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회안대군(懷安大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4D68CC548B300B1364X0
이명(異名)이방간(李芳幹)
시호(諡號)양희(良僖)
생년1364(공민왕 13)
졸년1421(세종 3)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자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
공신호정사공신(定社功臣)
공신호개국공신

[상세내용]

회안대군(懷安大君)
1364년(공민왕 13)∼1421년(세종 3). 조선 초기의 왕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방간(李芳幹).

부친은 태조이며, 모친은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이다. 첫째부인은 판서찬성사 민선(閔璿)의 딸이고, 둘째부인은 판서 황형(黃亨)의 딸이며, 셋째부인은 정랑 금인배(琴仁排)의 딸이다.

고려왕조에 벼슬하여 군기시소윤(軍器寺少尹)을 역임하였다. 조선왕조가 개창되자 1392년(태조 1) 회안군(懷安君)에 봉군되었고, 1398년 회안공으로 개봉되면서 의흥삼군부좌군절제사가 되었으며, 이른바 제2차 왕자의 난으로 유배중인 1401년(태종 1) 회안대군이 되었다.

1398년(정종 즉위) 8월에 발생한 제1차 왕자의 난에 정안군(靖安君)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정도전(鄭道傳) 일파를 제거하는 데 세운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으로 책록된 뒤 개국공신 1등에 추록되었으며, 1399년 풍해도(豊海道) 서북면의 병사를 분령하였다.

이듬해 지중추부사 박포(朴苞)의 이간에 충동되어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고, 난이 실패한 뒤에는 토산(兎山: 지금의 황해도 토산)으로 유배되었다.

1400년 2월에 3성의 장무(掌務)가 계(啓)하기를 “이방간이 사사로이 군대를 일으켜 골육을 해하려고 하였을 때 왕께서 처음에는 도승지를 보내시어 동병하지 말 것을 명했으나 듣지 않고, 군대를 발하였으니 대법으로 다스리소서.”라고 하면서 치죄할 것을 주장하였지만 정종방원의 관용으로 가죄(加罪)되지는 않았고, 유배된 토산이 전일에 군사를 분령한 곳이라 후일의 염려가 있다 하여 안산으로 이치(移置)되었을 뿐 전지(田地)와 식읍을 받았으며 매년 원일(元日)에는 입경(入京)을 허락받았다.

1400년 9월에는 문하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익주(益州)로 이치되었다. 태종이 즉위한 뒤에도 계속 관용을 받아 이듬해 5월에는 태종이 보낸 의원으로부터 치료를 받았고, 같은해 6월에는 실행되지는 못하였지만 서울로의 소환까지 논의되었다.

1402년 대간으로부터 전렵으로 일을 삼는 등 뉘우침이 없으니 경계와 보전을 위하여 제주로 이치하라는 요청이 있었지만 순천성(順天城)에 이치되는 것으로 그쳤다.

1404년 왜구의 화를 피하여 익주로 다시 옮겨졌으며, 1410년 8월에는 완산(完山)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1416년 형조‧대간의 집요한 청죄로 아들 이맹중(李孟衆)과 함께 공신녹권(功臣錄券)과 직첩을 몰수당하였고, 1417년 홍주(洪州)로 이치되었다. 세종치세 때에도 누차 치죄가 논의되었지만 상왕과 세종의 관용을 받았고, 1419년 노비 100구만 속공(屬公)되었을 뿐 천명(天命)을 누리다가 홍주(洪州)에서 죽었다.

오랫동안 『선원록(璿源錄)』에서 제외되다가 1605년(선조 38) 선원록교정청(璿源錄校正廳)의 계(啓)를 계기로 신설(伸雪)이 논의되었고, 1680년(숙종 6) 선원록이정청(璿源錄釐正廳)의 계품(啓稟)에 따라 그 자손과 함께 『선원록』에 재록(載錄)되면서 신설되었다. 시호는 양희(良僖)이다.

[참고문헌]

牧隱文藁
太祖實錄
定宗實錄
太宗實錄
世宗實錄
宣祖實錄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璿源系譜

[집필자]

한충희(韓忠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