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공민왕(恭愍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F5BBFCC655B1330X0
이명(異名)왕기(王祺)
이명(異名)왕전(王顓)
이명(異名)빠이앤티무르(伯顔帖木兒)
호(號)이재(怡齋)
호(號)익당(益堂)
생년1330(충숙왕 17)
졸년1374(공민왕 23)
시대고려후기
본관개성(開城)
활동분야왕실 > 왕
명덕태후 홍씨(明德太后洪氏)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혜비이씨(惠妃李氏)
익비한씨(益妃韓氏)
정비안씨(定妃安氏)
신비염씨(愼妃廉氏)
처부위왕(魏王)
묘소경기도 개풍군 중서면

[상세내용]

공민왕(恭愍王)
1330년(충숙왕 17)∼1374년(공민왕 23). 고려 제31대왕. 재위 1351∼1374년.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왕전(王顓), 초명은 왕기(王祺), 몽고식 이름은 빠이앤티무르(伯顔帖木兒), 호는 이재(怡齋)익당(益堂).

충숙왕명덕태후 홍씨(明德太后洪氏) 사이의 둘째 아들이다. 비는 원나라 위왕(魏王)의 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이며, 그밖에 혜비이씨(惠妃李氏)익비한씨(益妃韓氏)정비안씨(定妃安氏)신비염씨(愼妃廉氏)가 있다.

일찍이 강릉대군(江陵大君)에 봉하여졌으며, 1341년 원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1344년(충목왕 즉위)에 강릉부원대군(江陵府院大君)에 봉하여졌다.

1349년 원나라에서 노국대장공주를 비로 맞이한 2년 뒤, 원나라가 나이 어리고 외척의 전횡으로 국정을 문란하게 한 충정왕을 폐위시키고 그의 뒤를 잇게 함으로써, 공주와 함께 귀국하여 왕위에 올랐다.

14세기 후반, 원명교체(元明交替)라는 대륙정세의 변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고려의 중흥을 꾀하여 많은 개혁을 추진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적극적인 배원정책을 펴 몽고적 잔재를 일소하고, 실지회복을 위한 북진정책을 실시하였으며, 대내적으로는 고려왕실을 위약하게 한 친원 권문세족을 제거하고, 국가기강을 재정립하기 위하여 일곱 차례에 걸친 관제개혁을 실시하였다.

즉, 원나라가 쇠퇴해지자 원나라 배척운동을 일으키고, 1352년 변발(辮髮)‧호복(胡服) 등의 몽고풍속을 폐지하였으며, 1356년 몽고의 연호‧관제를 폐지하여 문종 때의 제도를 복구하는 한편, 내정을 간섭하던 원나라정동행중서성이문소(征東行中書省理問所)를 폐지하고, 원나라의 황실과 인척관계를 맺고 권세를 부리던 기철(奇轍)일파(一派)를 숙청하였으며, 100년간이나 존속해온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폐지, 원나라에게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였다.

1368년 명나라가 건국되자, 이인임(李仁任)을 보내어 명나라와 협력하여 요동(遼東)에 남아 있는 원나라의 세력을 공략하였으며, 2년 뒤 이성계(李成桂)로 하여금 동녕부(東寧府)를 치게 하여 오로산성(五老山城)을 점령, 국위를 떨쳤다.

그리고 내정에 있어서는 1352년 그동안 인사행정에 폐단이 많았던 정방(政房)을 폐지하고 전민변정도감(田民辨正都監)을 설치하여 귀족들이 겸병한 토지를 원래의 소유자에게 환원시키는 한편, 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을 해방시키는 등의 개혁정치를 베풀었다.

그러나 홍건적 및 왜구의 잦은 침입과, 1363년 찬성사 김용(金鏞)의 반란, 1364년 충선왕의 셋째아들 덕흥군(德興君) 옹립을 내세운 부원파(附元派) 최유(崔濡)의 반란 등으로 국력이 크게 소모되기도 하였다.

더구나, 1365년 노국대장공주가 죽자 왕은 실의에 빠져, 모든 국사를 신돈(辛旽)에게 맡기고 불사(佛事)에만 전심하였다. 그러나 정권을 장악한 신돈은 실정을 거듭하고 왕을 해치려 하므로, 그를 수원으로 귀양보낸 뒤 사사(賜死)하였다.

그뒤 1372년, 명문자제들로 구성된 자제위(子弟衛)를 설치하고, 1373년 모니노(牟尼奴)에 사명(賜名)하여 왕우(王禑)라 하고 강녕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에 봉하였다.

그런데 자제위 소속 홍륜(洪倫)익비를 범하여 임신시키자, 그것을 은폐할 의도로 홍륜과 밀고자인 환관 최만생(崔萬生) 등을 죽이려다가 도리어 그들에게 살해되었다.

공민왕은 그림과 글씨에 뛰어나 고려의 대표적인 화가로 꼽히기도 한다. 작품으로는 「천산대렵도(天山大獵圖)」가 있다. 능은 현릉(玄陵)으로 경기도 개풍군 중서면에 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恭愍王(高裕燮, 朝鮮名人傳, 1946)
恭愍王(金哲埈, 韓國의 人間像 1, 1965)
高麗恭愍王代의 對元‧明關係(黃雲龍, 東國史學 14, 1980)

[집필자]

민병하(閔丙河)

왕명 : "공민(恭愍)"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3忠宣王孼子嘗爲僧入元元賜名搭思帖木兒壬寅叛臣崔濡說元立爲王擁而東搶甲辰爲崔瑩等所破走元命恭愍復位執送崔濡伏誅
國朝編年v01妃妃死拒之王拔釼欲擊妃妃懼而從自是倫等數矯旨往來又多選美少年壯者常侍禁中號束古赤與子弟衛幷有寵崔溥曰恭愍設子弟衛瀆亂宮闈爲禽獸之行天理人道於斯俱滅其遺臭萬世庸有旣乎上同○初王使倫等汚穢宮掖翼其有子時益妃王
紀年便攷v5下侍中林堅味○地震聲如陣馬之奔埸屋頹杞人皆出避松岳石崩禑曰此兼乃天欲䧟遼東耶○帝冊禑爲王又賜敬孝王謚恭愍○封姜氏爲安妃鳯加伊爲肅寧翁主妓七黜仙爲寧善翁主以私婢官婢封翁主者古所未有
紀年便攷v5而去母沒不歛而葬故遭人言罷職既老國有大事必與議盡言無隱位家宰凡二十九年恭愍癸卯與金鏞姻好故罷相其女爲恭愍愼妃及庚申有疾禑遣中官賜宫醖藥餌悌臣具衣冠受之謂曰公善爲老臣言上所以念及老臣者徒以臣甞左右先君也臣今
紀年便攷v5李達衷蒨子字仲權初名達中號霽亭忠肅朝魁科剛直不撓有識鑑恭愍以爲名儒擢爲密直提學時辛旽飮酒食肉恣意聲色及其見王則清談齕菜菓達衷於廣㘴謂旽曰人言公酒色過度旽不悅罷
紀年便攷v5尹桓秀孫賛成事謚忠義吉甫子美風儀好施與歴事五朝三爲首相甞侍恭愍宴桓行酒旽以飮餘授桓桓飮之無愧色値禑時位極人臣曾不能諌禑以妖夢不經之說獻諂家鉅冨告歸㓒原歲大饑人相食
紀年便攷v5金續命光州人之淑孫敬烈公仁沆子以清直敢言名於世恭愍時因灾求言續命以監察大夫與獻納黃瑾上䟽極陳時獘王召詰之續命爭之益力王怒甚柳淑進曰求直言而罪言者可乎王
紀年便攷v5以爲晩其夙成可知文章德望名于一世善草隷金石之刻多傳焉忠定王命爲政房祕闍赤及遜于江華脩從之由是名重一時恭愍召復置政房辛肫得幸其跡甚祕脩密啓曰旽非正人恐致亂王方惑旽拜脩禮儀判書盖䟽之也及旽敗王曰脩有先見之明官
紀年便攷v5数背主之隷逃賦之民聚如淵薮廉使守令莫敢徵發民㪚政亂中外㘦齒於羣小中爲渠魁誣陷忠良殺戮無辜時人叱之李猫恭愍薨太后及慶復興欲立宗親仁任欲立禑遂率百官立禑仁任甞言李判三司太祖須爲國主崔瑩聞之甚怒不敢言至回軍後瑩
紀年便攷v5言者旽疑之且誘且脅文鉉佯若不得已而言曰父兄談公不德曰必將亡國予適聞之故恐泄此言也旽信之譛達祥必欲殺之恭愍重違旽意杖流之旽遂擅殺達祥文鉉遂爲旽門客及旽誅臺官請正文鉉弑父之罪王不允臺官固請文鉉逃辛禑時杖流全義
紀年便攷v5禹仁烈平章事文純公福生子倬從孫恭愍朝屡遷繕工判事厯鷹揚軍上護軍以慶尙元帥伐倭再有㓛進賛成事辛禑庚申從我太祖詩倭復拜都軆察使恭讓壬申拜左
紀年便攷v5死於死文忠配享崇仁殿名入筆苑中宗丁丑從祀 文廟鄭逑問於李滉曰南冥甞以圃隱出䖏爲疑鄙意圃隱一死頗可笑爲恭愍朝大臣十三年於不可則止之義已爲可愧又事辛禑父子謂以禑爲王出也則十年服事一朝放殺是可忍乎滉曰程子曰人當
紀年便攷v5周䓁結爲師友恭愍初以蔭拜監務屢之戰㓛再束一䓁勳封咸豊君官止正尹上護軍戊午勸行洪武年号戊辰攻遼之日貽書崔瑩明尊攘之義國
紀年便攷v5必此兒乎與鄭夢無疾言遽色不露主角不治生產雖至屡空不以爲意然志節不固無大建白學問不純崇信佛法爲世所譏自恭愍薨後帝每徵執政大臣皆畏懼不敢行及穡爲酋相請自行我太祖稱之曰慷慨㢤是翁以穡及李崇仁充賀正使太宗爲書状官
紀年便攷v5齊會相與語曰我等豈不似先祖自䖏不開此樻乎遂開之驚曰此吾等滅族物即投火惟詩二卷在有直載當時事蹪以辛禑爲恭愍子者此其直筆之尤者其題有曰㐲聞主上殿下遷于江華元子即位有感詩曰聖賢相遇逓當時天運循環自此知田畝豈無憂
紀年便攷v5許錦陽川人僉議中賛珙玄孫知申事絅子朴遠外孫元松壽婿字在中號野堂恭愍王丁酉登科官止典理判書自少嬰疾不樂仕宦退居田野傾貨貯葯凡有疾者輒施與之又不喜佛年未五十而卒時人惜之六
紀年便攷v5具鴻綾成人少尹謚文貞禕子辛禑初屡官止密直副使時大明遣使周倬丹王且賜恭愍謚王焚黃于太廟遣鴻致膰于倬會倬方食鴻不告置厨而還倬怒欲罪之張子温救止我太祖即位受百官賀召恭讓王舊臣入
東國歷代總目v01恭愍嘗以禑爲放宮人韓氏出使母韓氏至是般若入太后宮啼號我實生主上何母韓氏也太后黜之李仁任下般若于獄已而投于
東國歷代總目v02上愍王氏不祀命有司以太祖惠宗成宗顯宗文宗元宗忠烈恭愍八君立廟祀之至世宗朝有司言宗廟只祭五室而前朝之廟乃祭八位未合於禮遂以太祖顯宗文宗元宗有功德於民只祀四
歷代帝王紀年v01字順卿力學有志節恭愍九年登第後爲言官上疏直斥辛肫肫與王對床公張目叱之肫惶駭不覺下床公與鄭樞俱下獄肫黨欲殺之牧隱營救得免遠
國朝捷錄v01誠夫潘南人恭愍時以攘夷尊中之義死之
國朝人物志v1字粹可號郊隱晉州人贊成臣重子工詩文高麗恭愍朝文科入本朝我太宗戊子以大提學知貢擧入試院夢占一詩云三級風雷魚變甲一春煙景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