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길재(吉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38C7ACFFFFB1353X0
자(字)재보(再父)
호(號)금오산인(金烏山人)
시호(諡號)충절(忠節)
생년1353(공민왕 2)
졸년1419(세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해평(海平)
활동분야학자 > 유생
길원진(吉元進)
외조부김희적(金希迪)
저서『야은집』
저서『야은속집(冶隱續集)』
저서『야은언행습유록(冶隱言行拾遺錄)』

[상세내용]

길재(吉再)
1353년(공민왕 2)∼1419년(세종 1). 고려말과 조선초의 학자.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재보(再父), 호는 야은(冶隱) 또는 금오산인(金烏山人).

부친은 지금주사(知錦州事) 길원진(吉元進)이며, 모친은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추증된 김희적(金希迪)의 딸이다.

11세에 처음으로 냉산(冷山) 도리사(桃李寺)에서 글을 배웠고, 18세에 상산사록(商山司錄) 박분(朴賁)의 아문(衙門)에 나아가서 『논어』『맹자』 등을 읽고 비로소 성리학을 들었다.

또, 아버지를 뵈려고 개경에 이르러 이색(李穡)정몽주(鄭夢周)권근(權近) 등 여러 선생의 문하에 종유(從遊)하며 비로소 학문의 지론(至論)을 듣게 되었다.

1374년(공민왕 23)에 국자감에 들어가 생원시에 합격하고, 1383년(우왕 9)에는 사마감시(司馬監試)에 합격하였다.

1386년 진사시에 제6위로 급제하여 그해 가을에 청주목사록(淸州牧司錄)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때 이방원(李芳遠)과 한마을에 살면서 서로 오가며 강마(講磨)하여 정의가 매우 두터웠다.

1387년에 성균학정(成均學正)이 되고, 이듬해 순유박사(諄諭博士)를 거쳐 성균박사(成均博士)로 승진되었다. 그당시 공직에 있을 때에는 태학(太學)의 생도들이, 집에서는 양반자제들이 모두 그에게 모여들어 배우기를 청하였다.

1389년(창왕 1)에 문하주서(門下注書)가 되었으나, 나라가 장차 망할 것을 알고서 이듬해 봄에 늙은 어머니를 모셔야 한다는 핑계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선산으로 돌아왔다.

1391년(공양왕 3)에 계림부(鷄林府)안변(安邊) 등의 교수(敎授)로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으며, 우왕의 부고를 듣고 채과(菜果)와 혜장(醯醬) 따위를 먹지 않고 3년상을 행하였다.

그가 어머니를 효성을 다하여 봉양하니 아내 신씨(申氏)도 그 뜻을 본받아 옷가지를 팔아서라도 시어머니를 극진히 모시었다. 군사(郡事) 정이오(鄭以吾)가 이러한 그의 어려운 사정을 듣고 오동동(梧桐洞)의 묵은 밭을 주어서 봉양에 쓰도록 하였다.

1400년(정종 2) 가을에 세자 이방원이 그를 불러 태상박사(太常博士)에 임명하였으나 글을 올려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뜻을 펴니, 왕은 그 절의를 갸륵하게 여겨 예를 다하여 대접하여 보내주고, 그 집안의 세금과 부역을 면제하여주었다.

또, 1403년(태종 3)에는 군사 이양(李楊)이 그가 사는 곳이 외지고 농토가 척박하여 살기에 마땅하지 못하다 하여 오동동의 전원(田園)으로 옮겨 풍부한 생활을 누리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는 소용에 필요한 만큼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모두 되돌려보냈다. 집에 들어와서는 효도하고 밖에 나가서는 공손하며 항상 즐거움으로 근심을 잊고 영달에 뜻을 두지 않았다.

그를 흠모하는 학자들이 사방에서 모여들어 항상 그들과 경전을 토론하고 성리학을 강해(講解)하였다. 오직 도학(道學)을 밝히고 이단(異端)을 물리치는 것으로 일을 삼으며 후학의 교육에만 힘썼다.

그의 문하에서는 김숙자(金叔滋) 등 많은 학자가 배출되어, 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로 그 학통이 이어졌다.

67세로 죽으니, 후일 세상사람들이 그를 기려 금산성곡서원(星谷書院), 선산금오서원(金烏書院), 인동(仁同)오산서원(吳山書院)에 향사하였고, 이색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었다.

저서로 『야은집』『야은속집(冶隱續集)』이 있고, 언행록인 『야은언행습유록(冶隱言行拾遺錄)』이 전한다. 시호는 충절(忠節)이다.

[참고문헌]

冶隱集
冶隱續集
冶隱言行拾遺錄
高麗史
朝鮮王朝實錄
海東名臣傳
新增東國輿地勝覽
朝鮮明倫錄
慵齋叢話
儒敎淵源
資料韓國儒學史草稿(李丙燾, 서울大學校文理科大學國史硏究室, 1959)
吉再(朴性鳳, 韓國의 人間像 4, 新丘文化社, 1965)

[집필자]

박천규(朴天圭)

성명 : "길재(吉再)"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1評議司掌邦治立三軍府治兵事至是改二府爲議政府置左右議政其次贊成其次參贊後增置領議政爲三公○辛氏朝注書吉再善山人及王氏復立棄官歸鄕太宗在潛邸時再侍學于成均館至是召再至洛啓于恭靖授奉常博士再上疏曰臣聞女無二夫
國朝編年v02盜外特蠲拷訊○咸吉道節制使河敬復欲進馴鹿上聞之曰珍禽奇獸古人所戒其令勿進○上曰高麗巨室大家皆臣事我家吉再以寒士抗節不仕是人之所難也予旣贈大夫又爵其子所以褒其節義也○命修五禮義上命許稠姜碩德等詳定禮儀採洪武
國朝編年v07醫副提調大典只言承旨兼之都承旨例兼非法也朴英精通醫學請使兼之公固辭時議兩美之善州自古稱多豪傑之士金澍吉再金淑滋金宗直李孟專鄭鵬河緯地七人及公眉叟集墓碣松堂嘗以金海府使在衙軒聞東鄰女哭聲急使刑吏往捕其女而來
國朝編年v07之正其所傳者有自來矣自少慨然有求道之志受業於金宏弼學於金宗直之學傳於其父司藝臣淑滋淑滋之學傳於高麗臣吉再之學得於鄭夢周之門夢周之學矣實爲吾東之祖則其學問淵源類此其平居待人以和接物以誠事父母盡其孝處兄弟極其
國朝彙鑑v1者不與焉由是一鄕之人慕而化之恥而改之誠有補於風化也上乃下書諸道使措置興學之方宗直叔滋之子也叔滋受業於吉再再受業於鄭夢周學有淵源宗直文章經術得之家庭爲一世冕四方學者出其門下甚多金宏弼鄭汝昌南孝溫金馹孫李黿乃
紀年便攷v5吉再海平人知錦州事元進子忠惠王癸巳事新國如我事麗我朝贈諡武烈 九世孫認見下生字再夫號冶隱鄭夢周門人八歲離
紀年便攷v5吉再
紀年便攷v5曺義生昌寧人開城尹仁子字敬叔號西郭有偉姿未弱冠遊鄭夢周吉再之門以學識聞與林先味及孟氏失其名或曰好性三人俱選居太學爲諸生領袖我太祖即位臨楸洞設科欲以收集遺民令下
紀年便攷v5羅天瑞安定人官止安定伯見麗運將訖與其子閤門祇侯直卿及吉再同隱
紀年便攷v6劉敞江陵人文郡事羽溪天鳳子字太和號仙菴初名敬字孟儀李穡吉再門人恭愍王辛亥二十以進士登科入我 朝策開國功二等封玉川府院君官止寶文閣大提學世宗庚子卒年六十九謚文僖
紀年便攷v6騎馬○復行各品告身署經臺省之法○設重試河崙言儒者登科則棄卷不講自今悉令重試以備擢用從之○召見高麗注書吉再授奉常博士辭之官其子師舜宗廟副丞○十一月 上傳位于王世子○冊封嬪閔氏為靜妃始封貞嬪 上卽位進封為妃○
紀年便攷v6沈溫青松人德符子辛禑乙卯生字仲玉丙寅十二進士與孟思誠吉再同榜以蔭仕歴大憲吏判太宗戊戌拜領相同年 世宗受禪後以國舅封青川府院君奉使天朝還渡鴨綠江辭聮於朴習獄被
紀年便攷v6朴瑞生比安人漸子字汝祥號栗亭吉再門人太宗辛巳以進士登科丁亥以成均學正登重試即拜右正言歴吏議官止大司憲選清白吏善詞賦退居善山謚文忠享龜
紀年便攷v7叔滋善山人進琯子恭讓王己巳生初名滋中字士培號江湖散人吉再門人 太宗甲午司馬世宗己亥文科官止司藝受業於吉再尹祥従事小學明於易義放情丘壑教誨後進東方之學自叔滋而再傳至金宏弼為理學領袖性至孝居家事親皆従小學教子
紀年便攷v7金叔滋善山人進琯子恭讓王己巳生初名滋中字士培號江湖散人吉再門人 太宗甲午司馬世宗己亥文科官止司藝受業於吉再尹祥従事小學明於易義放情丘壑教誨後進東方之學自叔滋而
紀年便攷v7曺尚治信忠子字子景號丹岑又靜齋吉再門人父甞曰我以前朝輔相之子决科食祿宜守陶徵君之義汝則生於弼革之後自廢無義汝其勉之尚治屈意進京 世宗己
紀年便攷v20安兵使兼副元帥留鎭寧邊受張晩節制○分遣暑行御史廉訪監兵使守令之不法○遣官致祭于箕子廟及高麗忠臣鄭夢周吉再之墓○賜廢世子䘭死䘭自墻內堀土鑚穴逃出守卒執捉還囚初廢嬪朴氏以熨刀掘地作穴推䘭出送見其被捉三日不食而
東國歷代總目v01氏之際曾無一言曺敏修立昌之時首倡定策宜下有司明正其罪於是仁任宅流李穡曺敏修李崇仁等遠地○庚午門下注書吉再棄官敀鄕再善山人少淸苦力學至是知國將亡棄官而敀禮成江水赤沸三日○辛未造楮幣○壬申趙英珪殺侍中鄭夢周夢
東國歷代總目v02召高麗注書吉再至尋乞歸許之○再號冶隱太宗大王在潛邸時與再有舊至是召再至京啓于上授奉常博士再上疏曰臣聞女無二夫臣無二
震史記略v1等官○上與世弟詣德壽宮上尊號仍獻壽上王聯句云年雖七十心相應上屬對云夜已三更興不窮盡歡而罷○召高麗注書吉再至尋乞還許之再學於商山朴蕡游牧圃陽之門與世弟敎嘗同學情誼甚款丙寅登科仕禑朝爲門下注書恭讓庚午棄官歸
震史記略v1也剙業之時附我者賞之不附者罪之固其宜也及大業旣成必掌前代盡節之士以勵後世此二人宜加封贈錄其子孫前注書吉再苦節之士自以嘗事僞朝不欲臣於今日其守雖曰過中革命之後爲舊君辭職惟此一人豈非高士哉苟不宜來卽令旌門復戶
震史記略v1十八年丁未命錄用前朝忠臣鄭夢周吉再之後○設宗親科朱溪副正深源爲第一○八月憲宗皇帝崩太子六改元弘治
震乘總v1吉再
震乘總v1建義之謀乃守臣節固執不應當皇朝罪責我國之日受命入朝被栲拷掠終不屈此二人宜加封贈錄其子孫以勵後人前注書吉再苦節之士自以嘗事僞朝不欲臣於今日其守雖曰過中革命之後爲舊君辭職者惟此一人豈非高士哉苟不肯來卽令旌門復
記聞v1恭靖朝徵吉再乘傳至京授奉常博士再不詣闕謝恩上書太宗曰再於昔日得與邸下讀詩泮宮今日之召臣不忘舊也再欲上謁卽還從仕
大東遺事v1敏修於立昌之時流曺敏修瀦宅李仁任首倡定策宜正典刑遂瀦仁任宅流李穡曺敏修等於遠地○庚午門下注書吉再棄官歸鄕再善山人少淸苦力學至是知國將亡棄官而歸○禮成江冶隱圃隱死水赤沸三日○壬申趙英珪殺侍中鄭夢
野乘v1吉再時年十六作詩
野乘v1是年春門下注書吉再弃官歸
野乘v1朝以表辭不恭将罪我國受命入朝被其鞫問拷椋甚苦終不屈㐲竟不得還冝與鄭夢周追加褒贈錄其子孫以勵後人且吉再苦節之士也革命之後爲舊君守節能辭爵祿者此一人而已豈非髙士哉更冝禮召加爵祿苟守前志不肯来卽令其州㫌門復
歷代帝王紀年v01冶隱吉再字再父號六六慶尙道善山府海平人初中生員試又中司馬監試官至門下註書知國將亡棄官歸去上召之堅臥不起年六十
國朝捷錄v01吉 再
靑邱風雲v1號牧隱稼亭之子及第翰林與父同請行三年喪鄭夢周字達可號圃隱牧隱薦公及金九容朴尙忠朴宜中李崇仁等吉再號冶隱不仕我朝徐甄國初以圃隱之倘流遠地後居衿川朴尙忠衷辛禑時李仁任池大淵主事元公及鄭道傳主事
韓史綮v1馬亦如之○濟州伯太子遣宦者獻良馬三匹及金環○冬十月琉球國王察度遣使來朝獻方物○初高麗忝讓王三年注書吉再棄官歸善山太宗微時與再同學知其賢于時思之下令召之再乘傳至京太宗言於王授奉常博士再不謝恩上書曰臣
韓史綮v1潛遊于豐德依神懿王后陵以居農漁自娛以終世稱爲盛德○以佛寺奴婢爲高麗遺弊命革奴婢歸于官○高麗門下注書吉再卒再事偏母至孝好讀宋儒書所居多化人其學傳金叔滋朝鮮之經學始此
韓史綮v1太宗之世不赴科者尙五十餘家至是其人之子孫皆願歸化王聞命有司擧之○日本護軍宗家茂來朝三月錄鄭夢周吉再之後
國朝人物志v1比安人中郞將漸子太宗辛巳進士文科捷丁亥重試嘗受業于冶隱吉再之門有文名歷揚臺省出爲安東府使錄淸白入爲吏曹參議司憲府大司憲東儒師友錄子線瑔
國朝人物志v1字基甫善山人受業于冶隱吉再門早以孝行聞朝廷命旌其閭與司藝金叔滋同居一里道義相規叔滋使其子宗直受學高麗禑朝文
國朝人物志v1世宗己酉文科爲集賢殿博士能文章有吏才性儉約衣垢弊不恥端宗禪位不樂仕進嘗爲文祭吉再墓曰周武擧義夷齊採薇於首陽漢武中興子陵垂釣於富春丁丑爲順興府使錦城大君瑜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