃除每被侵擾後日之患庸有極乎卽命
朝鮮科宦譜n1-6책 (河陽許氏蔭仕篇) 蔭仕篇 許稠 敬庵麗朝文科入我朝左相文敬公相業與黃狵村幷稱 慥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