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습인(鄭習仁)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2B5C778U9999X0
자(字)현숙(顯叔)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고려후기
본관초계(草溪)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공연(鄭公衍)
조부정방주(鄭邦柱)
증조부정승(鄭丞)

[상세내용]

정습인(鄭習仁)
생졸년 미상. 고려 말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현숙(顯叔).

국자박사(國子博士) 정승(鄭丞)의 증손으로, 조부는 정방주(鄭邦柱)이고, 부친은 정공연(鄭公衍)이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학관(成均學官)에 보임되었고, 이어 지영주(知榮州)가 되어 일을 보려 할 때 주리(州吏)가 고사(故事)를 들어 소재도(消灾圖)에 분향하기를 청하므로 “인신(人臣)의 법이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고 하여 이를 철거하였다.

또한, 영주에 무신(無信)이라는 탑이 있었는데, 이를 허물고 그 벽돌로 빈관(賓館)을 수리하여 신돈(辛旽)의 노여움을 사서 계림옥(鷄林獄)에 갇혔다.

신돈이 그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조정신하들의 도움으로 죽음을 면하고 평민이 되어 영주에 가서 그 탑을 다시 쌓게 하였다. 신돈이 죽은 뒤에 기용되어 다시 지영주가 되고 또 지밀성(知密成)이 되었는데, 이르는 곳마다 지방의 세력가를 누르고 음사(淫祀)를 금하였다.

우왕전교령(典校令)으로 일본 사신에 대한 답례사(答禮使)에 임명되었는데, 일본 사신이 불교를 배척하는 자라 하여 바꾸기를 청하므로 결국 가지 못하였다.

그뒤 어버이의 상을 당하자 여막(廬幕)을 짓고 3년상을 행하는 등 한결같이 주자『가례(家禮)』에 따랐다. 공양왕이 즉위하여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에 제수되었으나 곧 윤구택(尹龜澤)의 고신(告身)에 이름을 쓰지 않았다고 하여 외지로 유배되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萬姓大同譜

[집필자]

박천식(朴天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