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황희(黃喜)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669D76CFFFFB1363X0
이명(異名)황수로(黃壽老)
자(字)구부(懼夫)
호(號)방촌(厖村)
시호(諡號)익성(翼成)
생년1363(공민왕 12)
졸년1452(문종 2)
시대조선전기
본관장수(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황군서(黃君瑞)
출생지개성 가조리(可助里)
저서『방촌집』
공신호좌익공신(佐翼功臣)

[상세내용]

황희(黃喜)
1363년(공민왕 12)∼1452년(문종 2).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초명은 수로(壽老).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

자헌대부(資憲大夫) 판강릉대도호부사(判江陵大都護府使) 황군서(黃君瑞)의 아들이다. 개성 가조리(可助里)에서 출생하였다.
1. 공민왕태조 대의 관력
1376년(우왕 2) 음보로 복안궁녹사(福安宮錄事)가 되었고, 1383년 사마시, 1385년 진사시, 1389년에는 문과에 각각 급제하고, 1390년(공양왕 2) 성균관학록에 제수되었다.

1392년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였는데, 1394년(태조 3) 조정의 요청과 두문동 동료들의 천거로 성균관학관으로 제수되면서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를 겸임하였다. 이후 직예문춘추관감찰을 역임하였다.

1398년 문하부우습유(門下府右拾遺) 재직중 언관으로서 사사로이 국사를 논의하였다고 문책되어 경원교수(慶源敎授)로 편출되었다가, 1398년(정종 즉위) 우습유로 소환되었다.

이듬해 초 언사로 파직되었다가 그해 2월경 문하부우보궐에 복직되고, 또다시 언사로 파직되었으며, 곧 경기도도사(京畿道都事)를 거쳐 내직으로 소환되어 형조예조이조병조정랑을 역임하였다.
2. 태종대의 관력
1401년(태종 1)경 지신사(知申事) 박석명(朴錫命)태종에게 천거하여 도평의사사경력(都評議使司經歷)에 발탁되었다. 이어 병조의랑에 체직되었다가 1402년 아버지의 상으로 사직하였으나, 그해 겨울 군기(軍機)를 관장하는 승추부의 인물난으로 기복되어 대호군 겸 승추부경력에 제수되었다.

1404년 우사간대부를 거쳐, 곧 승정원좌부대인에 오르고 이듬해 박석명의 후임으로 승정원지신사에 발탁되었다.

1409년 참지의정부사로 승천(陞遷)되고, 형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대사헌을 지냈으며, 1411년 병조판서, 1413년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이듬해 질병으로 사직하였다가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

1415년 이조판서가 되고 이어 송사(訟事)처리로 인한 육조에의 문책과 함께 파직되었다가 그해 행랑도감제조(行廊都監提調)에 복위되었다. 이어 참찬호조판서를 역임하고, 1416년 세자(讓寧大君)의 실행(失行)을 옹호하다가 파직되었다가 다시 공조판서가 되고, 평안도도순문사 겸 평양윤, 1418년 판한성부사가 되었다. 이해 세자 폐출의 불가함을 극간하다가 태종의 진노를 사서 교하(交河)로 유배되고, 곧 남원부에 이치(移置)되었다.
3. 세종대의 활동과 관력
세종의 치세가 진행됨과 아울러 상왕(上王: 태종)의 노여움이 풀리면서 1422년(세종 4) 남원으로 소환되고, 직첩과 과전을 환급받고 참찬으로 복직되었다.

1423년 예조판서에 이어 기근이 만연된 강원도관찰사로 파견되어 구휼하고, 판우군도총제(判右軍都摠制)에 제수되면서 강원도관찰사를 계속 겸대하였다.

1424년 찬성, 이듬해 대사헌을 겸대하고, 1426년 이조판서우의정에 발탁되면서 판병조사를 겸대하였다. 좌의정 겸 판이조사로 있다가 어머니의 상으로 사직하고 기복되어 다시 좌의정이 된 뒤 평안도도체찰사로 파견되어 약산성기(藥山城基)를 답사하고, 약산이 요충지라 하여 영변대도호부를 설치한 뒤 평안도도절제사의 본영으로 삼게 하였다.

1430년 좌의정으로서 감목(監牧)을 잘못하여 국마(國馬) 1,000여필을 죽여 사헌부에 구금된 태석균(太石鈞)의 일에 개입하여 “가볍게 다스려 달라.”고 건의하다가 “일국의 대신이 죄를 다스리는 데까지 개입함은 사리에 맞지 않을 뿐더러, 대신이 사헌부에 개입하는 관례를 남기게 되니 엄히 다스려야 한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된 뒤, 한때 파주 반구정(伴鷗亭)에 은거하였다.

1431년 복직되어 영의정부사에 오른 뒤 1449년 치사하기까지 18년 동안 국정을 통리(統理)하였으며, 치사한 뒤에도 중대사는 세종의 자문에 응하는 등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성품이 너그럽고 어질며 침착하고 사리가 깊었으며, 청렴하고 충효가 지극하였다. 학문에 힘써 높은 학덕을 쌓았으므로 태종으로부터 “공신은 아니지만 나는 공신으로서 대우하였고, 하루라도 접견하지 못하면 반드시 불러서 접견하였으며, 하루라도 좌우를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할 정도로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4. 업적과 사후 상황
그는 농사개량에 유의하여 곡식 종자를 배급하고, 각 도에 명령하여 뽕나무를 많이 심어 의생활을 풍족하게 하였으며, 종래 원집(元集)과 속집(續集)으로 나누어져 내용이 중복되고 누락되거나 내용과 현실이 괴리되는 것을 수정, 보완하여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펴냈다.

한편, 국방문제에 특히 관심을 기울여 북방 야인과 남방 왜에 대한 방비책을 강구하였으며, 예법의 확정(廓正)에 노력하여 원나라의 영향이 지대한 고려의 예법을 명나라의 예법과 조선의 현실을 참작하여 개정‧보완하였다.

또한, 인권에 유의하여 천첩(賤妾)소생의 천역(賤役)을 면제하는 등 태종대의 국가기반을 확립하는 데 공헌하였다. 세종대에는 그간에 거친 육조정랑승지육조판서 등의 역임을 통하여 국정전반에 걸쳐 광범하고 깊이 있는 경험과 식견 및 세종의 신임을 배경으로 20여년 동안 국정을 총리하는 의정부의 최고관직인 영의정부사로서 영집현전경연 예문관춘추관 서운관사 세자사 상정소도제조(領集賢殿經筵藝文館春秋館書雲觀事世子師詳定所都提調) 등을 겸대하고, 내외의 중심(衆心)을 진정(鎭定)시키면서 4군 6진의 개척, 외교와 문물제도의 정비, 집현전을 중심한 문물의 진흥 등을 지휘, 감독하였다.

특히, 세종 말기에 세종의 숭불과 연관, 궁중 안에 설치된 내불당(內佛堂)을 두고 일어난 세종과 유학자 중신 간의 마찰을 중화시키는 등 왕을 보좌하여 세종 성세를 이룩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조선왕조를 통하여 가장 명망 있는 재상으로 칭송되었다.

1452년(문종 2) 세종묘에 배향되고, 1455년(세조 1) 아들 황수신(黃守身)이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면서 순충보조공신 남원부원군(純忠補祚功臣南原府院君)으로 추증되었으며, 상주옥동서원(玉洞書院)장수창계서원(滄溪書院)에 제향되고, 파주반구정에 영정이 봉안되었다.

저서로는 『방촌집』이 있으며, 시호는 익성(翼成)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太祖實錄
定宗實錄
太宗實錄
世宗實錄
文宗實錄
世祖實錄
燃藜室記述
國朝人物考
厖村文集
萬人의 宰相(李江魯, 韓國의 人間像, 新丘文化社, 1965)
淸白吏의 龜鑑 黃喜(申學均, 人物韓國史, 博友社, 1965)
世宗朝의 時代的 背景(李崇寧, 世宗大王의 學問과 思想, 亞細亞文化社, 1981)

[집필자]

한충희(韓忠熙)

성명 : "황희(黃喜)"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配享黃喜領議政翼成公崔潤德左議政貞烈公許稠左議政文敬公申槪左議政文僖公李隨吏曹判書文靖公川
國朝編年v01丙戌六年上聞罪囚㾘瘐死獄中謂知申事黃喜曰可殺則殺之豈可使滯獄而死乎自今令法官勿滯獄○帝遣太監黃儼迎銅佛于濟州佛像至使館儼欲上先拜佛像而後行
國朝編年v02亦泣使臣曰今日君臣皆泣益知先王仁厚有德也見世子曰德容如主上一國之福當宴孝寧大君行酒上起立使臣問於館伴黃喜對曰君臣之分固嚴然殿下起立爲天倫也使臣歎曰昔蜀府殿下入覲皇帝命東宮往迎東宮讓道今主上之待孝寧猶是也○
國朝編年v03壬申二年慶尙道尙州地有地火其所焚石塊如炭置火中則生火○領議政黃喜卒字惧夫初名壽老諡益翼成號厖村二十七登科六十四拜相八十致仕享年九十○五月十四日上昇遐九月葬于顯陵議廟
國朝編年v09之時略倣原寢之義後遂遵行耶壬辰之後遂廢而不擧特出於喪亂凋弊之致非從禮反古然也又聞國陵忌辰祭用素之制因黃喜等閱月庭爭而得請云蓋慮後代犧牲之備難也然則原廟之豊設忌祀之犧牲在當時則宜俱在於預慮之中而但執素享一事
國朝彙鑑v1事闕失諫官宜自知之尙德曰命令之出政府承行臣等雖或有聞事已施行前日請屬諫官于政府以此也上問故事如何黃喜曰國初李文和尹思脩皆以諫官兼經歷上曰此非美法經歷雖重任宰相屬吏君上之動靜政令之得失皆得規正者諫官也
紀年便攷v5側愼勿立碑仍作絶命詞曰平生忠孝意今日有誰知遂仰葯自盡素有孝行親沒廬墓三年安東所居有孝子碑祭用朱子家禮黃喜爲作三難詩曰有忠有孝難有孝有忠難二者旣云得况兼殺身難玄孫世弼見下五世孫堧以青松府使良彥子爲伯父公山判
紀年便攷v7幸太平館行禮上泣使臣亦泣曰今日羣臣皆泣益知父王仁厚有徳也當宴孝寧大君補上第二兄行酒上起立使臣問於館伴黃喜對曰君臣之分固嚴然 殿下起立為天倫也使臣歎曰昔蜀府殿下入覲皇帝命東宫讓道 今殿下之待孝寧猶是也
紀年便攷v7次成書名曰農家直說頒于中外○帝許蠲進貢金銀器以非圡產遣親弟誠寧君秵具由陳請 帝特許代以圡物○罷左議政黃喜職喜欲緛監牧官太石鈞之罪請于臺官李審之子伯堅憲府論啓罷職而不出代翌年復拜○建宗學選有文行者為博士以教
紀年便攷v7直趍各寨里并擣賊宂進兵婆豬大破之乃上捷上遣宣慰使朴信生賜酒劳之及其凱還上欲用迎慰李従茂例出迎于慕華館黃喜䓁曰今日之事只征小醜而已不必出迎上御勤政殿宴慰分賜衣靴親酌賜潤徳䓁又命世子行酒仍命潤徳勿起受酒命軍官
紀年便攷v7時北賊寇邉都軆察使黃喜定城址寘都節制营判官李禎滉曾祖蕫治
紀年便攷v7黃喜孟思誠權軫議移寧北慶源両鎮仍下教曰自古帝王莫不重興王之地以爲根本我國北界豆滿江天造地設太祖始寘慶源府
紀年便攷v7始命世子代行講武黃喜䓁啓曰兵權不可授之世子且今年㐫請姑停従之
紀年便攷v7疾似愈矣有一小姬寵冠後宫以微事上請上曰由予啓寵而然初而如此長可知矣乃斥而遠之常坐勤政殿與大臣勵精圖治黃喜許椆公退不得觧衣恐有不時召命也禮遇臣下終上之世士大夫無遭刑戮者每讀書必百遍雖違䂊亦不輟命儒臣分局撰次
紀年便攷v7黃喜
紀年便攷v7黃喜長水人府使君瑞子恭愍王癸卯生字懼夫號厖村初名壽老妙齡司馬十四䕃補福安宫錄事恭讓王己巳以前别將登科爲拾
紀年便攷v7不知是潤德鎮安州種柳数萬株于州治之南蔵州基而捍水灾人比之甘棠不敢伐世宗甲寅征建州凱還上欲親迎于慕華館黃喜䓁曰不必親臨遣知申及集賢學士迎慰亦足爲一時之榮觀従之告廟頒赦酌酒賜之又命世子行酒命潤德起舞仍拜相至左
紀年便攷v7入相至左致仕入耆社賜几杖簡嚴方正公廉清謹冠帶正㘴不見惰容矻矻以國事爲念言不及私自信獨守動法聖賢相業與黃喜并稱而二人皆前朝舉人故持清議者以是少之自㓜瘦瘠如削肩背傴僂判禮曹時定上下衣制截然有分輕薄市井之輩深嫉
東國歷代總目v02婆猪江野人李滿住等犯邊遣崔潤德討平之○移慶源寧北兩鎭○上召黃喜孟思誠等議移兩鎭敎曰太祖重興王之地始置慶源府于孔州太宗移府治于蘇多老嘗有命若胡人來居便斥逐勿使爲賊窟
震史記略v1銅佛乎儼仰天良久曰諾上竟不拜佛○置歸厚署設棺槨所于龍山以庀宰相喪以慈恩寺僧宗林主其事○上謂知申事黃喜曰嶽囚可殺則殺之豈可滯嶽而死乎令法官其勿滯嶽
震史記略v1李之剛等于諸道詢民瘼理寃獄敎曰在京官猶有誤斷況州郡乎昔趙大臨之獄獄官急於大臨緩於睦仁海乃遣黃喜監問果得其實仁海伏誅若不更覈必誤斷矣予卽位以來天災地怪無歲無之反躬自省然民生疾苦不能洞見爾等其往敬
震史記略v1高麗之臣不忘其君是亦夷齊之流可褒不可罪也○六月上王妃金氏昇遐于仁德宮八月葬厚陵○上召成石磷趙英茂黃喜等引入便殿曰近日大風拔木大石崩隕未知召災之由遇災莫如修省豈可歸之於臣不自省于政府臺諫無一言及致災之由
震史記略v1學通達治體予欲立之群臣皆賀以是月丙申冊忠寧大君爲世子廢禔爲讓寧大君放于廣州其廢也柳廷顯贊之黃喜李稷堅執不可乃左邊于外○八月上禪位于世子移御蓮池洞別宮軍命沈溫自盡國衆事皆稟于上王冊敬嬪沈氏爲
震史記略v1守邊塞者公正聰明可任守令者諳練詳明可處煩劇者如有循私謬擧致使貪汚亂政害及生民者按律科罪毋或有貸○以黃喜爲江原道觀察使時當飢饉喜賑救得宜命加崇政○敎政院曰宦官之職惟在燈燭掃除不宜授以出納之任今後事無大小
震史記略v1六年甲辰春江原道倉穀太半未徵而虛錄觀察使黃喜請治守令罪上曰比年失業何暇償納以此加罪是重困吾赤子其勿論罪○上曰功臣當太祖太宗忌辰就寺水陸雖出忠孝
震史記略v1思訥奉常判官朴堧正廟朝雅樂○建州指揮李滿注侵略閣延等處以崔潤德爲平安都道制使討平之○平安道都體察使黃喜以寧邊藥山城天作城基增築合撫山延山二州爲兵馬使○置慈城閭延郡○命建文昭殿奉兩朝位版
震史記略v1十八年丙辰命六曹庶務皆稟政府施行○命世子行講武黃喜等啓曰兵權不可授之世子上從之○以廣平大君璵爲芳蕃後錦城大君瑜爲芳碩後
震史記略v1二十年戊午始設詩賦進士試○上以比年饑饉犯罪者多死囚至百九十情人理可矜者欲貸之黃喜曰先王義形義殺所以刑一人而懼億兆子産有火烈民畏水淸民狎之訓輕刑之害害及善民上從之○行諸道薦法敎曰我國
震乘總v1朴錫命薦黃喜
震乘總v1之群臣皆賀以是月丙申冊忠寧大君爲世子廢禔爲讓寧大君放于廣州其廢也柳廷顯獨贊其議禪位于世子世宗黃喜李稷皆堅執以爲不可左遷謫外世宗卽位首入爲相⊙八月上禪位于世子政府六曹諸功臣等排闥直入呼天慟哭上不聽御
震乘總v1壬寅四年召還黃喜拜禮曹判書讓寧之廢喜以爲不可免爲庶人召還黃喜貶交河言官論之不已上遣吳致善喜甥諭旨曰予不欲一日離
震乘總v1宮人盜御庫財當斬司諫高若海論奏上嘉納之○九月移御衍禧宮翌移御衍禧宮還御昌德宮年二月還御昌德宮相臣李稷黃喜等扈從世子未動駕前先閱武箭串行憲府公緘問備上命召就職○閱武箭串前一日五衛諸軍結陣壇南平明動駕百官具甲
震乘總v1黃喜
震乘總v1親行視學壬子十四年親行視學議試取節目黃喜等曰爲試取而視學不合行養老宴古制而視學爲輕上是之八月親行養老宴于勤政殿二品以上於殿內四品以上於月臺五
震乘總v1住摽略閭延等處遣潤德等將萬五千五百餘兵七道俱進獲男女四百餘名得牛馬百七十餘頭凱還上欲親迎于慕華館黃喜等曰不必親臨遣知申及集賢學士迎慰亦足爲一時之榮觀從之告廟頒赦以潤德爲右議政其餘論賞有差御勤政殿設宴
震乘總v1有德安兩陵是且肇基之地改名慶源太宗己丑移治于蘇多老古營遷兩陵于咸州虛其地至是孟哥帖木兒父子俱亡上召黃喜孟思誠議欲乘虛移鎭敎曰今蘇多老孔州鞠爲茂草予每念此痛切于懷況豆滿江回抱我疆天作之險甚合於大江爲池之意
震乘總v1施行惟吏兵曹除授及兵曹用軍刑曹死囚方外刑決仍令本曹直啓卽報政府施行如有未當政府從而審駁○命世子行講武黃喜等啓兵權不可授之世子且今年凶請停從之○命廣平廣平爲芳蕃后錦城爲芳碩后大君璵爲恭順公芳蕃後
震乘總v1九十人上謂大臣曰如鬪歐戱殺雖律應當死本無殺人之心竊盜三犯及盜係官錢粮者類是窮人所犯情理可矜予欲貸死黃喜申槪等曰義刑義殺所以刑一人而懼億萬人輕刑適所以惠姦究害善類而有害治道願一從律文從之四孟朔頒祿○定四孟
震乘總v1黃喜卒壬申
羹墻錄v1也國朝寶鑑世宗五年癸卯帝成祖遣禮部郞中楊善等賜賻祭上幸太平館饗之孝寧大君補行酒上起立使臣問於館伴黃喜喜曰君臣之分固嚴然殿下起立爲天倫也使臣歎曰昔蜀府殿下入覲皇帝命東宮往迎東宮讓途今殿下之待孝寧猶是也
見睫錄v1山陵之祭不用肉膳黃喜相國慮物力之難繼云而似不脫去麗朝崇佛之習而然矣晦隱集
見睫錄v1領議政黃喜領中樞崔潤德左議政許稠左議政申槩兵曹判書李隨
記聞v1峯類說皆無之佔畢齋尊彝錄云世宗己亥曺尙德榜大提學柳觀知貢擧云而諸說亦無之○淸白吏副提學崔萬理領議政黃喜吏曹判書柳琰右議政柳寬左議政孟思誠兵曹參議柳謙益平府院君李石根參判閔不貪判官李知參議洪桂芳朴彭年監司
記聞v1制使朴礎率兵追之奪被虜人二十六馬三十牛五十戰死者十三追啓閭延江界之民被虜者七十五戰亡者四十八上與領相黃喜左相孟思誠右相權軫吏判許稠戶判安純等議討之以崔閏德爲平安道都節制使討之會平安黃海道軍馬合一萬四千餘
記聞v1世宗朝左相黃喜丁母憂不出其代過數朔起復喜復拜之喜上箋懇辭上以大臣起復祖宗成憲不允古者六十雖在衰服猶許食肉今黃
大東彙纂v1世宗幸太平館享詔使當宴孝寧大君行酒上起立詔使問於館伴黃喜對曰君臣之分固嚴然殿下起立爲天倫也詔使歎曰昔蜀府殿下入覲皇帝命東宮往迎東宮讓路今殿下之待孝寧猶是也
小華龜鑑v1上曰忠寧好學不倦通達治體欲爲世子群臣賀曰臣等所謂擇賢亦指忠寧也卽立爲世子放禔于廣州爲讓寧君讓寧之廢也黃喜李稷堅執不可獨柳廷顯贊成之○東閣雜記曰世宗嘗幸東郊迎致讓寧設宴慰之夕還宮讓寧歸利川謫所其子年長拜順平
小華龜鑑v1黃喜字懼夫號厖村麗朝科領相諡翼成○初讓寧之廢公執不可坐謫太宗屬上用之謏聞鎖錄曰獻廟一日召黃喜至戴桶高頂笠
小華龜鑑v1十八登第佐命勳諡襄憲右柳寬字敬夫初名觀號夏亭恭愍科諡文簡右鄭擢字汝(築隱)號春谷麗朝科開國勳諡翼景領黃喜字懼夫號厖村恭讓科諡翼成左孟思誠字誠之號東浦辛耦禑科淸白致仕諡文貞左權軫字希正麗科諡文貞左武崔潤德諡
小華龜鑑v1崔萬理字子明副學柳琰蕙孫子吏判黃喜見相臣錄柳寬上同孟思誠上同柳謙兵議李石根益平府院閔不貪參判洪桂芳參判朴彭年見上李廷俌監司李知判官
小華龜鑑v1黃喜見相臣錄崔潤德上同許稠上同申槩上同李隨兵判諡文靖世宗潛邸受學
野乘v1禮使臣曰今日羣臣皆泣益知文王仁厚有德也見世子曰德容與殿下同一國之福也當宴孝寧行酒上起立使臣問舘伴黃喜喜曰羣臣之分固嚴而殿下起立爲天倫耳使臣歎曰昔蜀府殿下入覲帝命東宮徃迎東宮讓道今殿下之待孝寧猶是也
靑野謾集v1我朝賢相以黃喜許稠爲稱首事英廟輔理之跡載在國史人皆知之但二公皆前朝擧人持淸議者以此少之筆苑雜記
國朝捷錄v01黃 喜
國朝捷錄v01科刑曹參議廣州人金若溫溫或作恒文大成李伯持文江監相臣世白十一代祖子守綱利川府使父麗季名臣士渭本朝開留黃喜補見相錄朴瑞生文吏議漸子庇安人居善山李石根宗室府院君閔不貪文參判逸大憲騫父敎官嶪六代祖洪桂芳參判朴彭
國朝捷錄v01世宗大王室領議政翼成公黃喜卒五日特命領中樞府事貞烈公崔潤德左議政文景公許稠左議政文僖公申㮣兵曹判書文靖公李隨鳳山人潛邸時受學
文獻攷略v1僉○國陵忌辰祭用素之制因黃喜等閱月庭爭而得請云蓋慮後代犧牲之難備也素享一事至於廷請者何歟宋浚吉嘗言犧牲雖不可豐備雉鷄魚鮮以代犧
靑邱風雲v1黃喜號厖村權近號陽村卞季良號有春亭李詹號雙梅堂金子粹號桑村宋因號杏亭權遇號梅軒李原號容軒
韓史綮v1癸卯五年明成祖永樂二十一年黃喜本高麗文臣太宗時仕爲中樞府都事以朴錫命薦陞知申事是歲江原道大饑王授江原觀察使喜盡心賑救及歸百姓思
韓史綮v1等年少令除仕居家專心讀書以著成効而其規範受於大提學卞季良謂之賜暇讀書○甘露降于黃州道臣以獻不受○以黃喜爲右議政
韓史綮v1丁未九年明宣宗宣德二年黃喜有母服命起復仍進領議政喜牢辭不允○○以孟思誠爲右議政尋陞左議政
韓史綮v1七年明英宗正統六年王於禁中置一佛名曰內佛堂集賢殿學士十八人上疏苦爭王不納諸學士引義不出王聞之泣謂黃喜曰諸學士欲棄寡人而去將如之何喜乃徧見諸學士解之使之出焉
韓史綮v1壬申二年明景宗景泰三年春領議政黃喜卒年九十喜在世宗時與許稠久在相位人謂之黃許然無赫赫事業惟謹守舊憲而已○以皇甫仁爲領議政金宗瑞爲
東國續修文獻錄v1春谷淸州人文右相翼敬柳寬字敬夫號夏亭文化人文右相淸白吏文簡趙涓字汝靜漢陽人武右相良敬太祖表從黃喜字懼夫號厖村長水人領相几杖翼成有相業孟思誠字誠之號東圃新昌人文左相致仕文貞權軫字希正號
東國續修文獻錄v1崔萬理副學黃喜領相柳琰吏判李石根宗室府院君柳寬左相孟思誠右相柳謙兵議閔不貪參判洪桂芳參判朴彭年參判李廷俌監司李知
東國續修文獻錄v1權僖安東人八十七判書趙浚見相七十九李居易見相八十七權仲和見相八十三安景恭遜夫見功八十一黃喜見相九十李舒見相七十二成石磷見相八十許稠見相八十六河演見相八十二閔霽見相金士衡見相八十九河崙見相七十
國朝人物志v1及上受禪寵遇隆極十年爲知申事陞知議政府事上問誰能代之對曰朝臣無可者惟中樞府都事黃喜眞可人上遂用其言代錫命爲承旨終爲名相世以錫命爲知人錫命參佐命功封平陽
國朝人物志v1從以其奴爲首且聽其和事覺上命推其前後推官及本道監司竝下禁府議罪有差左議政黃喜右議政孟思誠亦辭連下獄翌日命放只罷其職徐達黃喜之壻也昭代紀年
國朝人物志v1驪興人大司成皐子太宗戊子生員文科吏曹參判世宗朝左議政黃喜欲緩監牧官太石鈞之罪請於臺官李審子白堅使圖之憲府知之請罷喜以杜請托枉法之漸
國朝人物志v1子無所不至尙如是今立幼孫寧能保異日況廢父立子於義何如請擇賢以立上曰卿等宜擇賢以聞吏曹判書黃喜諫曰國之儲位不可輕動李稷亦堅執不可上怒黜喜等于外謂諸臣曰忠寧大君天性聰敏好學不倦雖祈
國朝人物志v1字觀卿號瑞石光州人若采玄孫早補成均生員黃喜見而奇之以其子漢城少尹保身之女妻之曰金生非小成者敬重之不冠不見世宗辛酉文科爲校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