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나유(羅裕)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B098C720FFFFD1292X0
생년?(미상)
졸년1292(충렬왕 18)
시대고려후기
본관금성(錦城)
활동분야무신 > 무신
나득황(羅得璜)
조부나효전(羅孝全)
증조부나인겸(羅仁謙)
처부조문주(趙文柱)
처부조문주(趙文柱)
공신호이등공신
공신호일등공신

[상세내용]

나유(羅裕)
미상∼1292년(충렬왕 18). 고려의 무신. 일명 나철준(羅哲準). 본관은 금성(錦城). 삼한공신대광(三韓功臣大匡) 나총례(羅聰禮)의 10세손이며, 증조부는 나인겸(羅仁謙)이고, 조부는 나효전(羅孝全)이며, 형부상서 나득황(羅得璜)의 아들이다.

외조부는 나주정씨 정국정(鄭國貞)이고, 처부는 배천조씨 조문주(趙文柱)이다.

음보(蔭補)로 경선점녹사(慶仙店錄事)가 되었고, 1269년(원종 10) 4월에 세자 심(諶: 뒤의 충렬왕)을 시종하여 원나라에 입조하였다. 그해 7월 세자가 원나라로부터 돌아와 파사부(波娑府)에 이르렀을 때 임연(林衍)원종을 폐하고 세자의 입국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세자가 국경에 들어가는 것을 만류하였다.

이러한 사감으로 임연나유의 장인인 조문주(趙文柱)를 죽이고 나유를 협박하여 이혼하게 하였으나 의리를 들어 거절하였다.

1271년 원수(元帥) 김방경(金方慶)을 따라 진도에서 삼별초(三別抄)를 치는 데 공을 세웠으며, 1272년에도 전라도의 삼별초를 치는 데 군사 1,550명을 모집하여 동원하기도 하였다.

또, 1273년 김방경을 따라 탐라(耽羅)의 삼별초 토벌에 선봉장으로 참전하여 대장군(大將軍)에 올랐는데, 이때의 공로로 남녀 노비 2명을 하사받고 원나라로부터 중통보초(中統寶鈔)를 받았다.

1274년 정월에 일본정벌을 위하여 전함 300척을 건조할 때 전라도 담당 부부사(部夫使)가 되어 공장(工匠)과 인부 3,500여명을 징집하는 데 힘썼으며, 그 경과를 보고하는 사신이 되어 원나라에 다녀왔다.

그해 10월 제1차일본정벌 때 도독사(都督使) 김방경과 함께 원나라도원수 홀돈(忽敦) 휘하에서 지병마사(知兵馬使)로 종군하였다. 돌아와 응양군대호군(鷹揚軍大護軍)이 되었으며, 그 군공으로 원나라로부터 금패(金牌)와 무덕장군관고려군천호(武德將軍管高麗軍千戶)를 받았다.

그뒤 제2차일본정벌을 위하여 합포(合浦)에 세번이나 출진하였으며, 이때 예법에 밝다 하여 개경에 소환되어 팔관회(八關會)의 의식을 맡기도 하였다.

1282년(충렬왕 8) 5월에 이등공신에 책록되었으며, 1286년 8월에 지신사(知申事), 이듬해 6월에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12월에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가 되었다.

1287년 6월에 내안(乃顔)의 친정(親征)을 청하여 호두패(虎頭牌)를 받고 중익부만호(中翼副萬戶)에 임명, 이듬해 5월 만호동지밀직사사(萬戶同知密直司事)로 왕의 선두에서 군사를 거느리고 정벌에 참여하였다.

돌아와 일등공신이 되고, 녹권(錄券)과 아울러 전(田) 100결, 노비 20명, 그리고 명위장군(明威將軍)의 호를 받았으며, 원나라로부터 쌍주금패(雙珠金牌)를 받았다.

1289년 3월에 충청도도순문사(忠淸道都巡問使)가 되어 군량을 독려하였으며, 같은해 12월에 동계방수군(東界防戍軍)을 사열하였다.

1290년 5월에 합단(哈丹)이 국경을 침입할 때 통천지계(通川地界)에 진을 치고 그를 막았으며, 평양연기(燕岐)에서 합단을 크게 무너뜨리고, 이듬해 6월 교주도(交州道)에 파견되어 합단의 잔병을 토벌하였다.

1291년 11월에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원나라정조사(正朝使)로 갔는데, 이때 원나라로부터 삼주호부(三珠虎符)‧옥대(玉帶)‧은정(銀錠)‧궁시(弓矢)‧검(劍)‧안마(鞍馬) 등을 받고 회원대장군(懷遠大將軍)의 호를 받아 이듬해 돌아왔다.

예의에 밝고 옥사(獄事)의 판결에도 능하였으며, 또 용맹이 있어 전쟁에 임하여도 두려워하지 않아 변방에서 자주 공을 세웠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新增東國輿地勝覽
高麗時代史(金庠基, 東國文化社, 1961)

[집필자]

나각순(羅恪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1-10-05錦城羅氏族譜(1747, 정묘보)를 참고하여 본관을 나주(羅州)에서 금성(錦城)으로 수정함. 일명, 조부, 증조부, 외조, 처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