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연수(趙延壽)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870C5F0C218B1278X0 |
이명(異名) | 조후(趙珝) |
시호(諡號) | 문극(文克) |
생년 | 1278(충렬왕 4) |
졸년 | 1325(충숙왕 12) |
시대 | 고려후기 |
본관 | 평양(平壤)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조인규(趙仁規) |

[상세내용]
조연수(趙延壽)
1278년(충렬왕 4)∼1325년(충숙왕 12).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초명은 후(珝). 자의도첨의사사(咨議都僉議司事) 조인규(趙仁規)의 아들이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도진령(都津令)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으므로 왕의 노여움을 사 하옥되었다. 얼마 뒤 석방되어 원윤(元尹)이 되었다.
1316년(충숙왕 3) 밀직부사 겸 대사헌과 예문관제학이 되었다.
그뒤 밀직사‧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찬성사‧삼사사(三司使) 등을 역임한 뒤 1321년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가 되었다.
1324년 충숙왕과 심양왕(瀋陽王)과의 알력이 심하였는데, 이때 심양왕의 편을 들었다가 충숙왕의 미움을 사 순군(巡軍)에 하옥되었다. 그리고 가산을 몰수당하고 섬으로 유배되었다.
그뒤 원제(元帝)의 명으로 사면되었다. 시호는 문극(文克)이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도진령(都津令)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으므로 왕의 노여움을 사 하옥되었다. 얼마 뒤 석방되어 원윤(元尹)이 되었다.
1316년(충숙왕 3) 밀직부사 겸 대사헌과 예문관제학이 되었다.
그뒤 밀직사‧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찬성사‧삼사사(三司使) 등을 역임한 뒤 1321년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가 되었다.
1324년 충숙왕과 심양왕(瀋陽王)과의 알력이 심하였는데, 이때 심양왕의 편을 들었다가 충숙왕의 미움을 사 순군(巡軍)에 하옥되었다. 그리고 가산을 몰수당하고 섬으로 유배되었다.
그뒤 원제(元帝)의 명으로 사면되었다. 시호는 문극(文克)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朝鮮金石總覽
高麗史節要
朝鮮金石總覽
[집필자]
이희덕(李熙德)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