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원천석(元天錫)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D0CC9CC11DB1330X0
자(字)자정(子正)
호(號)운곡(耘谷)
생년1330(충숙왕 17)
졸년?(미상)
시대고려후기
본관원주(原州)
활동분야기타 > 처사
원윤적(元允迪)
조부원열(元悅)
저서『운곡시사(耘谷詩史)』

[상세내용]

원천석(元天錫)
1330년(충숙왕 17)∼미상. 고려말과 조선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정(子正), 호는 운곡(耘谷).

고려말에 정용별장(精勇別將)을 지낸 원열(元悅)의 손자이며, 종부시령(宗簿寺令)을 지낸 원윤적(元允迪)의 아들로 원주원씨의 중시조이다.

어릴 때부터 재명(才名)이 있었으며, 문장이 여유있고 학문이 해박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고려말의 정치가 문란함을 보고 개탄하면서 치악산에 들어가 농사를 지으며 부모를 봉양하고 살았다.

일찍이 이방원(李芳遠: 太宗)을 왕자 시절에 가르친 바 있어 그가 즉위하자 기용하려고 자주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갔으나 미리 소문을 듣고는 산속으로 피해버렸다.

왕은 계석(溪石)에 올라 집 지키는 할머니를 불러 선물을 후히 주고 돌아가 아들 원형(元泂)기천(基川: 지금의 豊基) 현감으로 임명하였는데, 후세사람들이 그 바위를 태종대(太宗臺)라 하였고 지금도 치악산 각림사(覺林寺)곁에 있다.

그가 치악산에 은거하면서 끝내 출사하지 않은 것은 고려왕조에 대한 충의심 때문이었던 것을 그가 남긴 몇 편의 시문과 시조를 통하여 엿볼 수 있다.

시조로는 망한 고려왕조를 회고한 것으로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겨워하노라.”라는 회고시 1수가 전해오며, 시문들은 뒤에 『운곡시사(耘谷詩史)』라는 문집으로 모아져 전해온다. 그 문집에 실려 있는 시 중에는 고려의 쇠망을 애석하게 여기는 몇 편의 시문이 전해오는데, 대표적인 시의 제목을 보면, 우리나라 2현(賢)을 기리는 시문 중에 최영(崔瑩)을 기리어 「전총재육도도통사최영(前冢宰六道都統使崔瑩)」이라는 시와 우왕창왕을 중 신돈(辛旽)의 자손이라 하여 폐위시켜 서인을 만든 사실에 대한 「왕부자이위신돈자손폐위서인(王父子以爲辛旽子孫廢位庶人)」이라는 시를 읊어, 만일 왕씨(王氏)의 혈통으로 참과 거짓이 문제된다면 왜 일찍부터 분간하지 않았던가고 힐문하면서 저 하늘의 감계(鑑戒)가 밝게 비추리라고 말하였다.

그는 또 만년에 야사 6권을 저술하고 “이 책을 가묘에 감추어두고 잘 지키도록 하라.”고 자손들에게 유언하였으나 증손대에 이르러 국사와 저촉되는 점이 많아 화가 두려워 불살라버렸다고 한다. 강원도 횡성칠봉서원(七峰書院)에 제향되고 있다.

[참고문헌]

朝鮮金石總覽
顯宗實錄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耘谷詩史(高麗名賢集 5 所收, 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1980)
名詩全書(李丙斗譯, 文獻編纂出版部, 1959)
韓國의 歷史像(李佑成, 創作과 批評社, 1982)

[집필자]

박익환(朴翼煥)
대표명원천석(元天錫)
천석(天錫)
성명원천석(元天錫)
자정(子正)
운곡(耘谷)

성명 : "원천석(元天錫)"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1則出於閭巷無根道塗之聽美冲云云則出於省闥近臣親聞之言今欲篤信於彼而忽棄於此抑何心哉況有片言可明者耘谷元天錫不仕野居與牧隱諸老相善所著詩篇多載當時事蹟而據實直書無所隱諱有以聞今月十五日國家以定昌君立王位前王父
國朝編年v01傳之伏誅也芳碩之黨皆潰金桂蘭獨不去南誾之逃僕從皆散獨崔沄扶掖不去上義之任以近侍桂蘭位至三品沄至二品○元天錫號耘谷隱居雉兵山下上微時受學及登極召之不起上親幸其第亦不得見只招其㸑婢給食物而還○江原道觀察使鄭述祭
紀年便攷v5元天錫原州人字子正號耘谷又雉嶽麗末國子進士文章贍富學問該博麗季政亂隱居原州雉嶽山下射耕養親與李穡諸人徃來唱
紀年便攷v5淪䘮時還泰新法清平道益尊且向玉墀呼萬歲願施優渥及山村李滉書有云國家萬世後當從耘谷議申欽曰禑昌之事當以元天錫爲信史直書無隱比諸麟趾之麗史不翅日星蝶蝀之相懸監司鄭逑祭其墓曰山有薇蕨可以無飢室有琴書可以自恬聘幣殷
紀年便攷v5元天錫
紀年便攷v5醉陽昭對曰暮雲初捲月初生月初生即 上微時所幸姫也 上下床握手曰眞予故人也命載後車固辭除谷山又不就時有元天錫南乙珍徐甄與陽昭遯世不屈時人謂之高麗四䖏士
紀年便攷v5漢山伯謚襄烈享忠顯祠子温涓見下子師號嘉川齋以太祖甥姪例授中樞院事不仕隨其父於襄陽以終忠節無愧三隱又與元天錫衛護恭讓王交契親密相與嘯詠謚忠愍五世孫抃見下師玄孫珙洗馬文琚子字廷瑞生庭俱中中宗甲戌文科官止司成己卯
東國歷代總目v02元天錫不至○天錫號耘谷隱居雉岳山下躬耕養親上微時嘗受學及登極召之不起上親幸其第亦不得見只招其爨婢給食物而還
震史記略v1曰行厲祭凡無祀之鬼厲祭之法一依洪武禮制施行上皆從之贈鄭夢周領議政謚文忠金若恒贊成幷錄子孫○徵元天錫不至麗季政亂天錫隱居雉岳躬耕養親後擧進士亦不肎仕與李穡諸人友善上徵時從學至是召之不起上幸其廬避匿
震乘總v1樂元年設申聞鼓以通下情○燕兵入皇京建文帝出遁太太上王至自咸興宗卽位⊙太上王至自咸興⊙徵高麗進士元天錫不至天錫徵元天錫自號耘谷文章富贍學問該博見麗季政亂隱居原州雉岳山窮耕養親與牧隱諸公往來酬唱傷
國朝事略v1元天錫
國朝事略v1元天錫 字士瑞 號耘谷 諡文貞 本原州麗末文章道德學識高明以隱逸不出我太宗 潛邸時受學于耘谷 登極後有大用
大東遺事v2建文三年褒贈鄭夢周金若恒從權近之言也皇朝嘗以通女眞事詰責我國若恒受命入朝榜掠不屈故有褒典○召高麗進士元天錫不起天錫號耘谷隱居雉岳山躬耕養親上微時嘗受學及卽位下諭徵之不起上親幸其第亦不得見上下坐溪石上召其女僕
野乘v1耘谷元天錫原州人
靑野謾集v1於閭巷無根道塗之聽美沖云云則出於省闥近臣親聞之言今欲篤信於彼而忽棄於此抑何心哉況有片言可明者耘谷元天錫不仕野居與牧隱諸老相善所著詩篇多載當時事蹟而據實直書無所忌諱有以聞今月十五日國家以定昌君立王位前
靑野謾集v1謹按禑昌辛王之辨試千古疑獄也史牒雜亂無足徵信故先輩諸家皆以元天錫所記爲信史殆將爲一代定論余亦自少時如是慣聞不復思索起疑近於病中參互其時事而反覆之實有大段疑端爲此獄之
靑野謾集v1原州人元天錫自號耘谷見麗李政亂隱居雉岳山下一意輡晦按部錄於郡籍不得已赴試一擧中進士亦不肯仕退歸鄕里與牧隱諸公
韓史綮v1己亥世宗莊憲王元年明成祖永樂十七年夏四月旱出宮人年壯者歸其家初太宗微時受業於高麗成均進士元天錫高麗亡天錫守節不仕太宗卽位後嘗東幸就原州訪之天錫避不見至是太宗遣使敦召天錫不得已至京太宗
國朝人物志v2上引見問李曺學問對曰滉踐履篤實工夫純熟植超然自得特立獨行爲江原監司築鴒原城修元天錫墓朴應犀上變告國舅金悌男推戴永昌爲言事上累大妃公上疏曰昔周景王時有賊臣擔括造亂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