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충선왕(忠宣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DA9C120C655B1275X0
초명(初名)이지리부카(益知禮普花)
초명(初名)원()
이명(異名)왕장(王璋)
자(字)중앙(仲昻)
시호(諡號)충선(忠宣)
생년1275(충렬왕 1)
졸년1325(충숙왕 12)
시대고려후기
본관개성(開城)
활동분야왕실 > 왕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외조부쿠빌라이(忽必烈)

[상세내용]

충선왕(忠宣王)
1275년(충렬왕 1)∼1325년(충숙왕 12). 고려 제26대왕. 1298년 즉위, 재위 1308∼1313년. 본관은 개성(開城). 이름은 왕장(王璋). 초명은 왕원(王謜), 몽고명은 이지리부카[益知禮普花]. 자는 중앙(仲昻).
1. 가계와 세자 때의 행적
충렬왕의 큰아들이며, 모친은 원세조(元世祖) 쿠빌라이[忽必烈]의 딸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몽고명은 쿠두루칼리미쉬[忽都魯揭迷述矢]), 비는 원나라 진왕(晉王) 감마라(甘麻刺)의 딸 계국대장공주(薊國大長公主, 몽고명은 보다시리[寶塔實憐]), 조인규(趙仁規)의 딸 조비(趙妃), 서원후(西原侯) 왕영(王瑛)의 딸 정비(精妃), 홍규(洪奎)의 딸 순화원비(順和院妃)이다.

1277년(충렬왕 3) 세자에 봉해지고, 1295년 8월 충렬왕에게서 동첨의사밀직사감찰사판사직을 맡아 3개월간 왕권대행을 하다가 원나라로 가 이듬해 11월 원나라 공주와 혼인하였다.

혼인식에 참석하고 귀국한 왕비 제국대장공주가 1297년 5월 병사하자 7월 문상하러 온 세자는 왕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왕의 총애를 빙자, 세력을 떨치던 궁인 무비(無比)와 그 당류 최세연(崔世延)도성기(陶成器) 등 40여 명을 공주를 저주하여 죽게 했다는 죄목을 씌워 참살, 유배하는 대숙청을 단행하고 이듬해 정월 정치에 뜻을 잃은 충렬왕의 선위(禪位)를 받아 즉위하였다.
2. 폐단척결과 인사행정
총명과 견식이 남달랐던 왕은 일찍이 수렵을 가는 부왕을 울며 말리기도 하고, 땔나무를 지고 궁으로 들어온 자의 의복이 남루함을 보고 마음아파하기도 하였다.

총명이 너무 과하다는 진언에 “나를 어리석게 하여 손에 든 떡처럼 마음대로 주무를 작정이냐.”고 호통을 치고, 왕권대행시에는 세력가들에게 땅을 빼앗겨 호소하는 백성들의 토지를 돌려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즉위한 뒤에도 나타나, 즉위 직후(1298.1.) 곧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고려가 당면하고 있던 폐단을 과감히 개혁함을 내용으로 하는 30여 항의 교서(敎書)를 발표하였다.

그것은 합단(哈丹) 침입시에 공을 세운 원주(原州) 고을사람들에 대한 포상과 조세‧부역을 3년간 면해줄 것, 공신 자손들에 직(職)을 주고 공신전(功臣田)을 환급해줄 것, 모든 관리의 직급을 한 계급 올려주고 중형죄(重刑罪)를 제외한 위법자는 양용(量用)하도록 할 것, 지방에 묻혀 있는 선비를 천거하도록 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세력을 빙자하여 5품직에서 3품 이상의 직을 뛰어 제수받은 자, 또는 세가(世家)의 자제이기 때문에 직을 받은 자, 또는 왕을 호위하여 원나라에 다녀온 것을 공이라 하여 공신의 칭호를 받은 자들에 대해서는 선법(選法)에 따라 처리하게 하였다.
3. 지방행정혁신
이러한 인사행정 외에도 지방행정에 과감한 혁신을 꾀하여 근래에 잦은 사고로 특수임무를 띠고 별감(別監)이 파견되어 일어나는 민폐와 지방장관(按廉‧守令)들이 세가(勢家)에 바치는 은‧쌀‧포(布)를 금하게 하였고, 또 안렴‧수령들이 백성들에게 비록 작은 물건이라도 선물받는 것, 수령이 멋대로 임지를 옮기는 것을 금하였으며, 홀치(忽只)응방(鷹坊)아가치(阿車赤)순마(巡馬)원나라와의 관계(官階)로 인하여 설치된 관청의 관원들이 받는 증여물도 일체 금하였다.
4. 경제‧사회적 적폐 제거
이밖에도 부역에 시달려 농토를 떠난 자들의 토지를 모으거나 함부로 사패(賜牌)라 칭하여 절이나 양반의 토지를 빼앗아 농장(農莊)을 만든 세력가의 땅을 환수하게 하고, 막대한 이(利)가 있는 염세(鹽稅)와 외관노비(外官奴婢)들이 세력가에 의하여 탈취되는 것을 금하는 경제시책을 폈다.

또한, 세력가에 붙어서 자기의 역(役)을 다하지 않은 백성이나 향리를 본래의 역에 돌아가게 하고, 양민으로서 세력가에게 눌려 천민이 되는 등 사회의 신분적 혼란이 야기되는 사회적 적폐도 제거하도록 하였다.

즉, 원나라와 관계를 맺은 뒤로는 매잡는 것을 일삼는 응방을 이용하고 몽고어를 익혀 재상이 된다든가, 원공주의 겁령구(怯怜口: 私屬人), 또는 환관(宦官)으로 원나라에 보내졌다가 조서(詔書)를 가지고 오거나 사신으로 귀국하여 그 세력으로 재상이 된다든가, 왕을 따라 원나라에 간 공이나 군공(軍功)으로 군졸에서 몸을 일으켜 재상이 된다든가 하여 과거의 문벌귀족과는 다른 새로운 권문세가가 됨으로써 신분질서를 어지럽게 하고 또 그 세력을 이용하여 많은 부를 누리는 자가 있었다.

왕의 교서에서 이들이 정치‧경제‧사회의 폐단을 일으키는 장본인으로 지적되고 있어, 교서의 목적은 이들을 제거하는 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5. 관제개혁과 그 반향
이어 4월에는 인사행정을 담당해오던 정방(政房)을 폐지하여 한림원(翰林院)에 합치고, 5월에는 전면적인 관제개혁을 실시하였다. 개혁된 관제는 광정원(光政院)자정원(資政院)사림원(詞林院) 등 일찍이 이름을 볼 수 없던 독자적인 것이거나 충렬왕 1년 원나라의 간섭하에 고친 관제 이전의 형태(侍中, 左‧右僕射 등)로 복구된 것이었다.

이 중 특이한 것은 사림원인데 사림원은 왕명의 제찬(制撰)을 맡은 한림원을 강화한 것으로 여기에 정방이 맡고 있던 인사행정, 승지방(承旨房)이 맡고 있던 왕명의 출납(出納)을 더하여 권력기관화한 것으로 박전지(朴全之) 등 신진학자인 4학사(學士)에 의하여 관장되었다.

이 관제개혁 속에는 반원적인 요소가 엿보이고 있다. 때맞추어 일어난 원공주 출신인 왕비의 질투로 인한 조비무고사건(趙妃誣告事件)은 세력가의 억압으로 인하여 신흥귀족의 공격 목표가 되고, 반원적 요소에 대한 원나라의 간섭이 강화되는 계기를 만들어주게 되어, 드디어는 즉위년 8월 원나라로부터 강제 퇴위를 당하여 원나라로 가게 되었으며, 이로써 왕위는 다시 충렬왕에게 돌아가 왕은 이후 10년간 원나라에 머무르게 되었다.
6. 왕 부자간의 갈등
원나라에 장기간 머무르는 동안 본국에서는 즉위 전부터 있던 왕 부자간의 불화가 표면화되어 1299년 충선왕파로 여겨지는 쿠라타이(忽刺歹, 고려명 印侯)를 중심으로 반란을 획책하였다는 한희유무고사건(韓希愈誣告事件)이 일어났고, 이어 충렬왕파에서는 왕유소(王維紹)송린(宋麟)석천보(石天補) 등이 주동이 되어 부자간을 이간시키며 충선왕계국대장공주서흥후(瑞興侯) 전(琠)에게 개가시키고 왕위도 세습시키려는 음모를 꾸몄고 환국(還國)을 저지하는 운동도 벌어졌다.

이 불화는 1305년 충렬왕이 전왕 폐위를 직접 건의하러 원나라로 감으로써 절정에 달하였다.

그러나 원나라 성종(成宗)이 후계자 없이 죽어 황위쟁탈전이 일어나자 왕은 평소 가까이 지내던 하이샨(海山: 武宗)을 도와 옹립하게 함으로써 원나라 조정에서 위치가 강대해졌고 따라서 왕유소 일당을 처형하여 부자간의 싸움은 끝이 났다. 이로써 고려 국정의 실권은 왕에게로 돌아갔다.
7. 정치혁신의 무산
1308년심양왕(瀋陽王)에 봉해지고 이해 7월 충렬왕이 죽자 귀국하여 다시 왕위에 올랐다. 복위한 왕은 기강의 확립, 조세의 공평, 인재등용의 개방, 공신 자제의 중용, 농장업의 장려, 동성결혼의 금지, 귀족의 횡포 엄단 등 즉위교서에 필적하는 혁신적인 복위교서를 발표하여 또 한번 혁신정치를 천명하였다.

그러나 오랫동안 원나라 생활에 젖어 있던 관계로 곧 정치에 싫증을 느끼고 복위한 지 두달 후인 11월 제안대군(齊安大君) 숙(淑)에게 왕권 대행을 시키고 원나라로 감으로써 혁신정치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재위기간에는 한번도 귀국하지 않고 연경(燕京)에서 전지(傳旨)를 통하여 국정을 행하였다. 각염법(榷鹽法)을 제정하여 소금을 전매하게 함으로써 한해에 포(布) 4만필의 국고수익을 늘리게 하였고 토지개혁을 시도하였으나 귀족의 반대로 고쳤고, 또 여러 번 관제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원나라의 간섭으로 실패로 끝났다.
8. 재원(在元)시절의 생활과 문화교류
오랫동안의 재원생활(在元生活)로 본국에서 해마다 포 10만필, 쌀 4,000곡(斛), 기타 헤아릴 수 없는 물자를 운반하게 함으로써 폐해가 극심하여 본국 신하들이 귀국간청을 빈번히 호소하고 또 원나라에서도 귀국명령을 하였으나 그대로 머물러 있다가 1313년 둘째 아들 강릉대군(江陵大君) 도(燾)에게 전위하고 이해 6월 잠시 귀국하여 아들 충숙왕을 즉위시키고 이듬해 다시 원나라로 갔다.

이때에 만권당(萬卷堂)을 연경(燕京)의 자기 저택 안에 세워 많은 서적을 수집하고 요수(姚燧)염복(閻復)원명선(元明善)조맹부(趙孟頫)원나라의 명유(名儒)를 불러 경사(經史)를 연구하게 하고 본국에서 이제현(李齊賢)을 불러 그들과 교유하게 하여 문화교류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서도의 대가 조맹부의 글씨와 서법은 그로 인하여 고려에 크게 퍼졌다. 불교에도 많은 관심을 쏟아 모후(母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본국의 수령전(壽寧殿)을 절로 만들기도 했으며 특히 1316년 심양왕의 자리를 조카에게 물려준 뒤에는 티베트 승려를 불러 계율을 받고 멀리 보타산(寶陀山)에 불공을 드리러 가기까지 하였다.

1320년 원나라인종(仁宗)이 죽자 고려 출신 환관 임빠이엔토쿠스(任伯顔禿古思)의 모략으로 토번(吐蕃)에 유배되었으며, 1323년 태정제(泰定帝)의 즉위로 유배에서 풀려 원나라에 돌아가 2년 후 죽었다. 시호는 충선(忠宣)이며, 능은 덕릉(德陵: 開城 소재)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益齋亂藁
元史
高麗忠宣王의 元武宗擁立(高柄翊, 歷史學報 17‧18合輯, 1962)
忠宣王(高柄翊, 韓國의 人間像 1, 1965)
忠宣王의 改革과 詞林院의 設置(李起男, 歷史學報 52, 1971)

[집필자]

이기남(李起男)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