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천석(元天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D0CC9CC11DB1330X0
자(字)자정(子正)
호(號)운곡(耘谷)
생년1330(충숙왕 17)
졸년?(미상)
시대고려후기
본관원주(原州)
활동분야기타 > 처사
원윤적(元允迪)
조부원열(元悅)
저서『운곡시사(耘谷詩史)』

[상세내용]

원천석(元天錫)
1330년(충숙왕 17)∼미상. 고려말과 조선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정(子正), 호는 운곡(耘谷).

고려말에 정용별장(精勇別將)을 지낸 원열(元悅)의 손자이며, 종부시령(宗簿寺令)을 지낸 원윤적(元允迪)의 아들로 원주원씨의 중시조이다.

어릴 때부터 재명(才名)이 있었으며, 문장이 여유있고 학문이 해박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고려말의 정치가 문란함을 보고 개탄하면서 치악산에 들어가 농사를 지으며 부모를 봉양하고 살았다.

일찍이 이방원(李芳遠: 太宗)을 왕자 시절에 가르친 바 있어 그가 즉위하자 기용하려고 자주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갔으나 미리 소문을 듣고는 산속으로 피해버렸다.

왕은 계석(溪石)에 올라 집 지키는 할머니를 불러 선물을 후히 주고 돌아가 아들 원형(元泂)기천(基川: 지금의 豊基) 현감으로 임명하였는데, 후세사람들이 그 바위를 태종대(太宗臺)라 하였고 지금도 치악산 각림사(覺林寺)곁에 있다.

그가 치악산에 은거하면서 끝내 출사하지 않은 것은 고려왕조에 대한 충의심 때문이었던 것을 그가 남긴 몇 편의 시문과 시조를 통하여 엿볼 수 있다.

시조로는 망한 고려왕조를 회고한 것으로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겨워하노라.”라는 회고시 1수가 전해오며, 시문들은 뒤에 『운곡시사(耘谷詩史)』라는 문집으로 모아져 전해온다. 그 문집에 실려 있는 시 중에는 고려의 쇠망을 애석하게 여기는 몇 편의 시문이 전해오는데, 대표적인 시의 제목을 보면, 우리나라 2현(賢)을 기리는 시문 중에 최영(崔瑩)을 기리어 「전총재육도도통사최영(前冢宰六道都統使崔瑩)」이라는 시와 우왕창왕을 중 신돈(辛旽)의 자손이라 하여 폐위시켜 서인을 만든 사실에 대한 「왕부자이위신돈자손폐위서인(王父子以爲辛旽子孫廢位庶人)」이라는 시를 읊어, 만일 왕씨(王氏)의 혈통으로 참과 거짓이 문제된다면 왜 일찍부터 분간하지 않았던가고 힐문하면서 저 하늘의 감계(鑑戒)가 밝게 비추리라고 말하였다.

그는 또 만년에 야사 6권을 저술하고 “이 책을 가묘에 감추어두고 잘 지키도록 하라.”고 자손들에게 유언하였으나 증손대에 이르러 국사와 저촉되는 점이 많아 화가 두려워 불살라버렸다고 한다. 강원도 횡성칠봉서원(七峰書院)에 제향되고 있다.

[참고문헌]

朝鮮金石總覽
顯宗實錄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耘谷詩史(高麗名賢集 5 所收,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80)
名詩全書(李丙斗譯, 文獻編纂出版部, 1959)
韓國의 歷史像(李佑成, 創作과 批評社, 1982)

[집필자]

박익환(朴翼煥)
대표명원천석(元天錫)
천석(天錫)
성명원천석(元天錫)
자정(子正)
운곡(耘谷)

호 : "운곡(耘谷)"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5留景祚九原難可雪幽冤古風淪䘮時還泰新法清平道益尊且向玉墀呼萬歲願施優渥及山村李滉書有云國家萬世後當從耘谷議申欽曰禑昌之事當以元天錫爲信史直書無隱比諸麟趾之麗史不翅日星蝶蝀之相懸監司鄭逑祭其墓曰山有薇蕨可以
紀年便攷v5元天錫原州人字子正號耘谷又雉嶽麗末國子進士文章贍富學問該博麗季政亂隱居原州雉嶽山下射耕養親與李穡諸人徃來唱酬太宗微時甞就學及
國朝事略v1祖 第五子在位十八年在上王位四年壽五十六元年辛巳建文三年褒贈鄭夢周領議政金若恒贊成徵元錫元天錫不至號耘谷 隱雉岳山上微時受學及登極親幸其第不得見招其爂婢給食物設申聞鼓置鑄字所太上皇太祖昇遐罷外戚封君命王氏
國朝事略v1元天錫 字士瑞 號耘谷 諡文貞 本原州麗末文章道德學識高明以隱逸不出我太宗 潛邸時受學于耘谷 登極後有大用之計卽訪先生終不來到太宗 親幸其第不得見嘆息還宮原州一境劃給賜牌固辭不受隱雉岳山
國朝事略v1元天錫 字士瑞 號耘谷 諡文貞 本原州麗末文章道德學識高明以隱逸不出我太宗 潛邸時受學于耘谷 登極後有大用之計卽訪先生終不
大東遺事v2周金若恒從權近之言也皇朝嘗以通女眞事詰責我國若恒受命入朝榜掠不屈故有褒典○召高麗進士元天錫不起天錫號耘谷隱居雉岳山躬耕養親上微時嘗受學及卽位下諭徵之不起上親幸其第亦不得見上下坐溪石上召其女僕厚給食物以還後
寒臯觀外史v27蘭字叔馨號梧亭咸陽人官倉守 天錫字子正號耘谷原 州人國子進士牧隱李公名穡字頴 叔韓山人官付中謚文靖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