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수장(廉守藏)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5FCC218C7A5D1265X0 |
초명(初名) | 염후(廉珝) |
생년 | ?(미상) |
졸년 | 1265(원종 6) |
시대 | 고려후기 |
본관 | 파주(坡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염수장(廉守藏)
미상∼1265년(원종 6). 고려 후기 문신. 초명은 염후(廉珝)이다. 본관은 파주(坡州)이고, 출신지는 경기도 파주 봉성현(峰城縣)이다.
조부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염신약(廉信若)이고, 부친 공부시랑(工部侍郞) 염극모(廉克髦)와 모친 병부원외랑(兵部員外郞) 김황백(金黃伯)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국자좨주(國子祭酒) 심문준(沈文濬)의 딸이다.
1214년(고종 1) 1등으로 과거에 급제한 후 관직은 정주판관(靜州判官)‧국학학정(國學學正)‧감찰어사(監察御史)‧평주부사(平州副使)‧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기거사인지제고(起居舍人知制誥)‧태자소부(太子少傅) 등을 역임한 후 예빈경(禮賓卿)에 이르렀다.
강직한 성품으로 임금에게도 서슴지 않고 직간하여 산직(散職)으로 밀려나거나 파직을 당하기도 하였으며, 모함으로 유배를 당하기도 하였다.
묘는 임강현(臨江縣: 현 경기도 장단군 대강면)에 있다.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염순언(廉純彦)이다. 딸은 시대부소경(試大府少卿) 보문각대제지제고(寶文閣待制知制誥) 원부(元傅)와 해양부녹사(海陽府錄事) 최씨(崔氏)에게 시집보냈다.
1265년에 우보궐전고(右補闕典誥) 홍빈연(洪彬然)이 찬(贊)하고 해서(楷書)로 새긴 「염수장묘지명(廉守藏墓誌銘)」이 현재 일본의 국학원(國學院)대학 고고학자료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부는 정당문학(政堂文學) 염신약(廉信若)이고, 부친 공부시랑(工部侍郞) 염극모(廉克髦)와 모친 병부원외랑(兵部員外郞) 김황백(金黃伯)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국자좨주(國子祭酒) 심문준(沈文濬)의 딸이다.
1214년(고종 1) 1등으로 과거에 급제한 후 관직은 정주판관(靜州判官)‧국학학정(國學學正)‧감찰어사(監察御史)‧평주부사(平州副使)‧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기거사인지제고(起居舍人知制誥)‧태자소부(太子少傅) 등을 역임한 후 예빈경(禮賓卿)에 이르렀다.
강직한 성품으로 임금에게도 서슴지 않고 직간하여 산직(散職)으로 밀려나거나 파직을 당하기도 하였으며, 모함으로 유배를 당하기도 하였다.
묘는 임강현(臨江縣: 현 경기도 장단군 대강면)에 있다.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염순언(廉純彦)이다. 딸은 시대부소경(試大府少卿) 보문각대제지제고(寶文閣待制知制誥) 원부(元傅)와 해양부녹사(海陽府錄事) 최씨(崔氏)에게 시집보냈다.
1265년에 우보궐전고(右補闕典誥) 홍빈연(洪彬然)이 찬(贊)하고 해서(楷書)로 새긴 「염수장묘지명(廉守藏墓誌銘)」이 현재 일본의 국학원(國學院)대학 고고학자료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廉克髦墓誌銘
國學院大學 考古學資料館 所藏 德富蘇峰コレクションの高麗墓誌銘(鈴木靖民‧趙明濟,『國學院大學考古學資料館紀要 20호, 2004)
日本 國學院大學 考古學資料館 소장 高麗墓誌銘(趙明濟, 한국중세사연구 16호, 한국중세사학회, 2004)
國學院大學 考古學資料館 所藏 德富蘇峰コレクションの高麗墓誌銘(鈴木靖民‧趙明濟,『國學院大學考古學資料館紀要 20호, 2004)
日本 國學院大學 考古學資料館 소장 高麗墓誌銘(趙明濟, 한국중세사연구 16호, 한국중세사학회, 2004)
[집필자]
이원배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